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2023(Cosmoprof Asia Hong Kong 2023)이 오는 11월 14일~16일 홍콩에서 열린다. 이와 관련 주최사인 인포마(Informa markets) 한국(주)은 26일 코엑스에서 아-태 지역의 시장 기회를 모색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인포마마켓한국(주) 오세규 대표, 인포마마켓 엔젤 푸(Angel Fu) 이벤트 디렉터, 리이치24시코리아(주) 손성민 대표 등이 참석해, ‘한국 기업이 홍콩에 가야 하는 이유’를 제언했다. 코스로프로프 홍콩은 매년 600여 개 이상 한국 기업이 참가하는 빅 이벤트. 그러나 지난해는 중국의 코로나 봉쇄로 인해 싱가포르로 옮겨 개막했으나 기대에 못미쳤다는 평가다. 이에 올해 코스모프로프 홍콩에 거는 기대가 커졌다. 하지만 중국 시장에서 K-뷰티가 고전하며 최근 3년간 수출액이 36.3억달러(‘20) → 45.1억달러(‘21) → 29.8억달러(’22) 등 3위로 추락, 비관적 전망이 많다. 때문에 홍콩 참가에 대해 기업의 고민이 적지 않다. 이에 대해 인포마마켓한국(주) 오세균 대표는 “중국 시장 개방, 개척에 ‘코스모프로프 아시아’를 활용할 것과 해외 바이어와의 미팅 장소로 최
해외 마케팅에선 '우문현답'(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 사례가 많다. 지난 한 주는 일본 러시로 업계의 발걸음이 분주했다. 현장에서 K-뷰티의 접점을 찾는 행사로 △ 케이콘 재팬(KCON JAPAN 2023, 도쿄) 5월 11~14일 △ ‘2023 뷰티월드 도쿄 재팬 뷰티박람회 5월 15~17일 △ 'K-뷰티 페스타 인 재팬’(K-Beauty Festa in Japan) 5월 13~14일 등이 각각 열렸다. 가장 관심이 쏠린 행사가 비지티컴퍼니(BGT Company, 대표 김병수)가 진행한 ‘K-뷰티 페스타 인 재팬’. 전시회가 아닌 쇼핑몰에서 소비자+인플루언서+밴더 등 3자 접점(contact point) 마케팅이어서 현지의 반응이 궁금했다. (관련기사 :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7931) 현장을 훑으며 고충 포인트를 찾아내려고 노력하는 김병수 대표를 만났다. 김 대표는 “전시회가 바이어와의 만남의 장소라면, ‘K-뷰티 페스타’는 물고기를 잔뜩 모이게 하고 물고기 잡는 법을 고민하는 ‘가두리양식’ 마케팅 현장”이라고 비유했다. 그는 “마케팅은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이 필수다. 합리적인
화장품 수출국가 순위가 요동치고 있다. 특히 4월 월간 역대 최대기록을 갈아치운 러시아와 아랍에미리트(UAE)가 전체 수출을 견인하며 상당 부분 중국의 감소량을 커버해 주목된다. 두 국가는 CIS와 중동을 대표함에 따라 수출다변화의 허브로도 주목된다. 관세청 자료를 집계한 결과 4월 누적 화장품 수출 상위 20위 국가 중 감소는 중국(-22%)을 제외한 5개국의 감소폭은 5% 이하로 일본은 환차손, 아세안은 계절적 요인으로 보인다. 나머지 14개국 중 프랑스를 제외하곤 두 자릿수 증가폭을 보임에 따라 중소기업에 의한 수출시장 개척이 활발하게 진행 중인 것임을 알 수 있다. 증가 국가 중에서는 미국이 9.6%로 견조한 흐름을 유지한 가운데 ▲CIS 지역: 카자흐스탄(98%) 우크라이나(91%) 키르기스스탄(71%) 러시아(62%) 4개국 ▲아랍에미리트(71%)가 호조다. 러시아는 4월 4천만달러를 돌파해 업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화장품의 러시아 수출은 전쟁 중임에도 꾸준한 편이었으나 4월 한 달 기록이 월간 최고기록을 보인 것은 놀랄만하다. 그동안 유럽산 화장품 수입이 제한되며 한국산 화장품 수입이 전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