EU,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비중 확대·인증 요구

  • 등록 2021.10.24 19:56:25
크게보기

[탄소중립, 화장품 패키지 대응] ③ EU, 용기 생분해 가능·바이오플라스틱 함량 측정 표준 마련 추진

화장품 제조기업 A사는 독일 바이어가 의무사항은 아니나 포장재를 재활용 플라스틱의 사용 비중을 확대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특히 천연·유기농 또는 비건(vegan) 화장품의 경우 제품의 성격에 맞게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플라스틱)를 사용하거나 제품의 미세플라스틱 인증(Mikroplastick-Siegel) 라벨을 요구했다. 

북미에서는 클린뷰티가 이슈로 부각 되면서 친환경 포장재 관련 제안이라면 누구라도 만나주겠다는 브랜드·제조사의 러브콜이 줄을 잇는다. 줄기차게 연락해도 만나주지 않던 바이어들도 친환경에 부합하는 아이디어를 널리 구하고 있다고 현지 마케터는 전했다. 



전 세계가 2050 탄소중립을 놓고 산업계마다 대응 전략 짜기에 분주하다. 가장 먼저 선제적으로 다양한 시책을 내놓은 곳이 EU다. 2015년 12월 기존 선형경제에서 벗어나 경쟁력 제고, 일자리창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순환경제패키지‘를 발표했다. 

이어 2020년 7월에는 EU 탈탄소사회를 위해 구체적인 정책 수단이자 코로나19 경기 부양책 자금 확보를 위해 ’플라스틱세‘를 채택했다. 아울러 같은해 12월에는 ’플라스틱 폐기물 수출금지‘를 통해 폐기물 처리 책임을 강화하고 플라스틱 감축·재활용 등 환경문제 해결을 추진하고 있다. 

EU는 구체적으로 규정 또는 지침을 통해 ▲일회용 프라스틱 사용구제 지침 [플라스틱병 재활용수거율 77%(’25)→90%(‘29)] ▲플라스틱 폐기물 지침 [도시 폐기물 재활용 최소 55%(’25)→60%(‘30)→65%(’35)] ▲포장재 지침 [플라스틱 포장재 재활용률 50%(‘25)→55%(’30)] 등을 추진 중이다. 

플라스틱세는 EU 회원국별로 연간 자국별 포장재 플라스틱 발생량에서 재활용된 플라스틱을 제하고 남은 폐기물에 kg당 0.8유로를 EU에 납부토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EU이사회는 연 60억 유로 규모 세수를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EU는 지역 외로 재활용 불가 또는 유해 플라스틱 폐기물 전면 수출금지를 ‘21년 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재활용이 가능하고 무해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출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수출이 허용되나 수출업자는 폐기물의 유해성·형태·처리기준 등을 기입한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현재 EU는 2021년 7월 3일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 금지‘를 시행 중이다. 이로 인해 바이어들은 플라스틱 포장재 처리비용 부담을 이유로 친환경 제품으로 수입선을 바꾸고 있다고 코트라(KOTRA)는 전했다. 

또한 EU는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비중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 중이다. 대표적인 게 관련 인증이다. 이 때문에 신규 거래의 경우 의무사항이 아님에도 플라스틱 용기 사용 제품을 꺼려하거나 최소한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 플라스틱 용기라면 차후 신규 거래 및 수출 애로사항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졌다. 



EU집행위는 생분해 가능 여부, 바이오플라스틱 함량 측정 표준을 마련하는 등 관련 기준 확립을 추진 중이다. 또 EU 차원의 통일된 인증이 없어 인증이 강제는 아니지만 TUV(오스트리아) DIN CERTCO(독일) 등 개별국가별로 인증을 운영 중이다. 

국내에서 생분해수지(PLA) 화장품 용기를 개발한 성진산업사 김신겸 대표는 “EU의 규제는 곧바로 전 세계의 기준이 되는만큼 우리나라 화장품기업들도 재활용 플라스틱 또는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전환해야 한다. EU기준이 마련 되는대로 현지 진출기업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업계의 관심을 촉구했다. 

KOTRA는 “유럽의 각국 정부는 강력한 탈플라스틱 정책으로 제품의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부터 플라스틱 사용이 엄격히 규제되는 환경임을 감안해 소비재 제품 수출 계획 시 제품 개발 단계부터 과다한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 자제, 재생 가능한 생분해 재질 사용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대응을 주문했다. 

따라서 “재생가능 플라스틱, 플라스틱 대체제 관련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유럽 내 소재 인증 등의 선제적 대응 시 시장 선점 기회 확보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탄소중립, 화장품 패키지 대응] ⑥ 생분해성 화장품용기, ‘재활용’ 인정해야...EU·中은 활용 확대·시장규모 급증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6424

[탄소중립, 화장품 패키지 대응] ⑤ 화장품 용기, PLA·PHA 등 생분해 바이오 플라스틱 생태계 구축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6416

[탄소중립, 화장품 패키지 대응] ④ 소비자 친환경 소비 행동, 업사이클링·제로웨이스트에 큰 관심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6403

[탄소중립, 화장품 패키지 대응] ③ EU,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비중 확대·인증 요구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6232

[탄소중립, 화장품 패키지 대응] ② ’2050 탄소중립‘ 선언...화장품용기 ’바이오플라스틱 사용' 필수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6226

[탄소중립, 화장품 패키지 대응] ① ‘재활용 어려움’ 90% 해당...등급제 70여일 후 시행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6221



권태흥 기자 thk@cncnews.co.kr
Copyright ©2017 CNC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씨앤씨뉴스 I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52335 I 등록일자: 2019년 5월 14일 제호: CNC News 주소: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8길 42, 101호(역삼동, 씨엘빌딩) 발행인: 권태흥 | 편집인: 권태흥 | 전화번호 : 02-6263-5600 광고·문의: 마케팅국 02-6263-5600 thk@cncnews.co.kr Copyright ©2019 CNC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