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독성학회는 오는 5월 15(목)~16일(금) 건국대학교 새천년관에서 ‘2025 춘계 독성학 워크샵 & 춘계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올해 창립 40주년을 맞아 질·양적으로 성장해 참가 인원이 600여 명에 달할 것으로 보여 규모를 확대했다. 심포지엄에서는 독성학의 세계적인 발전 방향에 맞춰 한국 독성 연구의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게 된다. 워크샵 주제는 ‘첨단 의약품의 안전성 평가 및 최신 독성평가법 개발’이며, 심포지엄 주제인 ‘차세대 질병 예방: 미래 독성학 기술로부터)’와 연계해 진행한다. 국제 심포지엄 기조강연은 ▲ 캐나다 토론토대학의 Daniel Drucker 교수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이병훈 교수가 각각 최신 지견을 강연한다. 이어 3개 세션의 9명의 연자가 최신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춘계 워크샵에서는 2개 세션에서 8명의 독성학 전문가들이 흥미로운 연구 주제들을 발표한다. 산·학·연의 다양한 연구자들이 모여 오가노이드 기반 독성평가법과 첨단의약품 안전성평가 관련 사례 토론도 예정돼 있다. 한국독성학회는 “춘계 학술대회를 통해 인류 건강과 질병 예방에 대한 안전성·위해성 평가의 중요성 및 새로운 연구법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높이게 된다
대한화장품협회는 ‘2025 화장품 업계 최신 규제 동향 웨비나’를 개최한다. 오는 4월 17일(목) 14~17시이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영상 송출 방식이다. 이번 강의는 화장품 산업 관련 법률 및 규제 이슈에 대한 전문가 강연을 통해 기업의 대응전략을 모색하는 취지이며 김앤장 법률사무소가 주관한다. 참가 희망자는 대한화장품협회 교육센터(https://edu.helpcosmetic.or.kr/main.do )에서 4월 9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은 ‘25년 화장품 인허가 컨설팅 지원 참가사를 모집한다. 이는 보건복지부 글로벌 화장품 육성 인프라 구축지원 사업으로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다. 모집 대상은 중소 화장품 기업 40개사, 40개 품목이다. 다만 영유아제품 및 기능성 화장품은 제외한다. 해외 인허가는 △ 미국 MoCRA(20개 품목) △ EU-CPNP(15개 품목) △ 베트남-DAV(5개 품목) 등이 해당된다. 자격요건은 화장품법 시행규칙 제3조(제조업의 등록 등)와 제4조(화장품책임판매업의 등록 등)에 의한 화장품 제조업 등록기업 또는 화장품책임판매업 등록기업이다. 화장품 책임판매업 등록기업 신청시, 제조기업 정보 함께 제출 필요하며, 중소기업확인서도 요구된다. 참가기업 신청은 3.7~3.21까지다. 접수 방법은 온라인 (www.allcos.biz → 교육/세미나)으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