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0.5%p 인하함에 따라 우리나라 수출은 0.6%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ITT)은 미 연준이 9월 17일 4년 6개월만에 기준금리를 4.75%~5.0%로 인하에 따른 실증 분석 결과 ’수출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즉 미 기준금리 인하 → 글로벌 수요 증가 → 우리나라 수출 증가 → 국내 부가가치 창출 효과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다. 이로 인한 수출 상승 효과는 금리 인하 2개월부터 가시화돼 최장 6개월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무역협회는 미국의 금리 인하 후 나타날 수 있는 원화 강세 현상이 한국 수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글로벌 기관들이 내놓은 분기별 원/달러 환율 흐름도 완만한 하락세를 거쳐 내년 하반기 이후에나 달러당 1천300원을 하회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불룸버그는 원/달러 환율을 ‘24 4분기 1325원, ’25. 1분기 1310원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세계 시장에서 한국과 경합하는 일본의 경우 내년까지 금리 인상 및 엔화 강세가 예상돼 미국의 금리 인하가 환율 경로를 통해 한국의 수출에 미치는
올해 3분기 중소기업의 화장품 수출이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우며,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이자 무역수지 흑자 품목으로 국부 창출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상 처음으로 미국 수출액이 중국을 추월하며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13일 중소벤처기업부의 ‘’23년 3분기 중소기업 수출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액은 13.6억달러로 전년 대비 24.7% 증가했다. ‘20년(12.9억달러), ’21년(11.5억달러)를 뛰어넘는 역대 3분기 최고 기록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힘입어 화장품 총수출 내 중소기업 비중은 55.0% (’22.3Q) → 62.5% (23.3Q)로 7.5%p 증가했다. 대신 대기업은 19.6% 감소했다. 수출기업수는 5282개사로 전년 대비 233개사가 증가했다. 지역별로 중국을 제외한 미국·일본을 비롯 유럽(EU)·중동·CIS 등 신흥시장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수출다변화 성과가 확대됐다. 향후 중남미와 아프리카 개척이 과제로 남았다. 특히 화장품 수출 통계를 집계한 2000년 이후 미국 수출액이 중국을 넘어섰다. 미국(2.7억달러, +79.1%)이 큰 폭 증가하면서 중국(2.5억달러, -19.9%)을 제쳤다. 미국은 K-뷰티 인기가
5월 25~28일 고양 킨텍스에서 포장·물류전시회인 KOREA PACK special(국제포장기자재전 스페셜)과 제약·화장품 개발·R&D(ICPI WEEK)가 개최된다. 이에 앞서 출품 기업 및 제품을 미리 만나볼 수 있는 온라인 전시관(http://online.pack-icpi.com)이 17일 오픈한다. 이번 전시회는 ㈜경연전람과 산업통상자원부, 코트라, 한국전시산업진흥회 공동으로 진행되며, ‘화장품, 포장, 물류, 제약’ 분야 국내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을 지원하게 된다. 온라인 전시관은 600개사의 제품과 관련 동영상, 이미지, e-브로슈어 등으로 구성된다. 코로나19로 입국이 어려운 해외 바이어를 위해 실질적인 내용과 매치메이킹에 중점을 두었다는 게 ㈜경연전람의 설명이다. 온라인 전시관 참여 기업과 해외 바이어는 25일부터 킨텍스 현장에서 1차 화상수출상담회를 진행하며, 전시 종료 후 5월 31~6월 18일까지 2차 화상수출상담회를 전개하는 등 판로 개척을 지원할 예정이다. 온라인 전시관은 크게 ▲VIRTUAL BOOTH (참가업체 및 제품․기술 소개) ▲BUSINESS MEETING (참가업체-바이어 간 상담매칭 진행) ▲CONFERENCE
코로나19 팬데믹 시기(‘20년)에 화장품의 총 수출액은 늘었으나 대·중견 기업은 선전 또는 유지, 중소·신규 기업은 감소 또는 단절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IIT)의 ’코로나19 이후 업종별 수출기업수 변화 분석‘에 따르면 화장품의 경우 수출확대 기업수와 신규 수출기업수가 동시에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코로나19 전후 29개 품목군의 수출확대기업수 증감을 비교함으로써 수출기업의 호조·부진 여부에 따라 코로나19의 수출 영향을 분석했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액은 75억달러(+16.1%). 1달러라도 수출한 기업 수는 5255곳(‘19년 5259곳)이다. 수출액 순으로는 15위지만 기업수로는 9위다. 수출액 대비 기업수가 많은 편에 해당한다.(소규모 1백만달러 이하, 중규모 1백만~1억달러, 대규모 1억달러 초과로 구분) 화장품은 코로나19 이후 수출액이 증가한 품목 13개 중 증가율 순으로 5위다. 화장품의 경우 ▲수출 확대기업은 1726곳(-2.1%) ▲수출감소기업은 1708곳(+7.8%) ▲신규 수출기업 1821곳(-4.7%) 등이었다. 수출이 늘어난 기업은 감소하고, 어려움을 겪은 기업은 증가하는 등 화장품 수출기업 전체적으로 고전했음을 엿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온라인 수출 활성화를 위한 사업으로 올해 400억원, 7천개사를 지원한다. 글로벌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직접수출, 수출대행, 전문인력 양성, 온라인 전시회 등으 세부사업을 통해 기업 상황별로 맞춤 지원한다. ①온라인 수출대행 사업은 글로벌 쇼핑몰 판매경험이 풍부한 수행전문사 15개사와 참여기업 2500개사를 순차적으로 모집한다. ②온라인 직접수출사업은 수행전문기관 5개사와 1천개사를 매칭해 지원한다. ③자사몰 진출사업은 제품 경쟁력이 검증된 중소기업 자사몰을 성장시키는 사업으로 55개사를 지원한다. ④한류와 현지쇼핑 특수기를 활용한 공동마케팅은 글로벌 플랫폼과 연계해 마케팅을 상시 운영하고 현지 이벤트 맞춤형 방식을 병행해 성과 창출에 나선다. ⑤온라인전시회 사업은 고비즈코리아(kr.gobizkorea.com) 홈페이지 내 온라인 전시관을 구축하고 바이어와 매칭을 지원한다. 제품 특성과 마케팅에 따라 AR, VR 등 IT기술 기반의 콘텐츠 제작을 지원한다. 또한 지역특화 우수제품전, 5대 소비재, 신남방·신북방전 등 테마와 시장별로 비대면 화상 상담회를 연계해 지원한다. 참가신청은 고비즈코리아에서 온라인으로 하면 된다.
K-뷰티 중소기업이 한류 확산과 더불어 인기를 끌면서 2020년 4분기 수출액은 13.9억달러(+1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중소벤처기업부는 “K-뷰티 중소기업은 ①주요국 소비시장 회복 및 글로벌 K-뷰티 인기 강세로 ②중‧미‧일 등 주요국과 신흥시장 수출 모두 호조세, ③코로나19 영향으로 감소했던 4-5월 이후 7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4분기 화장품 수출액을 국가별로 보면 중국(5.95억달러, +9.1%)은 11월 솽스이(双十一) 전후 및 연말 세일 등으로 소비증가세가 호조를 보이며 K-뷰티 수출도 증가했다. 미국(1.49억달러, +36.7%)은 한국 브랜드 선호도 증가 및 경기 부양 기대감에 따른 소비 심리 확대로 고성장 했다. 일본(1.38억달러, +67.9%)도 현지 한국 브랜드 제품의 견고한 수요가 지속하면서 호조를 보였다. 홍콩(0.89억달러, -39.3%)은 중국과의 교류 폐쇄 영향으로 홍콩 경유 물량이 중국 직수출로 변경됨에 따라 급감했다. 아세안에선 베트남(0.76억달러, +28.1%), 대만은(0.3억달러, +24.0%)로 현지 K-뷰티 인기가 지속된 효과를 보였다. 6대 수출국으로 올라선 러시아(
우리나라의 2020년 무역수지 456억달러(수출 5128.5억달러-수입 4672.3억달러)의 13%를 화장품 단독으로 달성했다. 그만큼 화장품산업이 수출효자 품목이자 무역 흑자 경영에 큰 몫을 담당한다는 평가다. 또 수출액의 70% 이상을 중소기업이 담당하면서 화장품산업이 일자리 창출, 수출주도 신성장 품목임을 증명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0년 화장품 수출액은 75.7억달러로 전년 대비 15.7% 성장했다. 1~11월 누적 수출액(69.8억달러) - 수입액(13.5억달러) = 무역수지 56.3억달러 흑자다. 아직 12월 수입 집계가 안됐지만 ’20년 월별 평균 흑자규모가 5.1억달러임에 비춰볼 때 2020년 화장품 무역수지는 최소한 +61.4억달러에 달한다는 계산이다. 사상 최고의 흑자액이다. 작년 12월 화장품 수출액은 6억 8400만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16.8% 증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①K-뷰티에 대한 평가 및 관심이 높아지며 전세계적으로 주목 ②메이크업・기초화장품 등 주력품목 수출 지속 증가 ③중국・아세안・일본 둥 주요 시장 수출이 모두 두 자릿수 대 성장 ⇒ 7개월 연속 증가 등을 이유로 꼽았다. 품목별로는 메이크업·기초화장품
올해 1분기 중소기업의 화장품 수출액이 11.71억달러로 전년 대비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1분기 화장품 수출액은 17.62억달러였다. 16일 중소벤처기업부의 ‘2020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 발표에 따르면 화장품은 1월 3.02억달러, 2월 3.61억달러, 3월 5.08억달러를 기록했다. 1월은 -4.1% 감소했으나, 2월 +6.5% 3월 +12.2%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중국(17.3%), 일본(42.5%) 베트남(23.4%) 러시아(34.3%) 등이 성장세였다. 기존 홍콩을 경유해 중국으로 우회수출하던 물량이 중국 직수출로 바뀌면서 홍콩 수출은 –51.7%로 급감했다. 미국도 3.1% 감소하면서 수출 10대국 중 일본과 순위를 맞바꿨다.(일본 3위↔미국 4위) 1분기 국가별 수출액을 보면 중국(5.26억달러) 홍콩(9800만달러), 일본(9800만달러), 미국 (9700만달러), 베트남(6300만달러) 순이었다. 한편 ‘20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 대비 2.0% 증가한 242억달러였다.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주요시장 및 주력품목 수출 호조, 조업일수 확대(+2.5일) 및 기저효과(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