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사장 유정열)는 지난달 30일 ‘한-베트남 M&A 웨비나’를 개최했다. 이는 우리 기업이 베트남 우량 M&A 투자 기회를 발굴하여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웨비나는 팬데믹으로 2021년 이후 2년 만에 열렸으며 해외 M&A 의향을 가진 우리 기업과 베트남 현지 M&A 자문사 등 120여개사가 참가했다. 베트남은 글로벌 경기 침체로 2022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의 M&A 거래가 주춤했으나, ▲안정된 정치체제 ▲견조한 경제 성장세 ▲정부의 우호적인 비즈니스 환경 조성 노력에 힘입어 올해 하반기부터는 M&A 거래가 기존 거래량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공기업 민영화 매각에 참여하는 것도 우리 기업의 우량기업 지분인수 확보에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의 공기업 민영화를 담당하는 국가자본투자공사(SCIC)의 응우웬 닥 덩 부대표는 베트남 철강, 비나밀크, 사이공 맥주 지분 등 향후 5년간 127개의 우량 공기업 지분매각 계획을 밝히고 있다. 한국기업이 베트남에서 M&A 투자 기회를 살피는 가장 큰 이유는 ‘신속성’이다. 현지 네트워크가 탄탄한 현지 기업의 지분인수로 빠른
미국의 화장품규제 현대화법(MoCRA)에 대해 현지 기업의 반응과 대응은? 지난달 30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과 리이치24시코리아가 공동 주최한 ‘화장품 안전성 평가 동향 웨비나(미국편)’에서는 'MoCRA 오해와 진실‘이 16문 16답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날 웨비나는 리이치24시USA 로버트 키퍼(Robert Kiefer) 대표와 IBA 메레디스 페틸로(Meredith Petillo) 시니어 디렉터의 대담을 통해 현지에서 제기된 MoCRA 이슈에 대해 생생한 반응을 들을 수 있었다. 이어 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가 보충 설명을 통해 현재 진행 상황을 체크했다. 우리 기업의 궁금증과 겹쳐 미국 기업의 대응과 MoCRA의 방향성을 짚어볼 수 있었다. 로버트 키퍼 대표는 “MoCRA는 화장품의 시판 전 승인 요건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MoCRA가 시설등록과 제품 리스팅에 중점을 두고 미국 유통 화장품 등록 정보를 파악한다는 의미”라고 전제했다. 메레디스 페틸로 선임 디렉터도 “시설등록 또는 제품 리스팅을 했다고 해서 FDA가 승인한 시설이거나 승인을 받은 제품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FDA는 별도로 승인을 하지 않는다”고 분명히 적시했다. 이런 점에 주목
콜마비앤에이치가 세종 3공장을 완공하고 연간 7천억원 규모의 생산 캐파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세종시 미래산업단지 약 2만24㎡(6,000평) 부지에 연면적 총 4층 24,871㎡(7,524평) 규모다. 고형제 건기식 18억정, 분말 4.5억포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췄다. 콜마비앤에이치는 국내외 급증하는 건기식 수요를 원활하게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7월 577억원을 투입해 증설을 단행했다. 향후 음성공장에서 높은 가동률을 보이는 고형제(고체상태의 건기식) 생산을 분담해 고객사 수요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세종 3공장 준공으로 콜마비앤에이치는 동종업계 최대 생산규모를 갖췄다고 한다. 세종 3공장을 포함한 세종 생산기지에서는 헤모힘 등 액상과 고형제건기식 연 4천억원 생산할 수 있으며, 음성도 총 3개 제조공장을 바탕으로 연 3천억원 규모로 생산이 가능하다. 세종 3공장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시스템을 적용했다. 모든 생산 공정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모니터를 설치해 각각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고 분석한다. 공정 과정에서 문제 발생 시 즉시 시정하고, 최적화된 공정을 유지해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