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화장품의 온라인 매출은 10조 3974억원으로 전년 대비 14.6%나 감소했다. 또한 온라인 해외직판(역직구) 매출은 1조1092억원으로 68.6%나 급감했다. 이중 면세점 매출액은 9607억원으로 87%를 차지한다. 먼저 ‘22년 12월 화장품의 온라인 매출액은 8641억원으로 전년 대비 8.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개월째 하락세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외부활동이 증가하고 리오프닝으로 소비 회복을 기대했으나, 화장품의 매출 부진은 계속 진행형으로 나타났다. 월간 매출액도 8천억원대로 고착되며 2018년 10월 수준으로 후퇴했다. 바닥을 확인하지 못함에 딸 2023년 온라인 매출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온라인 매출 신장을 위해 다양한 플랫폼과 제휴를 맺고 있으나 올리브영만큼의 확실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감성 상품인 화장품의 본질을 UX의 접점에서 구매전환율을 높이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한편 2022년 화장품의 면세점 및 온라인 해외직판(역직구) 매출은 1조1092억원(68.6%)으로 급감했다. 이중 면세점 매출은 9607억원이었다. 새벽마다 오픈런으로 화제를 모았던 따이공 등장 이전
아모레퍼시픽그룹은 1일 2022년 매출액 4조 4950억원(-15.6%) 영업이익 2719억원(-23.7%)의 실적을 공시했다. 최근 4년간 매출액 추이는 5.6조원(‘19)→4.4조원(’20)→4.9조원(‘21)으로 ’20년 수준으로 하락했음을 알 수 있다. 영업이익도 ’20년 수준으로 하락했으나 증권가 예상(2015억원)보다 선전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 관계자는 “중국의 소비 둔화 등 어려운 경영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주요 브랜드의 가치 제고 △북미와 유럽 등 글로벌 시장 다각화 △온라인 플랫폼 중심의 유통 포트폴리오 개편을 추진했다”고 지난 한 해를 평가했다. 실제 국내 온라인 매출 증가, 북미 시장의 매출 성장을 이뤄냈다고 덧붙였다. 주요 자회사들은 프리미엄 기능성제품의 판매 호조와 온라인 유통 중심의 구조 혁신을 통해 매출과 이익이 개선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그룹 전체 영업이익이 3331.5%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그룹 전체 화장품 부문 매출은 4조1673억원으로 집계됐다.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 매출은 2조 5813억(-16.1%) 영업이익 2182억원(-27.3%)으로 고전했다. 하지만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면서
LG생활건강이 4분기 어닝 쇼크로 18년만에 ‘역성장’이라는 성적표를 받았다. 31일 공시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의 뷰티사업은 4분기 매출 8701억원(-23.7%) 영업이익 792억원(-57.7%)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코로나 봉쇄로 면세점 등 주요 채널에서 매출 감소 영향을 받았다. 온라인채널의 경우 광군제 행사에서 틱톡, 콰이쇼우 각 뷰티 매출 1위를 달성했으나 전체 실적을 끌어올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국내에서는 ‘오휘’는 ‘더 퍼스트 메종’ VR 전시회를, ‘빌리프’는 유니버스를 접목한 오프라인 팝업 행사를 진행하는 등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며, 소비자와 온·오프라인 소통에 나섰다. 이로써 뷰티사업 연간 매출은 3조 2118억원(-27.7%) 영업이익 3090억원(-64.7%)으로 어닝 쇼크를 맞았다. HDB(홈케어&데일리뷰티)사업은 ‘닥터 그루트’와 ‘피지오겔’의 디지털 미디어 활성화로 브랜드 로열티를 꾸준히 제고시켰다. 2022년 출시한 ‘피지오겔 데일리뮨 디펜스 쿠션’이 연말 홈쇼핑에서 좋은 성과를 냈고, 프리미엄 치약 브랜드 ‘유시몰’은 치아미백제와 화이트닝 치약을 출시해 실내 마스크 해제에 따른 수요 증가에 대응했다. 연간 매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