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크업 전문 브랜드 티르티르(TIRTIR)는 안병준 대표가 새롭게 취임함에 따라 기존 이지철 대표와 공동 대표 체제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안병준 대표는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회계법인에서 경력을 쌓은 회계전문가다. 2013년 한국콜마 기획관리본부 전무로 입사한 후 2017년 대표이사에 올랐다. 안 대표는 “티르티르가 전 세계 고객들에게 더욱 신뢰받는 브랜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진정성 있는 소통’을 핵심 원칙으로 삼겠다”며,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확고히 자리매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티르티르는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한 안병준 대표의 합류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제품 품질 및 포트폴리오 확장을 통한 경영 전반의 긍정적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기능성화장품 가운데 자외선차단제 심사 건수가 가장 많았으며, 큰 폭 증가한 것은 염모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식약처의 ‘2024년 기능성화장품 심사 현황’에 따르면 총 964건(제조 760건, 수입 204건)이 심사받았으며 이는 ’23년(944건) 대비 20건(2.1%) 증가한 수치다. 기능성 별 분류를 보면 △ 자외선차단제(321건) △ 염모제(166건) △ 삼중기능성(미백·주름·자외선차단)(158건) △ 탈모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72건) 순이었다. 삼중기능성(미백+주름개선+자외선)은 158건, 미백+주름개선+피부장벽은 1건이었다. 사중기능성(미백+주름개선+자외선+피부장벽)은 12건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23년에 이어 ’24년에도 자외선차단제 심사가 단일 기능성 제품 중 약 46.9%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도 꾸준히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외선차단 기능성을 가진 단일+이중+삼중+사중 기능성화장품은 모두 534건으로 전체 기능성화장품의 절반 이상(55%)을 차지한다. 심사 품목의 제형을 살펴보면, 액상, 로션, 크림 외에도 하이드로겔, 쿠션, 이층상(다층상) 등 다양한
원료주의 스킨케어 브랜드 스킨1004(스킨천사)가 2024년 매출 2800억원, 영업이익 770억원을 돌파하며 5년 연속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21%, 571% 증가한 수치다. 스킨1004는 2020년 매출 77억원을 기록한 이후 매년 실적을 경신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동남아 등 해외 매출 비중이 98%에 달했다. 각국의 온, 오프라인 유통망을 확장하고 현지 수요에 맞춘 마케팅으로 소비자 접점을 강화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우선 미국 ‘울타뷰티(ULTA)’의 1300여 개 매장에 신규 입점하고, ‘아마존(Amazon)’과 ‘왓슨스(Watsons)’ 등 대형 유통 플랫폼에서 프로모션을 집중했다. 현지 선호도가 높은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히알루-시카 워터핏 선 세럼’,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라이트 클렌징오일’ 등의 제품으로 소비자 공략에 나서면서 아마존에서 클렌징 부문 판매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일본과 중국 등에서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주력했다. 지난 4분기 일본 큐텐의 ‘메가와리’ 행사에서 인플루언서와 콜라보 상품을 출시해 전체 판매 랭킹 2위를 차지했다. 중국에서는 현지 팬
‘2025 코스모프로프 마이애미 미용 박람회’(1월 21~23일)가 미국 마이애미비치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지리·문화적으로 남미 시장 관문 역할을 하는 마이애미에서 개최되는 ‘코스모프로프 마이애미’는 남미 지역 바이어와 글로벌 뷰티산업 관계자들이 대거 방문한다. 남미 시장과의 교류를 강화할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으로 평가된다. 해외전시전문기업 ㈜코이코는 지난해에 이어 한국관 규모를 확장해 30여개 뷰티 기업이 참가했다고 밝혔다. 남미의 주요 유통 업체, 뷰티 전문가들이 한국관을 방문하여 K-뷰티 제품의 경쟁력과 품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소식이다. 특히 ‘트렌디 K-뷰티’를 확인하기 위해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반영한 스킨케어, 메이크업, 뷰티 디바이스 등 다양한 제품군에 관심을 보였다. 특히 에스테틱 기능을 갖춘 스킨케어 제품은 남미 바이어 및 글로벌 참관객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남미 시장에 K-뷰티의 혁신 제품을 선보이는 박람회로 주목된다. 한 한국공동관 참가사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 참가를 통해 남미 소비자들에게 브랜드를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남미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뷰티 트렌드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어 향후 제품 개
화장품 총 수출액 중 K-인디 중소기업 수출액은 66%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 중국 43% △ 미국 71% △ 일본 75%로 중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K-인디 브랜드가 화장품 수출을 견인했다. 23일 중소벤처기업부의 ‘2024년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중소기업 수출 품목 1위는 화장품으로 68억달러(+27.7%)였다. 이어 △ 자동차(51.1억 달러, +4.2%) △ 플라스틱제품(50.3억 달러, +4.2%) △ 자동차부품(43.8억 달러, +1.9%) 순이었다. 중소기업 10대 수출품목 중 화장품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중소기업 단일 품목으로 최초로 60억달러를 돌파했다. 특히 화장품은 유일한 소비재로 중간재, 생산재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해 향후 한국 수출유망 품목으로의 독보적 입지를 보여줬다는 평가다. 국가별로 △ 중국(10.7억달러, -4.7%) △ 미국(13.4억 달러, +46.5%) △ 일본(7.5억달러, +29.4%) △ 베트남(4.5억 달러, +17.0%) △ 홍콩(4억달러, +40.5%) △ 러시아(3.4억달러, -2.5%) △ 대만(1.7억달러, +29.6%) △ 인도네시아(1.1억달러, +67.1%) 순이었다. 미국에선 20개월
'2025 볼로냐 코스모프로프'(3월 20~23일)의 정부지원 한국관에 110개사가 확정돼 최대 규모 한국관 구성이 예상된다.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 회장 윤주택)에 따르면 “코트라의 볼로냐 코스모프로프 박람회 정부지원 공동 수행기관으로 IBITA가 2025~2028년까지 최종 선정됐다”라고 밝혔다. 이로써 IBITA는 경북·충북·강원·제주 등 지자체 유관기관 및 개별 참가사 등 총 230여 개사로 한국관을 구성하게 됐다. IBITA 윤주택 회장은 “한국관 규모가 확대되면서 정부지원 또는 개별 바우처 및 지자체 그리고 개별 참가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또한 화장품·뷰티 분야 세계최고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관 참여 기업의 수출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IBITA는 중동 UAE 정부 부처와 협약체결 및 유럽 프랑스·이태리·스페인·영국·미국·독일·일본등 19개국 GCC(Global Cosmetics Cluster) 한국대표부로 활약하고 있다. 특히 볼로냐 코스모프로프 한국관 대표부로서 한국국가관 포함 국제관, 화장품관, 에스테틱관, 네일관, 헤어관,프리미엄관 등 각 홀별 좋은 위치를 확보하여 한국 참가기업의 부스 임차와 위
“중국 및 홍콩을 통해 미국으로 수출되는 위조화장품이 빈번하게 확인된다. 중국세관, 홍콩세관, 필요에 따라 미국 세관에 상표를 등록하고 모니터링하는 게 필수 조치다.” 이는 아이피스페이스(중국오피스) 문병훈 대표의 말이다. 그는 “판매량이 적다고 방치하지 말고 위조품 침해자에 대응 조치를 반드시 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아모레퍼시픽 지식재산팀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지식재산보호원 공식 협력대리인을 맡고 있다. ‘24년 K-뷰티가 미국, 일본 등 각국 수입 화장품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위조품 문제가 수출의 최대 걸림돌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 다수 브랜드사의 고민도 ➊ OTC 화장품 ➋ 위조품 대응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브랜드사만의 문제로 인식돼 개별 기업 단독으로 대책을 세우기 쉽지 않다. 때문에 업계 전체가 공동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21일 대한화장품협회가 주최한 ‘미국 시장으로 유통되는 중국산 위조화장품 대응 전략 웨비나’는 사전 등록자가 200여명이 몰릴 정도로 관심이 높았다. 아이피스페이스(IP Space) 문병훈 대표는 “K-Pop과 K-드라마의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한국 뷰티 브랜드의 미국, 일본시장 진출이 크게 증가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설 명절을 앞두고 753억 원 규모의 거래 대금을 협력사에 조기 지급한다. 이번 지급 대상은 아모레퍼시픽그룹의 9개 계열사에 원부자재, 용기, 제품 등을 공급하는 800여 개 협력사다. 오는 1월 31일까지 지급 예정이던 753억 원 규모의 거래 대금을 1월 22일부터 순차적으로 지급한다. 이상목 아모레퍼시픽그룹 대표는 “설 명절을 앞두고 자금 수요로 어려움을 겪는 협력사들의 자금난 해소를 지원하고자 예정 지급일보다 많게는 9일 빨리 납품 대금을 지급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방안으로 협력사와의 상생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