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는 온라인상의 의료기기법 위반 광고 112건을 적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광고 자율심의를 받은 광고 건 중 일부인 300건 점검 결과 37%가 위반한 것이다. 이들 광고에 대해서는 접속차단을 요청(게시자, 방송통신심의위원회)하고 게시자에 대해 관할지방 식약청 및 보건소를 통해 행정처분을 의뢰했다. 주요 광고 위반 유형은 ▲의료기기를 의료기기가 아닌 것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광고(21건) ▲성능, 효능·효과 거짓·과대 광고(20건) ▲체험담(사용자 후기 등) 이용 광고(18건) ▲허가·인증·신고 사항(사용목적 등)과 다른 광고(13건) ▲최고, 최상 등 객관적 입증 어려운(절대적) 표현 사용 광고(7건) ▲사용 전후를 비교해 효능·성능을 광고(5건) ▲그 외 위반(28건) 등이다. 예를 들어 의료기기로 허가받은 사지압박 순환장치를 마사지기(공산품)로 표방하거나, 비강확장기 광고 시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증상(피로, 집중력 장애, 불안감 등)을 나열하여 사용목적 외 효능·효과를 광고하는 경우 등이다. 또한 실제 사용자의 사용후기를 사진 형태 등으로 본떠 광고 내용에 포함, 브이로그·블로그를 이용한 실제 체험담 광고(판매 링크 및 거짓·과대광고도 내용) 등도
식품의약품안전처 김강립 처장은 14일 뷰티·바이오 연구단지(LG사이언스파크, 서울 마곡동)를 방문하고 화장품 업계와 협회 등 전문가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한 산업계의 자율 안전관리 방안과 정부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세계시장에서 국제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이노베이션센터를 방문하고, ‘화장품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의 발제에 이어 전문가 의견 청취 및 자유토론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회의에는 김강립 처장 및 식약처 바이오생약국 김상봉 국장,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한국콜마, 코스맥스 등 각사 관계자 및 대한화장품협회 이명규 부회장,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 박진영 회장 등이 참석했다. 김강립 처장은 “그간 우수한 기술력, 업계의 노력, 정부의 정책적 지원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룬 화장품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업계도 우리나라 화장품이 전 세계에서 변함없이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품질과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업계·협회 전문가들은 “세계 3위의 수출 강국으로 도약한 화장품 산업이 계속 성
더마 코스메틱기업 더마펌(대표 한윤재)은 13일 바이오소재 기업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최병진, 박시준 각자대표)와 고효능 화장품 신소재 개발 및 더마코스메틱 사업협력 강화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는 식물 엑소좀 분리 정제 기술, 식물 유전공학 기반 생합성 기술, 생리활성물질 안전화 기술 등 다양한 바이오 소재기술 플랫폼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식물에 존재하는 세포외 소포체인 ‘플랜트 엑소좀’을 고효율로 대량 양산할 수 있는 기술(기술명: ExotractionTM)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플랜트 엑소좀’ 내의 유전자 정보 분석, 효능 메커니즘 확인 및 안정화까지 기반기술부터 응용기술까지 폭넓은 기술력을 갖춘 회사로 알려져 있다. 차세대 효능 소재인 ‘엑소좀’은 세포 간 신호를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을 하는 약물전달체로서 2022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선정한 10대 미래 유망기술로 선정된 바 있다. 특히 식물이 직접 만들어내는 ‘플랜트 엑소좀’은 식물 본연의 생명력과 효능을 효과적으로 전달, 극대화할 수 있는 핵심 성분으로 화장품을 비롯한 의약·헬스케어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더마펌은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와의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더마펌만의 독
한국콜마는 14일 보도자료를 내고 글로벌 패키징 전문기업 ‘연우’ 인수를 공식화했다. 인수가는 2864억원이다. 한국콜마는 “연우 인수를 통해 화장품 사업의 밸류체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실한 성장 모멘텀을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인수에는 CJ헬스케어(현 HK이노엔)를 비롯해 미국 화장품 제조기업인 PTP, 캐나다 CSR 등의 인수를 이끌었던 윤상현 한국콜마 부회장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에서 연우 인수를 결정했다는 후문이다. 한국콜마는 국내외 화장품업계의 최대 화두인 친환경 용기 화장품 시장의 주도권을 확실히 선점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2020년 친환경 종이튜브를 전세계 최초로 상용화시켰던만큼 화장품 용기 제조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연우와 함께 시너지를 극대화시켜 나간다는 구상이다. 연우도 3R(Recycle, Refill, Reduce)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용기 개발에나서, 지난 2월에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추적·관리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국제 친환경 인증 ‘ISCC PLUS(International Sustainability & Carbon C
일본 화장품시장 현황과 화장품 제도 및 인허가 절차에 대한 무료 웨비나가 코트라 주최로 4월 21일 열린다. K-뷰티의 핫한 시장이 일본. 대한화장품협회에 따르면 올해 대 일본 1~2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은 1억 1762만달러로 화장품 수출국 3위다. ‘21년 화장품 수출 증가율은 22.7%에 달한다. 이번 세미나는 코트라에서 진행하며 ▲일본 친환경 화장품 시장 동향 및 진출전략 ▲일본 화장품 제도 및 수입 절차 ▲일본 전자상거래 시장동향, 라쿠텐 입점 절차 및 진출전략 Q&A 등 현재 진행형의 실무 강의가 예정돼 있다. 참가 희망기업은 https://www.kotra.or.kr/subList/20000005986/subhome/bizAply/selectBizMntInfoDetail.do?bizNo=EV0102220002&scrnSe=bizAply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글로벌 화장품 ODM 1위 한국콜마가 용기 제조 1위 연우를 인수했다. 공시에 따르면 연우의 기중현 대표와 배우자 김여옥 씨의 지분을 주당 4만2천원씩 681만8900주를 한국콜마가 인수하는 계약을 13일 체결했다. 한국콜마는 연우의 지분 55%를 가진 최대 주주로 올라 연우를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3월 31일 주총에 보고된 연우의 ‘21년 매출액은 2871억원이며 영업이익 299억원, 당기순이익 264억원 등이다. 연우는 1994년 설립되었으며 펌프, 튜브 용기의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및 해외에 화장품용기를 제조, 공급하며 국내 1위에 올라섰다. ’21년 매출액 중 펌프용기가 2075억원(72.3%), 튜브형 용기 376억원(13.1%), 견본용 용기 376억원(13.1%) 등의 구성을 보였다. 연우는 국내 최초로 화장품 디스펜스 펌프를 개발하였으며 내용물의 적정한 토출과 공기 차단 기능이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관련 지적재산권 840건을 보유 중이다. 주요 거래처는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등이다. 중국 상해에 판매법인과 후저우에 생산법인을 두고 있으며 연우 차이나는 코스맥스, 한국콜마를 비롯한 중국 현지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한다. 한국콜마그룹
일상회복을 앞두고 경기회복 기대감으로 2분기부터 오프라인은 기지개를 켜고 온라인은 한풀 꺾일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화장품의 펜트업 효과(pent-up effect)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위드 코로나시대에도 이머커스, 디지털 콘텐츠 및 관련 플랫폼의 영향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한편 그간 도외시 된 패션 및 뷰티산업의 펜트업 소비가 기대된다"고 분석한 바 있다. ('펜트업'이란 소비가 억제된 기간 이후에 나타나는, 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수요의 급속한 증가를 말한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매유통업체 1천개 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2년 2분기 소매유통업계의 경기전망지수(RBSI)는 ’99‘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소비심리가 개선되면서 소매업 경기가 본격적으로 정상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RBSI가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의 소매유통업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업태별로는 백화점(111)이 지난 분기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고, 슈퍼마켓(82→99), 대형마트(88→97), 편의점(85→96) 등 다른 대면채널도 리오프닝
쫑차오(种草)→빠오콴(爆款). 인터넷 추천에서 히트상품 탄생을 일컫는 중국 온라인 채널에서의 성공 방정식이다. 즉 “중국 소비자 사이에서 좋은 제품이나 정보를 공유하고 추천하며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일명 쫑차오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중국에서 인기 있는 홍보 방법으로 제품을 구매한 후에는 ‘샤홍수(小红书)’에 추천하고 새로운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는 중국판 지식인 ‘즈후(知乎)에서 이용자 후기를 체크하는 것이 젊은 세대의 소비습관”이라는 설명이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1호에서 인용) 최근 쫑차오→빠오콴 전 과정을 단일 플랫폼에서 해결하는 더우인(抖音)에서 ’라이징(rising) 브랜드‘가 되려는 경쟁이 뜨겁다. ‘21년 중국 라이브커머스 시장 점유량 플랫폼 비교 조사에서 더우인(38.91%)은 타오바오(31.13%), 콰이쇼우(29.67%)를 제치고 선두로 올라서며 지각변동의 주역으로 떠올랐다. 그 배경에는 유튜브와 같은 짤영상이 있다. 글(text)이 아닌 짧은 동영상(短視頻, shot clip, shot form)만 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Z세대가 하루에 6시간 들여다보는 앱(App)이 더우인. 이곳에선 검색부터 구매, 후기까지 하
5년간 2036억원을 투입하는 ‘글로벌 뷰티산업 허브, 서울’의 기본계획이 4일 확정됐다. 서울시는 화장품 유통과 뷰티서비스의 최대 상권인 ‘서울’의 뷰티산업을 패션·디자인, 뷰티테크 분야까지 확장하고 K-콘텐츠를 더해 감성 매력 도시로 도약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의 구체적인 목표로 ▲’25년까지 현재 8개 수준인 뷰티 패션계의 예비유니콘 기업을 12개로 확대 ▲뷰티·패션계의 세계 100대 기업에 포함된 4개 기업을 6개로 확대 ▲현재 6만명 규모의 서울형 뷰티산업 일자리를 10만 명으로 증가 ▲올해 처음 개최하는 서울뷰티위크를 세계 3대 뷰티박람회 중 하나로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계획은 4대 분야 11개 핵심 과제를 제안한다. 4대 분야는 ①글로벌 뷰티산업의 거점, 클러스터 조성 ②선순환 산업생태계 조성 및 고부가가치화 ③마케팅 강화 및 글로벌 진출 확대 ④K-컬쳐 융합을 통한 뷰티 도시 서울 매력 극대화 등이다. 먼저 DDP를 서울 뷰티산업 트렌드 주도 핵심기지로 조성한다. 이곳에 190여평 규모의 뷰티복합문화공간(가칭)을 조성해 7월 개관한다. 인근에 사업자와 고객의 소통 플랫폼으로 ‘서울 뷰티패션 허브’를 조성한다. 중장기적으로 동대문 패
국내산 감초에 화장품 미백 성분인 폴리페놀 성분이 많고 열처리 할 경우 성분 함량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국내산 감초의 미백 성분을 높이는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내산 감초)에 많은 폴리페놀 성분인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은 감초의 대표적인 기능성분으로 항산화, 미백 등 다양한 기능성이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국내산 감초를 130℃에서 1시간 정도 열을 처리한(고온고압 추출) 결과 처리 전보다 감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6%, 그중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은 80%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또 열처리 전보다 항산화 효과는 70% 높아졌고, 갈색 색소인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도 20% 증진됐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작년 9월 국제학술지인 ‘분자생물학의 최근 이슈’(Current Issue in Molecular Biology)에 게재됐고, 관련 특허 출원을 마쳤다고 전했다.(출원명: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 미맥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10-2020-0178039) 실험에 사용된 ‘재래종’ 감초와 농촌진흥청 자체 개발한 감초 품종 ‘원감’의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의 기능성 안티에이징 브랜드 이자녹스는 잠재기미부터 속기미·겉기미까지 뿌리깊은 기미 고민을 케어하는 ‘LXNEW 비타멜라 크림’을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기미 생성 과정을 ①피부 속 멜라닌 합성 효소 발현 억제 케어 ②합성 억제 케어 ③이동 억제 케어 ④산화 억제 케어 등 세분화 된 4-step 케어를 통해 잠재기미·속기미·겉기미 완화에 도움을 준다는 설명이다. 실제 40~59세 성인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한 인체적용시험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속기미 완화 및 짙어지기 쉬운 겉기미 면적 및 밝기 완화 등의 효과를 입증했다. 또한 피부 자극 테스트까지 완료해 안심하고 사용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LXNEW 비타멜라 크림’에는 5가지 멀티비타민 성분과 4가지 항산화 성분, 콜라겐으로 이뤄진 피부 활력 콤플렉스를 함유한다. 지친 피부에 생기를 불어넣고 맑은 광채를 찾아준다는 설명이다. 또한 스쿠알란과 판테놀 등 영양 보습 성분 12%를 함유하여, 끈적이지 않는 편안한 보습감을 선사한다. 이자녹스 마케팅 담당자는 “‘LXNEW 비타멜라 크림’은 어느덧 진해진 피부 겉기미, 피부 속 자리잡은 수많은 잠재기미와 속기미까지 모두 케
6일 성신여대 뷰티융합대학원의 ‘제1기 성신 월드 뷰티 최고위 과정’이 서울 미아운정그린캠퍼스에서 개강했다. 이날 첫 수업을 기념해 성신여대 양보경 총장이 축사를 건넸고, 뷰티융합대학원 김주덕 원장은 환영의 인사를 전했다. 성신여대 양보경 총장은 “국내외 최상위 뷰티 전문 교육기관으로 체계적인 실무과정과 심화과정을 통한 타 전공 간의 유기적 허브 구축의 기회를 가진 최고의 CEO로 거듭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뷰티융합대학원 김주덕 원장도 “뷰티산업을 국가 미래 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학계와 업계 최고 전문가들이 모이는 최고위 과정을 개설했다”며 “대한민국의 화장품이 세계적인 명품 반열에 올라가기 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며 격려했다. 현재 K-뷰티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기반으로 한 연구개발·제조생산·유통·마케팅 등의 가치사슬 강화가 업계의 과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위드 코로나 속 빠르게 변화하는 4차산업과 미래의 뷰티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융·복합형 인재 양성만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선제적 대응임은 분명하다. 성신 월드 뷰티 최고위 과정은 뷰티 산업의 경영전략·성공 사례 분석 및 뷰티 산업을 다각도
중국에서 코로나19로 홈 뷰티가 활성화되면서 셀프 네일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2030 여성들이 매니큐어 소비의 85.5%를 차지하면서 주 소비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11월~2022년 1월 사이 중국 화장품 매체 기사량 1만4천여 건의 빅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네일 아트의 발생 빈도가 3,624로 전년에 비해 55%의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발맞춰 네일 스티커 제조사인 ㈜비포텍(대표 김진석, 구 뷰티인더스트리)은 가평 신공장을 준공하고 OEM·ODM 생산 채비를 갖췄다고 밝혔다. 비포텍은 액상 매니큐어 성분인 니트로셀룰로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신개념 네일 스티커 제조업체다. 비포텍 '리얼 매니큐어 네일 스티커'의 특징은 매니큐어를 바른 듯 가벼운 밀착감, 공기 순환성, 얇은 두께감이다. 기존 합성수지 젤 네일 스티커의 단점으로 지적돼 온 손톱 손상이 없고 유통기한도 2년 이상(미개봉 시)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말 가평 신공장으로 생산라인을 이전하고 추가 생산시설 구축과 안정화에 힘써 기존 월 60만 개 생산량을 월 100만개 수준까지 끌어올렸다고 비포텍은 설명했다. 향후 추가 증설을 위한 생산
왕후의 복식을 입어보고 장신구 떨잠에서 영감을 얻은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을 프랑스 아티스트의 메이킹 필름을 통해 감상한다.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의 ‘후’가 오픈한 ‘디지털 갤러리’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공간. ‘후 천기단 스페셜 에디션’의 디자인에 담긴 왕후의 복식과 장신구의 실제 이미지를 360도 VR 영상으로 구현, 궁중 생활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다. 이번 패키지는 프랑스 아티스트 피에르 마리(Pierre Marie)와 협업, 왕후의 복식과 장신구들을 생생하게 재현하고 스튜디오 메이킹 필름을 통해 패키지 디자인의 의미를 소개한다. ‘천기단 패키지’는 왕후의 복식인 대례복과 장신구인 떨잠 등에서 영감을 받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는 설명이다. 왕후의 지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궁중의 특별한 의례에 사용되어 화려하고도 섬세한 아름다움을 살펴볼 수 있다. 후를 대표하는 글로벌 메가 라인인 ‘천기단’은 노화와 관련된 피부 고민들을 다스리는 30여 가지의 궁중 피부 비방을 배합한 천기비단 성분의 다양한 제품 구성이 눈에 띈다. △ 풍부한 영양으로 피부에 윤광을 선사하고, 탄력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현 밸런서’와 ‘화현 로션’ △천기단
뷰티 빅데이터 플랫폼 메저커머스(대표 손정욱, 천계성)는 오픈서베이, 와디즈와 공동으로 뷰티 트렌드 세미나를 오는 4월 21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온라인 라이브 형식으로 진행되며, K-뷰티 실무 담당자들이 상품기획 및 마케팅에 참고해야 할 최신 트렌드를 제시한다. 특히 메저커머스의 신지선 뷰티 애널리스트는 글로벌 뷰티 아이템 55억개를 분석하고 국내시장의 급성장 인디 브랜 케이스 및 중소 브랜드가 주목해야 할 라이징 트렌드를 소개한다. 오픈서베이의 신주연 이사는 미국과 국내 시장을 비교해 한국 소비자의 특성, MZ세대의 뷰티 소비 특징, 뷰티시장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통해 성장 방향을 전망해본다. 와디즈 우창성 PD는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뷰티 브랜드 론칭에 필요한 노하우를 설명한다. 행사를 주관한 메저커머스 천계성 공동대표는 “시장 진입 노하우, 온라인시장 급성장, 소비자 심층분석 등의 3부로 구성된 세미라를 통해 K-뷰티 담당자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가 전달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참가신청은 https://measurecommerce.ai/webinars 를 통해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