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업종의 가맹점 사업이 생계를 위협하는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화장품 가맹점 수는 ‘22년 1588개(전년 대비 -21.3%)로 3년만에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다점포 소유, 노후 대비, 상속 등 호황을 구가하던 '가맹점 사업의 꽃' 화장품 프랜차이즈가 나락으로 추락한 것이다. 공정위의 ‘2022년 가맹사업 현황’에 따르면 도소매업종 중 화장품의 가맹점 수는 2018년 3,407개를 정점으로 2,876개(‘19) → 2,018개(’20) → 1,588개(‘22.)로 지속 감소했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도 4.27억(’18) → 3.9억(‘19) → 2.3억(’20, -41%) → 2억(‘21, -13%)으로 역시 반토막 났다. 같은 도소매 업종의 평균매출액 5.27억에 비하면 44%에 불과했다. 이렇다 보니 화장품업종의 신규 개점률은 1%로 가장 낮았다. 반면 폐점률은 28.1%로 가장 높았다. 그 이유로는 ‘온라인 판매 확대’가 꼽혔다. 화장품 가맹점 수와 매출액이 바닥을 치다보니 20개 브랜드 가맹본부도 매출 급감으로 고전했다. 가맹점이 100개 이상이었던 브랜드 수는 8개(‘20)→6개(’21)→4개(‘22)로 역시 반으로 줄었다. ’21년 1
화장품 전문점 전용 브랜드로 론칭한 카이트 코리아의 ‘에이지제로(AGE:ZERO)’가 해외 관광객과의 접점 확대에 나섰다. 최근 카이트 코리아는 신라 면세점과 롯데면세점 본점, 신라HDC에 잇달아 입점하면서, 리오프닝에 따른 중국 및 아시아 관광객을 맞을 채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에이지제로는 ‘세월이 지나도 우리는 변하기 싫으니까’라는 슬로건의 40대 이상 시니어를 위한 토털 안티에이징 스킨케어 라인. 수십 년 업력의 화장품 전문점 대표와 전문가들과의 콘셉트, 디자인, 가격 등의 품평을 통해 탄생시켜 화제를 모았다. 에이지제로 라인은 ▲스킨 소프너 ▲에멀전 ▲리페어 세럼 ▲멀티 트리트먼트 ▲리치 크림 등 저자극 제품 5종으로 구성됐다. 전 제품 모두 이탈리아 비건 V-LABEL 인증을 받았다. 이밖에 제주 특허 성분인 제주해녀콩추출물, 제주 동백꽃추출물, 식물성 콜라겐을 함유했다. 패키지는 젊음의 생기가 느껴지는 로즈골드 컬러를 적용했으며, 전세계적으로 사랑 받아온 랑방의 에끌라 향이 편안함을 전한다는 설명이다. 카이트 코리아 관계자는 “개발 단계부터 화장품 전문점 활성화를 위해 기획된 만큼, 다양한 마케팅 전개를 통해 지원할 방침이다. 제품 출시와 함께 에
토니모리가 자외사인 에이투젠을 매각 40억원의 차익을 실현했다. 매각 대금은 향우 재무건전성 강화 및 신제품 개발, 마케팅에 투자한다. 토니모리는 지난 15일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벤처 기업인 에이투젠 보유 주식 약 33만 800주를 (주)유한양행에게 70억원에 처분했다고 공시했다. 지난 2018년 1월 더마화장품 사업 확장 목적으로 인수했었는데 당시 30억원에 취득했었다. 이번 매각차익은 영업외이익으로 3분기 연결영업손익에 반영된다. 토니모리 관계자는 “매각 차익 일부를 신제품 개발 및 국내외 마케팅 활동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사업부문의 비효율적인 부분을 과감히 제거하고 전문 분야에 재투자함으로써 장기 성장의 토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설명이다. 또한 토니모리는 올해 온라인과 해외 영업을 통해 하반기 실적 회복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즉 최근 애교빔 라인을 비롯한 다양한 색조 제품이 MZ세대로부터 입소문을 타며 인기몰이 중이며, 프리미엄 라인인 레티놀도 초도 물량 완판으로 긍정적이다. 이러한 미래 먹거리를 개발해 중장기 매출 증대 및 올리브영 등 H&B 입점으로 소비자 접점 확대에 주력할 예정이다.
토니모리는 국제 개발협력 NGO ‘지파운데이션’과 △미혼한부모 △여성취약계층 △취약계층의 청소년 △그밖의 어려운 이웃 등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생리대 후원 캠페인’을 진행한다. 토니모리 제품의 판매 수익금 일부를 지파운데이션의 후원사업인 ‘생리대 키트 지원’에 기부하며, 캠페인 준비과정에는 임직원이 참여할 예정이다. 또 미혼모 및 한부모 가정을 모집해 토니모리 스튜디오에서 가족사진 촬영을 제공해줄 예정이다. 이때 토니모리 메이크업 아티스트와 포토그래퍼, 사진 편집 인력 등의 재능기부 후원도 이뤄진다. 토니모리 관계자는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는 분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들을 확장하고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국제 개발협력 NGO ‘지파운데이션’과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하게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토니모리는 착한 기업으로써 지속적인 착한 행보를 선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공정위는 화장품 가맹본부의 온라인 판매 확대 등으로 인해 매출 하락 어려움을 겪는 화장품판매업 프랜차이즈 표준계약서를 제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개정된 표준가맹계약서는 ▲가맹본부가 온라인을 통해 물품을 공급ㆍ판매하는 경우 변경된 정보공개서와 기타 온라인 판매 관련 최신 정보를 가맹점에 제공하도록 규정 ▲가맹점주에게 가맹본부의 온라인 판매와 관련하여 판매품목, 비중, 가격 등에 대한 협의 요청권 부여 ▲가맹본부의 성실협의 의무 규정 ▲가맹점주가 가맹본부의 온라인 판매 확대에 따른 매출 부진으로 폐점할 경우 가맹본부가 위약금을 감경토록 하는 조항 마련 ▲가맹점 전용상품 출시, 수익 관련 상생협력 시스템 도입 등 가맹본부의 가맹점주 지원 노력에 대해 명시 등을 담고 있다. 공정위는 “온라인 판매 관련 최신 정보 제공 의무를 부여하고, 가맹점주에 가맹본부의 온라인 판매가격 등에 대한 협의 요청권을 부여했다”라며 “가맹본부와 가맹점주 간 정보력 격차가 감소하고 가맹점주의 협상력이 제고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밖에 화장품의 경우 ①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 등 허위·과장 광고를 하지 않도록 조항 신설 ②화장품과 건강기능식품 판매와 관리에
1월 4일부로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하 가맹사업법)’ 개정안이 공포됐다. 이와 관련 전국화장품가맹점연합회·네이처리퍼블릭가맹점주협의회·더페이스샵가맹점주협의회·전국아리따움가맹점주협의회·전국이니스프리가맹점주협의회 등이 참여한 (사)전국가맹점주협의회가 성명을 발표했다. 협의회는 개정 내용인 “광고·판촉비 사전동의제를 환영한다”라며 “개정 취지에 맞는 시행령 및 등록제 등 가맹사업 현안을 조속히 개정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난 2021년 12월 9일 국회를 통과한 가맹사업법은 △가맹점주가 광고·판촉행사의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 가맹점주 사전동의제 도입(일정 비율 이상 가맹점주 동의 획득) △동의의결 제도 도입 △가맹거래사 등록증의 대여·알선 행위 금지 △가맹분야 교육기관 지정 취소 시 청문 절차 신설 등을 담고 있다. 개정안은 6개월 후 본격적으로 시행 예정이며, 동의를 얻어야 할 가맹점주 비율은 시행령에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협의회는 “실질적으로 광고·판촉이 불필요한데 가맹본부 담당자가 개별 동의 요구시 가맹점주가 거부하기 곤란한 현실을 고려하면 사전동의 비율은 충분한 수준으로 규정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광고·판촉 시행을 위한
네이처리퍼블릭의 일본 성장세가 눈부시다. 지난해 2월 큐텐(Qoo10)에 공식 스토어 오픈을 통해 온라인 시장에 진출한 네이처리퍼블릭은 5월 전자상거래 플랫폼 라쿠텐 확대 등을 통해 저변을 넓혀 왔다. 뛰어난 제품력과 아이돌 NCT127 모델 기용 및 다양한 프로모션으로 현지 소비자의 호응을 이끌어내며 매출이 꾸준히 증가했다. 이후 큐텐 ‘2020 베스트 셀러’ ‘와라쿠텐 ’월간 MVP’ 등을 수상하며 브랜드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그리고 마침내 11월 진행된 큐텐 메가 세일기간에 매출이 전년 대비 500% 증가하며 물량 배송을 위한 전용기를 투입할 정도로 성장했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여세를 몰아 오프라인 진출도 확대했다. 4월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3대 버라이어티숍인 로프트(LOFT), 프라자(PLAZA), 도큐핸즈(TOKYU HANDS)를 비롯해 드럭스토어 웰시아, 츠루하 등 6천여 개 소매점에 주력 제품인 ‘그린더마 마일드 시카’라인 입점을 완료했다. 이 기세대로라면 올해 일본 매출은 40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네이처리퍼블릭은 예상했다. 작년 600% 증가와 함께 2년 연속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향후 오프라인 진출에 따른 지속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본
친환경 소비 실천에 앞장서는 이니스프리가 23일부터 강남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제품 내용물을 소분 판매하는 ‘리필 스테이션’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고객이 가져온 재사용 용기에 내용물을 원하는 만큼 10g 단위로 소분 판매하는 리필 시스템으로 운영한다. 고객이 1회 리스테이 공병을 리필한다면 생수병 3개 분량의 플라스틱 사용량 절감 효과가 가능하다는 게 이니스프리의 설명이다.( 리스테이 공병 디스펜서 75g·생수병 15G 기준) 해당 제품은 ‘리스테이’의 ‘카밍 샴푸’, ‘컴포팅 바디 클렌저’, ‘임브레이싱 핸드워시’ 등 3종이다. 오직 리필 스테이션에서만 기존 제품가 대비 40%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된다.(리스테이 라인 볼륨 용량 480㎖ 소비자가 대비 1g 용량 비교시) 고객은 세척과 건조를 완료안 캡 타입 재사용 화장품 용기를 가지고 오면, 리필 스테이션에서는 살균 소독을 진행한 후 내용물을 원하는 만큼 저울로 측정하여 직접 충전해 구매할 수 있다. 해당 제품의 제조번호, 사용기한, 소분 일자를 라벨링해 공병에 부착하는 과정도 경험할 수 있다. 만약 재사용 용기를 챙기지 못한 고객을 위해 코코넛 껍질과 무기질을 30% 함유한 레스(less) 플라스틱의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