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니스프리가 세계 곳곳에 숲을 가꿔 산림을 보호하는 ‘그린 포레스트’ 캠페인을 10년째 펼친다. 2012년 제주 곶자왈 숲 보존을 시작으로 중국, 홍콩, 태국, 대만, 말레이시아, 미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까지 총 10개 지역에 누적 19만 4036그루를 식재했다고 이니스프리는 밝혔다. 중국 내몽고 쿠룬치 사막의 사막화 방지를 위해 1만 그루를 심었으며, 태국 방푸 지역 해양생태계 보존을 위해 맹그로브 나무 3천 그루를 심는 등 글로벌 CSR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다년간 복합화재로 황폐화된 캘리포니아 클래머스 국유림(Klamath National Forest) 복원을 위해 미국 최대 나무 심기 비영리 단체인 아버데이 재단(Arbor Day Foundation)과 함께 해마다 5천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이외에도 ‘Sankalp Taru’, ‘WWF Indonesia’ 등 인도, 인도네시아의 나무 심기 단체 및 NGO와도 협력했다. 이니스프리 관계자는 ”이니스프리가 지키고 싶은 제주 자연의 헤리티지를 유지하기 위해 제주 곶자왈 보호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고, 사막화와 화재 등으로 생태계가 무너진 해외 숲을 복원하기 위한 ‘그린 포레스트 캠페인’
아모레퍼시픽과 한솔제지는 4월 2일 용산구 아모레퍼시픽 본사에서 지속가능 친환경 포장재 및 원료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기존 화학유래 원료 대체 소재를 개발해 화장품에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또 포장재에 100% 생분해 가능한 친환경 용기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주목되는 기술이 셀룰로오스 구조 특성 이용 기술이다. 높은 생분해성과 친수성이 특징이다. 아모레퍼시픽은 기존 천연유래 원료보다 화장품의 안정도를 높이고 사용감 개선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한 양사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 포장재 개발도 공동 진행한다. 기존 종이 용기의 내구성과 기밀성을 보완해 높은 강도 및 산소 차단 능력까지 갖춘 친환경 종이 포장재를 개발, 탈 플라스틱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앞서 양사는 감귤 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용지를 개발해 화장품 포장재에 적용한 바 있다. 앞으로도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 노력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아모레퍼시픽 안세홍 대표이사는 “양사의 친환경 비즈니스 철학을 바탕으로 서로 시너지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 아모레퍼시픽은 한솔제지와 함께 자연과 인간이 함께 건강하고 아름다워질 수
‘2030 화장품 플라스틱 이니셔티브 선언’에 따른 화장품업계 자율의 ‘등급 표시 예외 적용’ 문제를 환경부가 철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3월 24일부터 화장품 재활용 어려움 표시가 확정됐다. 보도에 따르면 환경부 관계자가 18일 “용이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화장품 용기에 ‘재활용 어려움’ 등급을 표시하기로 했다”며 “친환경 소재·재질 전환을 유도하겠다”고 했다는 것. 이와 관련 대한화장품협회 관계자는 “사실이 맞다”고 확인했다. 이에 따라 내년에 생산되는 화장품 용기에 ‘재활용 어려움’ 표시가 불가피해졌다.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결과 표시 의무제도(‘19. 12. 25)에 따른 등급평가 계도기간은 지난해 9월 24일 종료됐고, 업종 별로 등급표시 유예기간도 6개월 후인 ’21년 3월 24일로 예정되어 있었다. 당시 등급제 시행을 앞두고 화장품 용기의 84.5%가 등급평가 결과 ‘재활용 어려움’으로 표시될 것으로 예상돼 국내외 경쟁력 저하 우려가 많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 25일 환경부+대한화장품협회+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등 3자가 모여 ‘화장품 용기 회수촉진 및 재생원료 사용 확대 업무협약’을 맺고 ①‘재활용 어려움’ 등급 포장재 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