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전체기사 보기

토니모리, 美 미니소(MINISO) 노스트롬 렉(Nordstrom Rack) 입점

3월 미국 뷰티 스토어 ‘얼타(ULTA)’ 1,500개점에 ‘모찌 라인’ 4종 입점 확정

토니모리의 미국 진출 행보가 숨가쁘다. 지난해 미국의 유통 채널 ‘타겟(Target)’ 1,500개 매장에 입점한데 이어 미국 미니소(MINISO)’와 노스트롬 렉(Nordstrom Rack)에 입점했다. 토니모리는 미국 내 60개 미니소 전 매장에 대표 스테디셀러인 ‘쁘띠바니 글로스바’ 6종과 ‘아임마스크’, ‘마스터랩’, ‘아임 아이패치’ 등 마스크 시트 류 14종을 판매할 예정이다. 또한, 미국의 럭셔리 백화점 체인 노스트롬의 자매 브랜드인 ‘노스트롬 렉(Nordstrom Rack)’은 미국 41개 주에 348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270개 매장에 토니모리의 ‘플럼킨 레티놀 아이크림’, ‘매직푸드 바나나 핸드밀크’, ‘아임마스크’, ‘홀리데이 시즌 패키지’ 등 35종이 판매되고 있다. 토니모리 관계자는 “2024년도 주요 전략은 글로벌 시장 확대이다. 미국, 남미,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현지 마케팅 전략과 신규 유통 채널 확대를 통해 토니모리의 다양하고 좋은 제품을 글로벌 고객들에게 많이 알리는 것에 주력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토니모리는 오는 3월에도 뷰티 스토어 ‘얼타(ULTA)’ 1,500개 매장에도 ‘원더 세라마이드 모찌 버블

[유망시장 분석] 중남미, 한류 동호회 회원 1023만명 → 화장품 진출 유망

[2024 전망 ⑨] 글로벌 화장품 시장의 13% 차지... 멕시코·브라질 한국 뷰티제품 전용 유통사 및 숍 증가세

중남미 화장품 시장은 연간 평균 597억달러로 글로벌 비중이 13.4%. 국가별로 △ 브라질 세계4위(약 293억불) △ 멕시코 12위(84억불) 등이다.(‘22, 유로모니터) 코트라 중남미본부는 화장품 진출 기회 요인으로 ▲ K-컬처를 활용한 소비재 시장 진출 확대 ▲ 한국과 FTA 다수 체결로 네트워크 확대 요충지 등을 꼽았다. ‘22년 현재 한국의 중남미 화장품 수출액은 3900만달러다. 한류(팝, 드라마, 영화) 인기로 한국문화 및 제품 소비 수요가 급증하며 대 중남미 소비재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다. 최근 5년간 중남미 지역 한류 동호회 회원수는 2배 이상 증가했다. (‘17년 492만명 → ’21년 1023만명) 이에 따라 ‘23년 1~9월 한류 품목의 수출증가율은 △ 화장품(+23.8%) △ 주류(+51.6%) △ 소스류(+26.4%) △ 차류(+75.5%) 등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멕시코, 브라질 내 K-뷰티 관심이 늘어나고, 한국 뷰티 제품 전용 유통사 및 숍들이 다수 생기고 있다고 전했다. 멕시코의 경우, 한국 화장품 수출액은 최근 10년간(’02~’22) 10배 증가했다. 구글지도 기준 멕시코 내 한식당은 50여개, 한인마트 20여개이

[유망시장 분석] 북미, 소비 트렌드 변화→온라인 플랫폼 적극 활용 필요

[2024 전망⑤ ] 고물가, 경기침체로 합리적, 가치·윤리·건강 소비 패턴 추세

우리나라의 대 미국 화장품 수출은 ‘23년 11월 현재 11억달러로 처음으로 10억달러를 넘어섰다. 코트라는 “중국의 2차산업 전성기에 한국은 철강·조선·해운 등 중후장대 산업이 강세였다면, 3차산업 중심으로 구조가 바뀐 이후 화장품, 식음료 등 수출이 큰 폭 상승했다”면서 “미국의 산업구조 변화가 한국의 주력 수출 주력 상품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즉 산업적 측면에서 K-브랜드를 활용한 유망품목으로 화장품·식품 등 소비재 수출 증가를 예측했다. 미국은 기업 친화적 인프라로 화장품기업의 진출 희망 시장 1위 국가다. 다인종, 다문화가 공존하는 커뮤니티 시장으로 모든 제품과 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을 보유하고 있어 글로벌 테스트 베드로서도 최적의 시장이다. 미국 히스패닉의 GDP가 2.7조달러(세계 7위), 아시아계 GDP 7천억달러에 비하면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조선미녀가 미국 BTS 팬이 많은 히스패닉을 공략해 미국에 진출한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양한 인종과 문화로 구성된 미국과 캐나다 내 DE&I(Diversity, Equality, Inclusion) 정책 및 실행 역시 북미 진출 기업에 필수적인 내용이다. (

미국 기업은 MoCRA 어떻게 대응하나? 현지 연결 16문 16답

미국 중소기업화장품무역협회(IBA)가 제기한 이슈와 MoCRA 관련 Q&A 요약

미국의 화장품규제 현대화법(MoCRA)에 대해 현지 기업의 반응과 대응은? 지난달 30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과 리이치24시코리아가 공동 주최한 ‘화장품 안전성 평가 동향 웨비나(미국편)’에서는 'MoCRA 오해와 진실‘이 16문 16답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날 웨비나는 리이치24시USA 로버트 키퍼(Robert Kiefer) 대표와 IBA 메레디스 페틸로(Meredith Petillo) 시니어 디렉터의 대담을 통해 현지에서 제기된 MoCRA 이슈에 대해 생생한 반응을 들을 수 있었다. 이어 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가 보충 설명을 통해 현재 진행 상황을 체크했다. 우리 기업의 궁금증과 겹쳐 미국 기업의 대응과 MoCRA의 방향성을 짚어볼 수 있었다. 로버트 키퍼 대표는 “MoCRA는 화장품의 시판 전 승인 요건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MoCRA가 시설등록과 제품 리스팅에 중점을 두고 미국 유통 화장품 등록 정보를 파악한다는 의미”라고 전제했다. 메레디스 페틸로 선임 디렉터도 “시설등록 또는 제품 리스팅을 했다고 해서 FDA가 승인한 시설이거나 승인을 받은 제품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FDA는 별도로 승인을 하지 않는다”고 분명히 적시했다. 이런 점에 주목

호주, 맞춤형 스킨케어, 캐나다 ‘노 메이크업 룩’...K-뷰티 이미지와 겹쳐

연구원, 호주+캐나다의 시장 동향 소개...“피부 고민 해결+건강한 피부 표현” 트렌드 대응 필요

K-뷰티 수출 상위국인 캐나다(14위), 호주(19위)의 3분기 누적 수출은 5천만 달러가 넘는다. 각각 23% 24% 성장 중이어서 향후 유망 시장으로 꼽힌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9호를 발간하고 호주의 맞춤형 스킨케어, 캐나다의 자연스러운 메이크업에 대한 최신 트렌드를 전했다. 호주는 건강한 피부에 대한 수요가 높은데 이는 K-뷰티 이미지와 맞아 떨어지면서 동반 인기다. 비스포크 스킨케어(bespoke beauty) 또는 퍼스널 스킨케어(personal skincare)로 불리는 맞춤형 스킨케어는 디지털 기술을 통한 피부 분석과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소비자의 피부 상태에 적합한 제품을 제공한다. 호주 소비자들은 맞춤형 화장품이 개인별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고 피부 고민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자신에게 적합한 제품을 찾기 위한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도가 높다. 즉 ‘유리 피부’로 알려진 한국 스킨케어 브랜드가 강조하는 수분과 영양 공급, 피부장벽 강화의 중요성에 공감해 에센스와 시트 마스크 등이 인기가 높다. 호주 소비자들은 K-뷰티 제품이 심층 피부연구와 혁신 성분을 활용해 피부 컨디션을 효과




포토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