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주의 스킨케어 브랜드 스킨1004(스킨천사)가 남아프리카공화국 및 나이지리아 대형 체인 매장에 입점한다고 3월 31일 밝혔다. 아프리카는 대표적인 뷰티 신흥 시장으로, 가파른 인구 증가세에 따라 급속도로 성장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테크나비오(Technavio)는 아프리카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시장이 2024년부터 연평균 8.51%의 성장률로 오는 2028년까지 약 81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스킨1004는 지난 2023년 아프리카에 진출한 이후 올해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317% 증가한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뷰티 제품에 대한 현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각국의 리테일 채널로 소비자 접점을 확대해 시장 우위를 선점한다는 방침이다. 남아공에서는 럭셔리 뷰티 스토어 ‘ARC’의 10개 매장에 입점한다. 입점 품목은 현지 기후 특성 및 소비자 취향을 고려해 선별했다. 높은 기온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진정시켜주는 ‘센텔라’ 라인과 깨끗하고 맑은 피부로 가꿔주는 ‘톤 브라이트닝’ 라인으로 10여개 제품을 선보인다. 나이지리아에서도 대표 드럭스토어인 ‘메드플러스(Medplus)’ 입점을 확정했다. 오는 5월까지 전체
리이치24시코리아(주)의 손성민 대표가 2025년 4월 8~10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리는 in-cosmetics Global 2025에 글로벌 규제 동향 및 대응 전략 세션 패널 및 어워즈 심사위원으로 참석한다. in-cosmetics Global 전시회는 전 세계 화장품 및 개인 케어 산업의 원료,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는 글로벌 최대 화장품 원료 전시회다. 올해엔 1천여 개 기업이 참여해 최신 화장품 원료와 혁신적인 기술을 소개하고, 전문가들 간의 네트워킹과 교육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손성민 대표는 글로벌 규제 대응 세션에서 패널로 참여하여 한국과 중국의 화장품 규제 변화와 준수에 대해 글로벌 전문가 패널들과 심도 깊은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해당 세션은 2025년 4월 10일(목), 15:25 - 16:20에 Testing & Regulatory Forum, Hall 11에서 진행된다. 또 손성민 대표는 국내외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원료사를 선정하는 Rising Star Awards 심사위원으로 참여하게 되며, 수상 기업 발표는 4월8일(화) 오후에 현장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한편, REACH24H 현장 부스는 Stand 12B03 위치에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이 발간하는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25년판 1호(중국, 일본 편)이 발간됐다. 올해 GCF 개편으로 매월 2개국씩 시장 이슈 및 트렌드를 소개하며, 최근 3년간의 뷰티 키워드를 분석해 변화 배경과 흐름을 파악해 제공한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또한 빅데이터를 통해 국가별 화장품 산업을 심층 분석해 우리 기업의 대응 전략도 제시한다. 이번 호에서는 중국의 경우 C-뷰티가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며, 중국 내수 시장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확장을 도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시장에서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들이 철수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반면, 중국 브랜드들은 빠르게 성장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2024년 광군제에서는 프로야(Proya), 위노나(Winona), 가복미(Comfy) 등이 상위권을 차지하며 자국 브랜드 경쟁력이 더욱 강화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2024년 신원료 등록 건수 90건 중 중국 기업이 80% 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식물성 원료 등록이 42종으로 증가하며 화학 원료를 앞지르고, 펩타이드, NMN, 재조합 콜라겐 등 항노화 성분이 시장을 주도하는 등 중국 기업들이 독자적인 원료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
뷰티 해외 전시 한국관 주관사 주식회사 코이코(대표 김성수)는 3월 27일~30일 4일간 대만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에서 개최되는 2025 뷰티엑스포(뷰티월드) 대만에 한국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뷰티엑스포 대만 전시회는 매년 봄과 가을 2번 열리는 전시회다. 대만 내에서 가장 오래된 전문 뷰티 전시회이며, 올해 3월 봄 전시회부터는 메세 프랑크푸르트 대만 지사가 주최한다. 다수의 국제관을 구성하며 글로벌 성장형 전시회를 지향한다는 방침이다. 주최측에 따르면 한국관, 중국관, 일본관을 비롯하여 총 230여 개사가 참가했으며, 한국 기업은 24개사가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 카테고리는 스킨케어·메이크업·향수·헤어·네일용품·이너뷰티·웰니스·원료·패키징 등과 함께 뷰티테크 기업들로 구성됐다. 이번 전시회 주제인 ‘뷰티 이노베이션’을 필두로 비즈니스 매칭, 전문 세미나 및 워크숍, 라이브 데모 및 체험 존, 인플루언서 방문 참여 등의 다양한 주요 프로그램을 운영해 전시회에 활기를 불어 넣는다고 한다. 코이코(KOECO) 김성수 대표는 “2024년 대만 내 수입 화장품 순위로 한국이 미국을 제치고 3위를 차지하는 등 K-pop, K-drama 등 아직도 대만 내 K-Cu
‘호모 헌드레드(Homo Hundred)’ 시대다. 통계청은 우리나라 100세 인구가 ‘26년 1만명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UN 2024년 인구전망에 따르면 미국의 100세 인구는 10만 8천명, 일본은 14만 6천명이다. ‘24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천만명, 고령화율 20%를 넘어섰다. 미국은 620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8%다. 2054년까지 8400만명으로 증가하며 2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오래 사는 것을 넘어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유지하며 질 높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트렌드가 ‘일상화’ 될 것임을 말한다. 안티에이징(Anti-aging)은 주름을 예방하고 젊음을 유지하는 미용산업의 마케팅 용어만이 아닌 노화 지연, 장수 경제(Longevity Economy)로의 발전이다.(코트라 워싱턴DC무역관, ‘미래를 바꾸는 미국 안티에이징 시장 트렌드’) 프리시던스 리서치(Precedence Research)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안티에이징 시장 규모는 730억 달러다. 2025~2034년 연평균 6.8% 성장, 2034년에는 약 149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40%
한국독성학회는 오는 5월 15(목)~16일(금) 건국대학교 새천년관에서 ‘2025 춘계 독성학 워크샵 & 춘계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올해 창립 40주년을 맞아 질·양적으로 성장해 참가 인원이 600여 명에 달할 것으로 보여 규모를 확대했다. 심포지엄에서는 독성학의 세계적인 발전 방향에 맞춰 한국 독성 연구의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게 된다. 워크샵 주제는 ‘첨단 의약품의 안전성 평가 및 최신 독성평가법 개발’이며, 심포지엄 주제인 ‘차세대 질병 예방: 미래 독성학 기술로부터)’와 연계해 진행한다. 국제 심포지엄 기조강연은 ▲ 캐나다 토론토대학의 Daniel Drucker 교수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이병훈 교수가 각각 최신 지견을 강연한다. 이어 3개 세션의 9명의 연자가 최신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춘계 워크샵에서는 2개 세션에서 8명의 독성학 전문가들이 흥미로운 연구 주제들을 발표한다. 산·학·연의 다양한 연구자들이 모여 오가노이드 기반 독성평가법과 첨단의약품 안전성평가 관련 사례 토론도 예정돼 있다. 한국독성학회는 “춘계 학술대회를 통해 인류 건강과 질병 예방에 대한 안전성·위해성 평가의 중요성 및 새로운 연구법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높이게 된다
화장품 수출을 잘하려면? 글로벌 타깃 시장의 규제와 조화를 이룬 진출 전략을 짤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정보 모음이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 ‘화장품 글로벌 규제조화 지원센터’(https://helpcosmetic.or.kr)다. 해외 화장품 인허가 제도, 수출안내서, AI 코스봇, 각종 교육자료 등을 제공한다. 사이트는 ▲ 국가별 주요 규제 관련 온라인 교육 ▲ 국내외 인허가 규제 정보 ▲ 실시간 규제 상담 ▲ 국제화장품규제조화협의체(ICCR) 등으로 구성된다. 온라인 교육은 수출국별 화장품 규제에 대한 전문가의 동영상 교육이다. 대한화장품협회가 진행한다. 올해엔 아랍에미리트, 브라질 등 수출 대상국별 규제와 인허가 절차 등에 대한 온라인 교육(웨비나)을 4월부터 약 16회 이상 개최할 예정이다. ’24년에 수출국 인허가 규제 교육 및 세미나 등 18회 실시하여 5,154명 참여한 바 있다. 국내외 인허가 규제 정보는 국내뿐 아니라 미국, 중국 등 법령 및 지침 등의 원문 및 일부 번역본을 제공한다. (중국, 미국, 일본, 베트남, 러시아, 대만, 태국, 아랍에미리트, 싱가포르, 캐나다, 인도네시아, 호주, 필리핀, 인도, 튀르키예, 사우디아라비아, 몽골,
한국콜마는 지난 20~23일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개최된 제56회 ‘코스모프로프 볼로냐 2025(Cosmoprof Worldwide Bologna 2025)’에서 코스모팩 어워드(Cosmopack Awards) 2관왕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한국콜마는 △ 혁신기술(Innovation Technology) △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2개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코스모프로프는 완제품을, 코스모팩은 제조∙포장∙부자재를 대상으로 시상한다. 글로벌 화장품 기업과 뷰티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 평가를 거쳐 가장 혁신적인 제품과 기술을 선정한다. 올해는 전 세계 총 836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그 중 분야별로 11개 제품이 수상했다. 한국콜마의 ‘카이옴(CAIOME)’은 혁신기술 부문 대상을 받았다. 카이옴은 AI 기반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진단 및 맞춤형 스킨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피부에 있는 유익균과 유해균을 분석해 개인별 맞춤형 화장품 처방을 돕는다. 피부를 가볍게 문지른 면봉을 시약에 적신 후 키트 위에 몇 방울 떨어뜨리는 간편한 사용법으로도 5분 내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생태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최대 수십만 가지의 개인 맞춤형 피부
인도 화장품시장 성장세에 인수, 합병, 신규 진출이 활발하다는 소식이다.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며 인도 화장품 유통 구조도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코트라 벵갈루루 무역관에 따르면 “브랜드 가치를 중시하는 젊은층이 늘어나고 있으며, SNS에서 본 트렌디한 제품을 직접 사용해 보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는 전언이다. 인도 상공부 및 상무부가 설립한 IBEF(India Brand Equity Found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인도 화장품 시장은 연간 약 150억 달러(약 19.5조 원) 규모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전체 매출의 3분의 2는 여전히 오프라인에서 발생한다. 현지 소비자들은 직접 제품을 만져보고, 전문가의 조언을 듣는 것을 선호한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전자상거래 시장의 급성장이 인도 화장품 유통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온라인 쇼핑 플랫폼으로는 Amazon, Flipkart, Myntra 등이 있으며, 화장품 전문 이커머스 기업인 Nykaa, Purplle 등의 성장도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Nykaa는 Amazon, Flipkart 등 종합 플랫폼과의
아모레퍼시픽미술관(관장 전승창)이 아모레퍼시픽 창립 80년을 기념하여 고미술 기획전 ‘조선민화전(Beyond Joseon Minhwa)’을 개최한다. 조선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우리 민화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만나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3월 27일부터 6월 29일까지 진행된다. 오래 전 민간에서 그려지고 사용되며 묵묵히 자리매김해왔던 민화는 최근 그 구성과 표현, 색채, 개성, 완성도까지 시공간을 뛰어넘어 현대감각에 부합하는 작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번 전시는 커져가는 민화를 향한 관심에 부응하여, ‘한국의 미(美)’를 새롭게 바라보고자 기획되었다. 이번 전시에는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이 새롭게 수집한 작품과 기존에 실물을 감상하기 힘들었던 작품 등 20개 기관, 개인 소장 작품 100여 점이 전시된다. 특히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이 소장한 이택균의 ‘책가도10폭’과 ‘금강산도8폭병풍’이 새롭게 공개되며, ‘호작도’, ‘운룡도’, ‘어변성룡도’ 등 대표적인 민화 작품들도 출품된다.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제주문자도8폭병풍’,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백선도8폭병풍’, 개인 소장 ‘수련도10폭병풍’,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 ‘관동팔경도8폭병풍’도 만나볼 수 있다. 이밖에 궁
글로벌 화장품시장에서 K-뷰티에 시선이 집중되며 한국 사정에 대한 궁금증이 유럽에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전문가의 발언도 주목받고 있다. 3월 26~27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COSMESD Congress에 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가 초청 연사로 참석한다. 이 행사는 프랑스 중소기업화장품협회(COSMED)가 주최하며, 매년 프랑스와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 화장품 전문가들이 모여 글로벌 화장품산업 규제 변화 및 정책 동향 등을 공유하고 대응을 논의한다. 올해 한국 주제를 선정해, 전문가를 초청한 것은 이번이 첫 사례다. COSMED는 2000년에 설립된 프랑스 화장품 산업과 중소기업을 대변하는 협회로, 현재 1,100개 이상의 프랑스 및 국제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다. 화장품 제조업체, 원료 공급업체, 기술 및 시험 기관, 컨설팅 및 교육 기관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참여한다. 특히 프랑스 정부와 EU 화장품 규제 도입 관련, 강력한 발언권을 가지고 있다. 손성민 대표는 3월 27일 오후 국제 화장품규제 동향 세션에서 "한국에서 화장품 제품을 어떻게 판매할 것인가?"를 주요 내용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현지에선 한국의 화장품 규제 및 마케
소비자들은 평소 피부가 좋은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는 것(87.2%)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부 상태가 외모의 중요한 요소(91%)로 여겨지는 데서 확인된다.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가 최근 6개월 내 기초 스킨케어 화장품 구매경험(만 13~69세, 남녀 1200명)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다. 소비자들은 일상적인 피부관리 필요성을 체감(동의율 98.5%)하고 있으며 현대인에게 피부관리는 필수(85.7%)라는 인식이 높았다. 피부관리에 대해 남성(93.8%), 어릴 때부터(83.8%), 외모관리가 최우선(86.2%)이라는 응답은 ‘미용이 자기관리의 핵심 영역’이라는 인식을 보여준다. 피부 고민은 고연령층은 주름관리 및 피부 탄력 저하, 저연령층은 모공/피지 관리 및 피부트러블 이었다. 피부관리를 위해선 ‘자신만의 루틴’을 기반으로 한 스킨케어 관리(68.8%)를 일상화하고 있음도 나타났다. 저연령층은 스킨/기초케어의 단계별 사용에 따라 자신의 피부타입에 맞춰 이용하고 있다는 응답이 타 연령층에 비해 두드러진 특징을 보였다. 기초 스킨케어는 주로 ➊ 스킨/토너와 로션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스킨/토너 – 69.2%(아침), 저녁(61.9%), 로션 – 58.
화장품 수출 시 애로사항이 발생했다면? 이젠 명동 뷰티플레이로 가서 직접 해결책을 강구할 수 있게 된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은 오는 4월 3일부터 매주 목요일 명동뷰티플레이(서울시 중구 명동길 73, 3층)에서 기업별 ‘수출 애로사항 대면 상담’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미 연구원은 ‘23년부터 기업별 수출 애로 사항 대면 상담을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온·오프라인으로 90개 기업을 지원한 바 있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 100억달러 돌파에 이어 수출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한 중소기업 수출 지원 방안이다. 주요 상담 지원 내용은 △ 해외 인허가 규정 △ 화장품 규제 성분 정보 △ 수출 절차 및 필요 서류 △ 안전성 정보 확보 방법 △ 국내 정부 지원 서비스 등이다. 절차는 상담 신청 후 연구원 담당자가 내용을 확인하여 기업별로 연락하고 세부 상담 내용에 대한 전문가 배정을 통해 상담이 진행된다. 화장품 기업 관계자는 누구나 사전 신청을 통해 분야별 전문가나 연구원 담당자에게 직접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원활한 상담을 위해서 선착순 사전 예약으로 진행되며, 예약 신청은 △ 네이버에서 뷰티플레이를 검색 △ 명동 뷰티플레이 클릭 △ 예약 버튼 클릭 △ 수
대한화장품협회는 ‘2025 화장품 업계 최신 규제 동향 웨비나’를 개최한다. 오는 4월 17일(목) 14~17시이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영상 송출 방식이다. 이번 강의는 화장품 산업 관련 법률 및 규제 이슈에 대한 전문가 강연을 통해 기업의 대응전략을 모색하는 취지이며 김앤장 법률사무소가 주관한다. 참가 희망자는 대한화장품협회 교육센터(https://edu.helpcosmetic.or.kr/main.do )에서 4월 9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화장품 등 생활용품(HS 30, 33, 34, 95류)의 2분기 수출경기전망은 ‘갬’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의 ‘’25년 2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에서 생활용품은 133.8로 나타났다. 이는 선박(140.6)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생활용품은 전분기(137.9)보다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순항 중이다. 109.6(‘24 2Q) → 123.5('24. 3Q) → 114.6('24. 4Q) → 137.9(’25 1Q)로 4분기째 연속 100을 상회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제무역통상연구원(IIT)은 “수입 규제·통상마찰(87.4) 부담에도 불구하고, 수출상담·계약(103.6), 설비가동률(102.8) 자금사정(102.4) 등에서 긍정적 흐름이 예상된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 원재료 가격 상승(19.7%) △ 원화 환율 변동성 확대(12.9%) 등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실제 화장품제조업의 가동률은 여전히 호조다. 중소 인디 브랜드의 미국·일본 수출 실적이 두자릿 수를 유지하고 신흥시장에서 활발하게 시장을 개척 중이다. ‘2월 누계 국가별 수출실적을 보면 미국(14%) 일본(16%) 홍콩(67%) 등이 여전히 순항 중이다. 지역별로 △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