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의 4월 온라인 매출이 22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1일 통계청의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은 전년 동월 대비 864억원 증가하며 1조5억원(+9.5%)을 기록했다. 전월에 비해서도 76억원(0.8%) 증가하며 오름세를 이어갔다. (통계청의 온라인 쇼핑몰 조사는 1100개 업체 대상) 월간 매출이 1조원대를 기록한 것은 작년 3월 이후 13개월만이다. 이는 지난해 오미크론 확산의 기저효과와 월초 대형 할인행사로 매출이 상승했다고 산업통상자원부는 분석했다. 이 시기 신세계 랜더스데이, 롯데마트 창립25주년 행사, 홈플러스 몰빵데이, 네이버 슈퍼뷰티 위크 등이 진행됐었다. 산통부가 조사한 12개 대형 온라인 쇼핑몰도 할인행사를 오프라인과 병행하면서 화장품 매출은 1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G마켓글로벌(G마켓‧옥션), 11번가, 인터파크, 쿠팡, SSG(이마트‧신세계), 에이케이몰, 홈플러스, 갤러리아몰, 롯데마트, 롯데온, 위메프, 티몬) 금액으로 따지면 약 3500억원으로 추산된다. 대형 오프(13개)+온(12개)의 총 매출 14.1조원 중 온라인 매출이 48.3%이며, 이중 화장품 점유율은 5.2%에 근거한 계산이다. 4월 소매판매액
해외 마케팅에선 '우문현답'(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 사례가 많다. 지난 한 주는 일본 러시로 업계의 발걸음이 분주했다. 현장에서 K-뷰티의 접점을 찾는 행사로 △ 케이콘 재팬(KCON JAPAN 2023, 도쿄) 5월 11~14일 △ ‘2023 뷰티월드 도쿄 재팬 뷰티박람회 5월 15~17일 △ 'K-뷰티 페스타 인 재팬’(K-Beauty Festa in Japan) 5월 13~14일 등이 각각 열렸다. 가장 관심이 쏠린 행사가 비지티컴퍼니(BGT Company, 대표 김병수)가 진행한 ‘K-뷰티 페스타 인 재팬’. 전시회가 아닌 쇼핑몰에서 소비자+인플루언서+밴더 등 3자 접점(contact point) 마케팅이어서 현지의 반응이 궁금했다. (관련기사 :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7931) 현장을 훑으며 고충 포인트를 찾아내려고 노력하는 김병수 대표를 만났다. 김 대표는 “전시회가 바이어와의 만남의 장소라면, ‘K-뷰티 페스타’는 물고기를 잔뜩 모이게 하고 물고기 잡는 법을 고민하는 ‘가두리양식’ 마케팅 현장”이라고 비유했다. 그는 “마케팅은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이 필수다. 합리적인
최근 5년간(2018~2022) 피부관리업이 70.7% 증가하며, 생활업종 중 증가율 5위로 나타났다. 또 생활업종 사업자 수에서는 미용실이 9만 8430개(+12.9%)로 전체 4위를 유지했다. 화장품 가게는 3만 4943(‘18) → 3만 9322(+12.5%) 개로 증가율 43위에 그쳐 업황을 반영했다. 이로써 화장품을 매개로 한 관련 자영업자 수는 19만 3630개로 집계된다. 국세청의 국세데이터를 통한 ‘100대 생활업종 동향 분석’에 따르면 피부관리업은 3만 2736개(‘18) → 5만 5878개(’22)로 늘어나 프로페셔널 시장 성장을 뒷받침했다. 또한 피부관리업은 여성사업자 비율이 92.6%에 달했으며, 이는 미용실 87.3%, 화장품 가게의 77.9% 보다 많았다. 피부관리업의 연령대별 사업자 수를 보면 2030세대가 피부관리업 49.8%를 차지, 절반에 육박했다. 미용실의 19.3%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았다. 이에 대해 프로페셔널 A 대표는 “코로나 시기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이나 관리를 위해 피부과에서 운영하는 피부관리실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알고 있다. 또 뷰티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미용지식을 갖춘 젊은 피부관리사가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