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업계에 ‘안전성+친환경’ 쓰나미... 서울에서 ‘국제 화장품 안전성 심포지엄’ 개최

화장품업계에 ‘안전성+친환경’ 쓰나미... 서울에서 ‘국제 화장품 안전성 심포지엄’ 개최

CIR ICCS 규제조화기관 및 글로벌 브랜드 규제 담당자 참여... 안전성 평가 최신 동향 및 사례 분석 발표 ‘한국형’ 화장품 안전성 평가 연구 사례 발표에 기업 안전성 평가사들 쫑긋

글로벌 화장품 시장이 ‘안전성 평가와 친환경(Green Deal)’을 화두로 요동치고 있다. 현재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는 2013년 유럽을 필두로 2021년 중국, 2023년 미국, 아세안-5개국 등에서 의무화됐다. 우리나라도 2028년 도입을 확정했다. 이런 배경 하에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은 20~21일 글로벌 화장품 안전성 심포지엄을 로얄호텔서울 로얄볼룸에서 열고 ‘한국형’ 안전성 평가 방안을 모색했다. 심포지엄에는 ▲ 규제 조화_CIR, ICCS 담당자 ▲ 화장품 성분_ 안전성 평가 새로운 접근법(NAMs) 차세대 위해평가 접근법(NGRA) 독성학적 역치(TTC) 상관성 방식(RAx) QSAR ▲ 글로벌 브랜드의 활용 사례_ 로레알 에스티로더 P&G 아모레퍼시픽 각 규제담당자의 사례(case study) ▲ 한국형 안전성 평가 방안 등이 각각 발표된다. 규제 조화기관, 학계, 글로벌 브랜드 규제담당자 등이 모두 참여했으며, 화장품 안전성 평가 관련 대규모 학술대회가 한국에서 열리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런 만큼 120여 명 심포지엄 참석자들은 최신 동향에 귀를 기울이는 모습이었다. 첫날(20일)에는 △ 글로벌 화장품 안전성 규제 개요 및 대한민국 안전관리 동향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이정표 실장) △ In-silico 기법을 이용한 화장품 성분 안전성 평가 (덕성여자대학교 정주희 교수) △ 감작성 위험 식별, 정량적 위해성 평가, IFRA 규정 준수 (Estee Luader Dr. Mihwa Na) △ EU 화장품 규제 동향 및 규제 예측 (COSMED Dr. Caroline Bassoni) 등이 발표됐다. 먼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이정표 실장은 ’글로벌 화장품 안전성 규제 개요 및 대한민국 안전관리 동향‘을 발표했다. 그는 EU 국가에서의 화장품 위해평가 체계(2트랙)을 소개하고, 제품정보파일(PIF)의 수록 정보를 설명했다. 이 실장은 “화장품 안전성 보고서(part A)의 ’이상반응‘의 경우 한국 기업들은 출시 전 자료를 만들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출시 후에도 소비자의 반응을 꾸준히 모니터링해 업데이트 해야 한다”라며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 업데이트는 우리나라도 도입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강조했다. 대만도 PIF 관리방법을 수립하고 △ 특정용도 화장품 2024년 7월 1일 △ 영유아용, 구강·입술·눈 화장품 2025년 7월 1일 △ 일반화장품 2026년 7월 1일 각각 시행 예정이다. 덕성여대 정주희 교수는 ’In-silico 기법을 이용한 화장품 성분 안전성 평가‘를 소개했다. In-silico 프로파일 작성 지침은 ① chemistry(물리화학적 특성)-국내외 데이터 수집 ② 용도 ③ 독성학 정보(toxicokinetics, toxicity) ④ 데이터베이스에 실험데이터가 없는 경우 GHS 유해성, 휴먼 데이터, in-vitro test ⑤ QSAR 모델 등을 충족해야 한다. 정 교수는 “차세대 위해평가 접근법의 하나로 2024 화장품 성분 안전성 평가 연구사업을 통해 400가지 성분의 안전성 평가를 시행했다. in silico 모델 결과의 기술 방법으로 △ in silico 모델 결과와 일치할 경우, 그 결과를 기술 △ in silico 모델 결과가 상이할 경우, 불일치를 기술하고 결과를 첨부 △ 해당 화학물질의 구조 정보가 불충분해 QSAR 모델링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 △ QSAR 모델 적용 결과 해당 화학물질이 적용 가능 영역 밖일 경우 등을 각각 기술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에스티로더 Dr. Mihwa Na는 포뮬러의 피부 감작성 식별과 정량적 위해평가를 발표했다. 감작성은 패치에 의한 관찰 결과 시험대상의 15~20%에서 Key event 1~4단계에서 염증(자극)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 in chemico & in vitro data ▲ in silico data ▲ in vivo data ▲ Human data 등을 수집해 제품에서 정량적 위해평가로 AEL/CEL 〉 1이면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 연사로 나선 COSMED 카롤린 바쏘니(Caroline Bassoni) 규제담당자는 “화장품 기업에게 친환경 쓰나미가 강타하고 있다. 코스메드는 프랑스의 1030개사가 모인 프랑스 제1 화장품협회로 중소기업이 80%가 참여한다, 유럽의 그린딜(Green Deal)의 친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이에 대응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유럽 그린딜은 화장품 관련 환경 이슈로 ➊ 패키징 재질 폐기물 ➋ 물 오염 ➌ 생물 다양성 ➍ 기후변화 등을 제기하고 있으며, EU 위원회는 ▲ 소비자 안전 ▲ 환경 보호 ▲ 시장 공정성 ▲ 지속가능한 기준의 글로벌 리더십을 강조하고 있다. 패키징은 재활용 → 재사용 → 과대포장 줄이고 감축 등 3단계 에코 디자인을 지향하고 있다. 바쏘니는 “프랑스에선 패키징의 ’재사용‘ 정의를 보면 △ 몇 회나 재사용 가능한지 △ 가능한 재사용의 횟수 △ 소비자의 건강, 안전, 요구사항 반영 △ 포장재의 최소 공간 비율 △ 포장재의 기능을 유지하고 다시 수리할 수 있는 디자인 등을 규정하고 있다. 2030년 1월까지 사용된 포장재의 40%를 재사용해야 한다”라며 "친환경 쓰나미가 화장품 기업을 압박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화장품의 80%를 구성하는 물(水) 오염도 문제다. 도시 폐수의 주범으로 제약(66%)과 화장품(26%)이 꼽히며, 두 산업이 132억유로를 부담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오염원을 배출하는 산업이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밖에 “광고나 홍보에 친환경을 주장하려면 근거 제시는 물론 한발 더 나아가 ‘환경에 도움을 주고 있다’라고 표기할 정도로 그린딜은 요구한다. 바쏘니는 ”이에 따라 친환경 라벨, 인증을 받으려면 새로운 규정에 따라 추가로 인증을 받아야 하며 관련 비용도 발생할 가능성 높다“라며 ”미세 플라스틱, 실리콘 D5 & D6, PFAS, 물 문제 등 화장품 업계로선 새로운 도전 과제를 받아든 상태“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한편 ‘2024 국제 화장품 안전성 심포지엄’은 둘째 날(21일 ‘최신 대체 시험법 트렌드‘를 주제로 △ 대한민국의 화장품 위해평가 체계 (단국대학교 김규봉 교수) △ 화장품 성분 안전성 검토 (CIR Dr. Jinqiu Zhu) △ 동물대체시험법 접근 방식 (Estee Lauder Dr. Mihwa Na) △ 규제 의사결정을 위한 NGRA 활용 촉진 협력 방안 (ICCS Dr. Donna Macmillan) △ 예측시험법을 활용한 천연추출물 안전성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임경민 교수) 등 최신 연구 동향과 실제 적용 사례가 소개될 예정이다. ※ 용어설명 독성동태 (Toxicokinetic) 체내에서 화학물질이 흡수 분포 대사 배설되는 과정(ADME)을 연구하는 과학적 분야. 약물동태(Pharmacokinetics, PK)와 유사하지만 독성동태는 주로 독성 물질이나 화학 물질의 체내 거동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춰 독성 위험을 평가하고 안전한 노출 한계를 설정할 수 있음 새로운 접근 방법론 (New Approach Methodologies, NAMs) 동물시험을 대신하여 화학적 위험 및 위험평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 방법론, 접근법 또는 이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세포주를 사용한 시험관 내 시험법 또는 컴퓨터 기반 예측 모델을 사용하는 in-silico 알고리즘 및 QSAR 등이 모두 포함됨 In silico (컴퓨터 내) 시험 컴퓨터 내에서 를 의미하며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모델링을 통해 생물학적 및 화학적 반응을 실험. (정량적) 구조-활성 관계 모델링, 구조적 또는 기능 유사성에 기초한 물질간 RAx을 사용하는 계산 접근법(ICCR, 2014) TTC (Threshold of Toxicological Concern) 접근법 특정 화학물질에 대한 독성데이터가 없을 때 노출 수치가 특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 해당 물질이 인체 건강에 유해하지 않다고 간주하는 접근 방법 ('화장품 성분 안전성 평가 정보집'에서 인용)





민원 5375건 분석...‘화장품 자주하는 질문집’
식약처는 최근 ‘화장품 자주하는 질문집’과 ‘표시·광고 가이드라인’을 개정, 배포한다. 이번에 제정된 질문집은 최근 3년간 국민신문고에 접수된 민원 5375건을 분석해, 그중 235건을 선별·정리했다. 주요 질문내용은 ▲업 등록 ▲제조시설 ▲표시기재 ▲광고 ▲제품분류 ▲품질·안전관리 ▲기능성화장품 ▲수출입 ▲천연·유기농화장품 ▲기타 등 10개 주제로 분류 소개 된다. 화장품 표시·광고 가이드라인에는 업계·학계·소비자단체 등 표시·광고 민관협의체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해 ▲모발 관련 광고 표현 허용범위 확대 ▲신체 관련 금지표현 대상 명확화 ▲광고 실증대상 추가 등이 포함됐다.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 의학적 효능·효과 관련, 금지표현은 ·아토피 ·모낭충 ·심신피로 회복 ·건선 ·노인소양증 ·살균 소독 ·항염 진통 ·해독 ·이뇨 ·항암 ·항진균 항바이러스 ·근육 이완 ·통증 경감 ·면역 강화, 항알레르기 ·찰과상, 화상 치료·회복 ·관절, 림프선 등 피부 이외 신체 특정부위에 사용하여 의학적 효능, 효과 표방 ·기저귀 발진 등 질환명을 사용하면 안된다. 현행 법령상 화장품의 표시·광고 관련해서 사전 심의는 하지 않으나 대한화장품협회에서 광고 자율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영상뉴스

더보기


포토뉴스


“사업은 운을 좇고 바로 대응할 수 있어야" 작년 말 막바지에 현지 기업 컨설팅 의뢰를 받았다. 스토어 매출 컨설팅과 필요하다면 마케팅도 동시에 진행해 달라는 제안이었다. 막상 스토어 현황을 리뷰하고 느꼈던 건 마케팅도 문제지만 애초 대부분 고객이 여성인데 이에 맞춰 판매할만한 제품이 제대로 선정이 되어 있지 않았다. 이 기회에 ‘알맞은’ 제품을 소개하면 어떨까 생각이 들었고, 마침 오래 공들여왔던 한국 화장품과 연결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매대 공간을 많이 확보해 대략 20개 브랜드 이상 약 50개 SKU 입점이 가능하게 되었다. 말 그대로 기본만 갖춘 브랜드라면 쉽게 제안할 수 있는 절호의 찬스였다. 근데 제품을 넣으려 하니 어려운 상황을 마주하게 됐다. 기초화장품이라면 인증이 아니더라도 제품 또는 브랜드 등록 절차를 받아뒀어야 했다. 대행 가능할 정도의 기본이라도 갖췄으면 좋았을 텐데 뒤늦게 진행하기도 쉽지 않았다. 제품 등록과 라벨은 필수 작업이다. 또한 캐나다의 경우 영어뿐만이 아닌 불어 표기가 필수인데 불어는커녕 영문 표기도 엉터리인 브랜드가 대부분이었다. 미리 준비해두라고 그렇게 강조했지만 실제로 준비한 기업은 없었다. 또 뒤늦게라도 덤벼들려는 간절한 고객도 없었다. 그나마 미리 준비


로레알코리아×네이버, 지속가능성을 위한 업무 제휴 협약 체결 로레알코리아가 18일 네이버와 지속가능성을 위한 업무 제휴 협약(Green Joint Business Plan)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의 환경 및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여 지속 가능한 방식의 사업 활동을 지원하고 환경적 영향을 검토 및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 삼성동 로레알코리아 사옥에서 진행된 이날 협약식에는 사무엘 뒤 리테일 로레알코리아 대표, 채선주 네이버 대외/ESG 정책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공동계획을 수립해 양사의 직간접적 환경적 영향과 더불어 환경 및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포괄적인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는 환경적 책임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핵심 가치로 하며 ▲ 광고 집행 시 발생하는 탄소 감축 ▲ 친환경 소비 촉진 ▲ 사회적인 임팩트를 위한 협업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로레알코리아는 네이버 플랫폼 내 광고 집행 시 탄소 배출량을 모니터링하고 감축 방안을 공동으로 모색하고, 리필제품 프로모션 등을 통해 친환경 소비문화 확산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양사는 이미 지난 10월 25일부터 31일까지 '럭셔리 라운지 리필 위크'를 성공적으로 진행한 바 있다. 아울러
[신윤창소설] 인식의 싸움 105. 모델 선발 대회(13) 다음 날 오전 간단한 일정과 함께 본선 진행사항에 대해 본격적인 회의가 진행되었다. 신팀장은 이벤트 대행사가 제시한 두터운 큐 시트를 하나하나 꼼꼼히 살펴보며 동선과 시간을 일일이 체크하였다. 점심시간이 다 될 때까지 폭풍 같은 미팅에 모두들 지쳐가고 있을 즈음에 신팀장의 휴대폰이 계속 울렸다. 누나였다. 신팀장은 중요한 회의가 방해가 되어 휴대폰을 받지 않고 껐다가 점심시간이 되어서야 비로소 누나에게 전화를 하였다. 전화기 넘어 다급한 누나의 목소리가 들렸다. “왜, 이리 전화를 안받아?” “응, 중요한 회의 중이라서…” “어머니 상태가 좋지 않으셔, 빨리 병원으로 와야겠어.” “뭐라고? 여기 지금 대관령인데 어쩌지? 오래 걸릴텐데…” “아무튼 빨리 와!” 신팀장은 오후 나머지 일정을 조윤희와 허진희에게 맡기고 한 달음에 차를 몰아 병원으로 향했다. 4시간이 되어서야 병원에 도착한 신팀장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수술 동의서였다. 어머니의 병세가 호전되는 듯하여 그 동안 안심하였는데, 어제부터 갑자기 악화되며 의식을 잃으셔서 이제는 최악의 수단으로 수술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일단 의사는 수술이 그리 어려운 것은 아니니 걱정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