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의 K-뷰티 거점국가인 베트남과 태국 화장품시장의 최신 동향을 알 수 있는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5호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에서 발간됐다. 태국과 베트남 모두 자국 정부의 진흥정책에 따라 로컬 브랜드들이 신흥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 화장품 시장은 최근 3년(22-24) 간 연평균 7.3% 성장하였다. 카테고리별로는 뷰티 테크 시장이 34.2%로 가장 가파른 성장률을 기록하며 주목 받았고, 뒤이어 메이크업 9.7%, 스킨케어 7.6% 제품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세부 품목에서는 립 제품이 14.6%, 자외선 차단제가 14.4%로 눈에 띄었다. 이런 배경 아래 태국 정부는 뷰티 산업을 소프트파워 전략의 핵심으로 육성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산업진흥국(DIPROM)은 2025년 5월 ‘히어로 브랜드(Hero Brand)’ 프로그램을 통해 25개 유망 로컬 화장품 브랜드를 선정, 브랜딩, 제품 기획, 디지털 마케팅, 소비자 테스트까지 전방위 지원에 나섰다. 이와 함께 뷰티 유통 채널의 배송 속도 경쟁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팬데믹 시기 비대면 소비의 일상화가 초고속 배송에 대한 소비자 수요로 이어졌고, 이에 발맞춰 주요 유통
올해 상반기 화장품의 미국과 중국 수출액 차이가 불과 5천만달러대로 좁혀지며, 하반기 역전 가능성이 커졌다. 3일 식약처의 상반기 화장품 수출동향에 따르면 수출액은 55.1억달러(+14.8%)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국가별로 △ 중국 10.8억달러(점유율 19.6%) △ 미국 10.2억달러(18.5%) △ 일본 5.5억달러(+10%)로 나타났다. 가장 증가율이 높은 국가는 폴란드로 1.5억달러를 기록하며 유럽권 국가 중 처음으로 상위 8위에 랭크되는 이변을 연출했다. 중국과 미국의 수출액 차이는 불과 0.6억달러 차이였다. 다만 증감율이 중국이 10.8% 감소한 데 비해 미국은 17.7% 증가함에 따라 하반기 순위 변동이 예측된다. 전체 수출국은 176개국으로 작년보다 4개국이 늘었다. 특히 상반기에 유럽, 중동, 서남아시아, 중남미 등으로 수출이 증가하며 다변화 양상이 심화됐다. 유럽 지역 중에서 △ 폴란드 1.5억 달러(+133.8%) △ 영국 1.0억 달러(+46.2%) △ 프랑스 0.7억 달러(+116.1%) △ 에스토니아 0.3억 달러(+88.6%) △ 체코로 0.04억 달러(+7,298%)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중동은 △ 아랍
5월은 가정의 달로 휴일 수(+1)가 늘어난 상황에서 방문고객(구매건수)은 감소했으나 물가 상승, 고가품 중심 매출 확대로 1회 방문 시 구매액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대형 유통업체(오프 13개, 온 10개사) 조사에 따르면 전체 구매건수는 2.8% 감소했으나 구매단가는 3.8% 증가했다. 온라인 매출도 증가하며 오프(46.9%) vs 온(53.1%) 비중을 보였다. 이런 배경 하에 통계청의 5월 화장품 온라인 매출은 1조 1387억원(+3.3%)으로 나타났다. 10개월째 1조원대 매출이지만 증가율은 둔화세다. 전체 화장품 소매액 매출은 2.8조원으로 온라인 침투율은 40.7%였다. 올리브영 다이소 등 오프라인이 꾸준히 발길을 끌면서 온라인 대형 플랫폼과의 경쟁에서 선방 중이다. ‘25년 5월 소비자기대심리는 4년 4개월만에 최대 상승폭을 나타내며 경제 회복 기대감을 보였다. 소비자 지출 전망지수도 상승하며 여행, 외식, 문화생활 등 서비스 소비에 대한 지출 의향이 높아지는 등 소비 심리가 개선되고 있다. 유통업계 소식으로 현대홈쇼핑이 오프라인 뷰티 매장 ‘코아시스’를 오픈한다. 코아시스란 코스메틱+오아시스의 합성어다. 오는 10월을 목표로 TV홈쇼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