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콜마가 세계 1위 시장인 미국에 콜마USA 제2공장(이하 제2공장)을 준공했다. 제2공장 준공으로 한국콜마는 미국 현지에서만 연간 3억 개에 달하는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됐다. K-뷰티 기업은 물론 글로벌 브랜드들도 최근 이슈가 된 미국 수출 관세 부담을 현지 생산을 통해 해소할 수 있으리라는 전망이다. 제2공장은 연면적 17,805㎡ 규모로 연간 약 1억 2천만 개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기존 1공장과 합치면 연간 약 3억 개의 생산 규모를 갖추게 된다. 캐나다 법인까지 더하면 북미 지역 전체 연간 약 4억 7천만 개의 캐파(CAPA)라고 콜마는 소개했다. 북미 ODM 최대 생산 규모다. 이날 준공식에서 콜마그룹 윤상현 부회장은 “100년 전 콜마가 시작된 곳이 바로 미국이다. 미국 제2공장은 단순한 공장이 아닌 새로운 비전과 협력의 출발점이다. 제2공장을 거점 삼아 다양한 밸류체인 파트너들과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며 북미 최대의 화장품 제조 허브(HUB)로서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고 천명했다. 펜실베니아주 스콧 타운십(Scott Township)에서 열린 준공식에는 윤 부회장을 비롯해 브리짓 코시에로스키(Bridget Kosierowski) 펜실베니아주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이하 IBITA) 윤주택 회장은 K-뷰티의 세계화를 지원하기 위해 ‘2025 북미 라스베가스 코스모프로프(Cosmoprof North America Las Vegas, 이하 CPNA)’에 80여 개사 IBITA 통합 한국관을 구성해 참가했다. 미주 최고의 B2B 뷰티 이벤트인 Cosmoprof North America Las Vegas 2025는 7월 15~17일(현지시간) 성대한 이벤트로 시작됐다. 북미 라스베가스 코스모프로프는 2003년을 시작으로 올해 22회째를 맞이했으며, 미주 지역 3대 박람회 중 하나로 거듭나고 있다. 올해엔 1천개 이상의 각국 전시 참가사와 110개국 2만 6천여 명 관람객이 참가한다고 주최 측은 밝혔다. 윤주택 회장은 “2025년 미·중 간 무역 긴장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새로운 돌파구를 찾으려는 한국 기업들에게 미국 시장은 더욱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했다. 때문에 참가사들의 기대도 예년에 비해 높고 실제 성과도 기대 이상의 실적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이번 박람회의 의미를 강조했다. 다만 미국 시장 진출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이 반복하는 근본적 오류가 있다. 즉 한국에서의 성공
현재 미국 진출 화장품기업들은 OTC 세부 내용 및 라벨 기재의 디테일한 업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 자차성분이 포함될 경우 무조건 OTC로 진행해야 하나?(티타늄디옥사이드/징크옥사이드의 색소 목적 사용 시) ▲ 라벨 전성분 기재 시 향료 알러젠은 착색제보다 앞, 뒤 어디에? ▲ 전자연락처로 QR코드 대체 가능한가? ▲ 라벨링에서 활성 성분은 알파벳 순, 비활성 성분은 함량순, 또는 INCI 명으로 중복 기재해야 하나? ▲ 나노 화장품의 OTC 적용 형태는? ▲ 제품 리스팅은 매년 해야 하나? 업데이트 항목은? 등의 질문이 많았다. 또한 ▲ EPR(생산자책임재할용법)이 시행 중인 오리건,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메인, 미네소타 등의 주요 요구사항, 가입방법 ▲ agent는 시설등록, RP는 제품 리스팅 담당자인지 등 실제 업무에서 부닥치는 애로사항이 주를 이뤘다. 이는 10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글로벌 화장품 규제 동향 세미나-미국 편(4차)’에서 제기된 질문들이다. 이날 세미나는 사전 등록자 127명을 비롯 업계 관계자 들이 참석해, 미국 수출 열기를 실감케 했다. 정다영 선임연구원은 “연구원은 미국 진출 화장품기업들의
미국의 화장품 규제현대화법(MoCRA)이 시행되고 있음에도 각 주(state)마다 세부 사항에서 별도 규제조치가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출기업들은 주별 통관, 유통 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미국 수입화장품 시장 1위 국가인 K-뷰티가 주요 관찰 대상이 될 수 있어, 한국 수출기업들의 사전 대응이 요구된다. 각 주의 규제시행 일정 이전이라도 선제적 적용이 필요하다. 뉴욕주_ 2029년 뷰티정의법 시행 뉴욕주는 지난 1월 14일 뷰티정의법(Beauty Justice Act)을 발의했다. 특정 유해 화학 성분이 포함된 화장품의 판매 금지가 주요 내용이다. 이는 연방 차원의 화장품 유해성분 규제가 충분치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뉴욕주 차원에서 소비자와 살롱 종사자의 건강 보호를 위한 조치라는 취지다. 금지 성분으로는 파라벤, 포름알데히드, 카본블랙 등 특정 유해 성분이 꼽힌다. 대부분 금지 대상 성분의 경우, 최근 출시하는 화장품에서는 이미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마스카라와 아이라이너에 널리 쓰이는 카본블랙과 같은 핵심 색소 성분은 대체가 어려워 업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셀프태닝 제품의 주요 성분인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
미국이 5월 2일부터 중국발 소액 소포에 대해 관세 및 수수료를 인상한다. 이에 따라 한국 화장품의 득실을 따져보고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4월 9일(현지 시각) 미국은 800달러 이하 중국발 소액소포를 대상으로 ➊ 상품가치 기준 관세 120% 인상 적용(인상 과정: (4.2.) 30% → (4.8.) 90% → (4.9.) 120%) ➋ 건당 수수료 기간별 차등 인상 적용 (▲ (5.2. ~ 5.31.) 건당 수수료 기존 75달러에서 100달러로 인상 부과 ▲ (6.1 ~) 건당 수수료 기존 150달러에서 200달러로 인상 부과)을 발표했다. 앞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및 홍콩발 소액면세 제도(de minimis) 폐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대상은 중국, 홍콩에서 제조하여 미국으로 발송되는 800달러 이하 모든 물품이다. 모든 운송업자는 세금과 수수료 납부를 보장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보증금을 보유해야 한다. 즉 CBP(美 세관국경보호청)가 정한 방식, 일정에 따라 우편물 관련 정보 및 증빙을 제출해야 하며, 반드시 ACE(전자시스템)를 통해 신고 의무를 부여받는다. 이번 조치는 중국산 펜타닐이 소액 소포로 역내 반입되는 가능성
트럼프 대통령이 9일(현지시각) 상호관세 90일 유예를 발표함에 따라 화장품 업계도 한숨 돌리게 됐다. 한국은 당분간 전세계 국가들과 똑같이 10% 관세를 부과 받는다. 상호관세와 달리, 10% 관세는 전 세계 국가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돼 수출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제한적이라는 전망이다. 향후 우리나라와 미국의 ‘원스톱 쇼핑’ (트럼프 표현) 포괄협상 결과에 따라 영향을 가늠하게 됐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오늘(10일) 글로벌 시장은 경기 둔화 우려가 완화되며 아시아 시장에서 주요국의 주가 상승, 단기금리 상승, 신흥통화 강세 동향 흐름이 이어졌다. 이에 반해 미-중 무역갈등 및 불확실성 지속 우려로 장기금리는 소폭 하락했다. 코스피 +6.6% 일본 +8.3% 대만 +9.2% 로 큰 폭 상승했으며 중국(+1.5%), 홍콩(+3.0%)은 미국의 대중 관세 인상에도 불구하고 추가 경기부양책 기대로 소폭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일 정규장 종가(1484.1원)보다 38.1원 낮은 1446.0원에 시작했으나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1460원 부근에서 마감(1456.4원, 1.9% 강세)했다. 이번 조치에 중국 리창 총리는 “외부 충격이 중국 경제에 영
4월 3일(한국시각) 오전 5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그는 교역국들이 자국산 제품에 막대한 관세 부과와 비관세 장벽으로 미국민을 갈취했으나, 앞으로 미국 국민을 가장 중요시할 것이라며 이번 조치의 취지를 설명했다. 국가별로 △ 중국 34% △ 베트남 46% △ 인도네시아 32% △ 한국 26% △ 일본 24% △ EU 20%의 관세율이 부과됐다. 영국, 브라질, 호주, 싱가포르 등 일부 국가들은 보편관세 측면에서 최저인 10%의 관세율을 적용했다. 이전에 25% 관세율이 부과된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별도 발표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중국의 경우 기존 관세(20%)와 이번 조치를 통해 총 54%의 관세가 부관된다고 언급했다. 이미 관세가 적용되거나 혹은 적용될 자동차, 철강, 반도체, 의약품 등은 추가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시행 시기는 10% 관세는 5일, 이보다 높은 관세는 9일부터다. 트럼프의 판널에는 한국 관세율이 25%였으나 백악관 행정명령 부속서 관세율에는 26%로 명기됐다. 이 수치에 대해 국제금융센터는 “해당 국가들이 미국에 부과하는 실제 관세율이 아니라, 2024년 미국과 해당국가와의
미국 내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는 ‘2025 IECSC/IBS 뉴욕 미용 박람회’가 3월 23일 재빗츠 컨벤션센터(Javits Convention Center)에서 개최됐다. IECSC (International Esthetics, Cosmetics & Spa Conference) 미용 박람회는 1992년부터 뉴욕을 시작으로 라스베가스, 플로리다까지 매년 순회 개최되는 박람회다. IBS (International Beauty Show)는 헤어 및 네일 분야를 중심으로 한 전문 박람회로, 매년 IECSC 뉴욕, 라스베가스와 함께 동시 개최되어 다양한 글로벌 바이어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기회의 장이다. 예전에 북미 시장은 프랑스와 캐나다 브랜드가 주도하는 경쟁 구도였으나, 최근 K-뷰티가 합리적인 가격과 뛰어난 품질을 바탕으로 도전장을 내밀어 성과를 내고 있다. 2024년 한국 화장품이 미국에서 기록적인 판매율을 기록하며 수입화장품 시장 1위를 차지했으며, 품목 다양화를 위해 기업들은 뷰티 미용분야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해외전시전문기업 코이코(KOECO, 대표 김성수)에 따르면 IECSC/IBS에는 매년 3만명 이상의 참관객이 방문하는 프로페셔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