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중소화장품 해외진출 지원사업’에 따른 운영 국가의 시장 정보 및 진출전략 세미나를 11월 28일 서울 공간모아에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중소화장품 해외진출 지원사업 선정 기업의 현지 사정을 청취하고 진출 전략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중소 화장품의 수출 다변화 및 시장개척 노하우를 공유한다. ‘23년 해외진출 지원사업 선정 국가는 일본·쿠웨이트·키르기스스탄·인도·인도네시아·UAE·칠레 등 7개국 8개 지역으로 성과 보고를 겸한다.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안전성’ 이슈가 들불처럼 번지는 가운데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역할과 대응이 주목된다. 중국의 화장품감독관리조례 제정 이후 강화된 ‘안전성’ 이슈는 급기야 자발적 화장품 등록 프로그램(VCRP)을 시행하던 미국을 자극해 화장품규제 현대화법(MoCRA) 제정으로 이어졌다. 이는 타 국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심각한 무역기술장벽(TBT)이 될 가능성이 짙다. 케이앤에이 최시내 대표에 따르면 지역별로 △ EU: PIF에 안전성 정보와 안전성 평가를 필수 작성, 평가방법은 11th 발간 △ 미국: CIR에 위해평가 시 우선순위 결정 공유, GMP, 안전성 입증, 중대 유해사례 보고, 시설 등록 및 제품리스팅, 라벨링 표시기재 사항 추가, 기록보관(유해사례) △ 아세안: 아세안 통일 화장품 규제 제도, 유럽 화장품 지침을 모델로 성분 규정이 매년 논의되며 업데이트 △ 일본: 포지티브 리스트(자외선차단제, 착색제, 보존제), 기업의 책임으로 안전성 확보(네거티브 시스템)로 관리 △ 중국: 2024년 5월 1일까지 화장품 처방 중 모든 원료의 안전성 관련 정보 등록 등으로 강화되고 있다. 차후 K-뷰티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심각한
‘K-Beauty Insight Forum’을 주제로 제26회 한국화장품미용학회(회장 지홍근) 추계학술대회가 11월 17일 성신여대 미아운정그린캠퍼스에서 열렸다. 화장품산업의 통찰(인사이트(insight)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 고민에서 비롯된다. 이는 “화장품·뷰티산업 및 다양한 분야의 상호협력과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모색하고 희망찬 비전을 만들어 가는 혁신적인 학회가 되고자 노력할 것”이라는 지홍근 회장의 인사말에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이날 학회는 ▲ ‘IFSCC 2023’의 화장품 기술 동향(H&A파마켐 지홍근 CTO) ▲ 환경과 사회변화 속 코스메틱 6차 산업(위드보타닉 윤서희 대표) ▲ 증강현실(AR)플랫폼 특성이 페르소나 형성 및 현존감과 결과행동에 미치는 영향’(연성대 최주희 외래교수) ▲ ‘MZ세대 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이 물질주의 영향력에 따라 뷰티케어행동과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명지전문대 김슬기 외래교수) ▲ ‘한국 화장 문화와 방송 환경 변화에 따른 여성 아나운서 메이크업의 변화연구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성신여대 이나래) ▲ ‘김 유래 미코스포린 유도체, 천연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