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규제 완화로 하늘길이 다시 열리며 화장품 업종의 수혜가 예상된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격리의무 해제 조치로 항공운송업에 이어 석유와 가스(에너지), 호텔·레스토랑·레저, 화장품(경기 소비재) 등의 성장성+수익성 개선을 전망했다. 면세점 채널 영업마진이 전체 평균 마진보다 1.5배 높아 면세점부터 활황을 기대했다. 앞서 우리나라는 3월 21일부터 우크라이나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한 모든 해외 입국자를 대상으로 무격리 방침을 시행 중이다. 아시아 국가(싱가포르·필리핀·인도네시아·베트남·캄보디아·말레이시아·태국)는 무격리 입국가능(접종자 무격리)이 가능하게 되며, 화장품 수출 활성화가 기대된다. 특히 아시아 지역은 국제선 출항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렇게 되자 베트남 진출 기업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호치민의 K-뷰티 전문 매장 C#Shop을 운영하는 코스앤코비나(대표 조안나)는 지난달 피부진단 앱(App) ‘AHAS’을 론칭해 화제를 모았다. 이 앱은 베트남 소비자들이 앱을 통해 피부를 측정하고 적합한 제품을 추천받는 맞춤형화장품 서비스다. 앱 배포 후 한달여 만에 1만 다운로드를 기록하는 등 SNS과 입소문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는 게 조안나
K-뷰티의 아시아 2대 수출국 베트남과 태국의 최신 화장품시장 동향 정보를 담은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3호(태국·베트남 편)’이 발간됐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발행) 먼저 시장 트렌드를 비교하면 태국은 파우더 타입 베이스 메이크업, 베트남은 멀티 선스크린에 소비자가 높은 관심을 보였다. 태국은 매끄러운(smooth) 모공(pore) 파우더(power) 등 피부 표현 관련 키워드가 선정됐다. 자연스러움을 살리면서 피부를 매끄럽게 표현하는 스타일이 주목받았다. 따라서 무겁고 끈적이는 제형의 파운데이션보다 파우더 파운데이션, 루스 파우더, 팩트 등 파우더 타입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 인기가 몰렸다. 특히 스킨케어 후 컨실러와 파우더만 사용하는 파운데이션 프리(foundation-free) 메이크업에 소비자 호응이 많았다. 연구원 관계자는 “태국 여성의 피부톤을 고려한 베이스 메이크업 색상 구성이 중요하다”라며 “현지 메이크업 트레드에 K-드라마와 K-팝 영향이 크다는 점을 활용한 마케팅을 함께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베트남은 다기능(multi) 자외선(UV) 선스크린(sunscreen) 등이 주요 키워드다. 이름에서 보듯 다양한 효과를 갖춘 멀티 선
리이치24시코리아㈜가 서울 강남(강남대로)으로 사무실을 이전하고 고객사 편의를 위한 조직 개편 및 디테일 서비스 확충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중국 규제 대응 서비스 대응은 K-뷰티 초미의 관심사. 특히 수출의 첫 단추로 인허가 절차에서 정확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마케팅에 차질을 빚지 않게 된다. 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는 “한국 화장품기업이 중국 시장에서 가시적이고 효율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선 NMPA 허가·등록 절차와 내용을 숙지해야 한다”라며 “악마는디테일에 있다는 격언처럼 세세한 부분에서의 준비와 대응이 중국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손 대표가 강조한 ‘디테일’은 중국 법규와 시장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속내가 담겨 있다. 메이콴시(沒关系)란 ‘괜찮아, 문제없어’, 차부둬(差不多)란 ‘별 차이 없어’라는 뜻. 예전에 중국인들이 흔히 쓰던 말이지만 이제 그들은 아예 입에 담지 않는 단어다. 대충해서는 자칫 중국 규제에 마케팅은커녕 출시조차 못 할 수 있다는 경고다. 최근 업계 이슈 중 하나가 화장품원료등록 플랫폼이다. 손 대표는 원료 코드 등록시 주의사항을 4가지로 정리했다. 기허가 원료(ECI) 코드(보존제, 자외선차단제, 착색
한국콜마가 창립 32년만에 전세계 KOLMAR 브랜드의 주인공이 됐다. 한국콜마홀딩스는 1921년 설립된 콜마의 원조 기업인 한국콜마로부터 ‘KOLMAR’ 글로별 상표권을 100% 인수했다고 17일 밝혔다. 화장품 업계 역사상 한국기업이 글로벌 본사의 브랜드 상표권을 인수한 첫 사례다. 상표권(trademark)은 상품(goods)을 의미한다. 한국콜마홀딩스는 화장품·의약품·건강기능식품에서 ‘KOLMAR’ 브랜드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갖게 된다. 이번 브랜드명 인수를 통해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한 비즈니스 허브(Business Hub)로서 연내 가동을 목표로 미국 뉴저지에 '북미기술영업센터'를 건립 중이다. 지난 2016년 인수한 생산기지인 미국법인 PTP는 KOLMAR USA, 캐나다 법인 CSR은 KOLMAR CANADA로 법인명을 변경할 예정이다. 이는 북미 지역 고객사 확대를 위해현지에서 인지도가 높은 KOLMAR 브랜드 파워를 적극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콜마 브랜드를 사용해 글로벌화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동남아와 중동 시장 개척을 위한 거점기지로 싱가포르 법인 설립을 준비 중이다. 추가로 지난 2월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와 '중동
프랑스는 세계 1위의 뷰티 국가다. ‘20년 수출액이 148억달러(1위)로 3위 한국(75억달러)의 2배를 넘는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대 프랑스 수출액은 4770만달러로 수입액 3억7636만달러의 13%에 불과할 정도로 무역적자를 기록 중이다. 그만큼 연구와 클러스터에서 한·프 간 격차가 크며, 럭셔리·프리미엄 포지셔닝에서 K-뷰티에겐 넘사벽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K-뷰티가 프랑스 시장에 진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난달 26일 열린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과 코트라 파리무역관이 공동 주최한 ‘프랑스 뷰티시장’ 웨비나는 이런 궁금증 해소에 도움을 줬다. (기사 작성=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번역본 제공) 첫 번째로 강의에 나선 로라 케플러 대표는 “한국의 대 EU 수출액은 ‘20년 1.6억달러인데 그중 프랑스 판매액이 35%를 차지한다. 프랑스 시장에서 K-뷰티 이미지는 ①하이테크&고성능 ②풍부한 천연성분(한방 등) ③높은 가성비 ④SNS에 공유하고 싶은 비주얼(스킨+엔터테이닝) ⑤고객의 요구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신제품의 지속적인 론칭 등이다”라고 분석하고 “다만 여전히 K뷰티의 낮은 인지도와 복잡한 수입절차, 현지 도매상과의 경쟁 등으로 어려움은
프랑스 뷰티시장의 키워드는 ▲클린(Clean Beauty) ▲포용성(Inclusivity) ▲공유(Social Beauty) ▲맞춤화(Personalization)로 요약된다. 지난달 26일 열린 코트라 파리무역관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프랑스 뷰티시장’ 웨비나에서 프랑스 뷰티산업 컨설팅 기업 On the shelf 로라 케플러 대표의 발표 내용이다. 먼저 프랑스 시장은 천연성분과 유기농 제품 선호 추세가 뚜렷하다. 파라벤, SLS, 디메티콘과 같은 논란이 되는 원료 거부감이 크다. 이 때문에 화장품 성분 스캔용 앱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둘째 포용성 관점에서는 다양한 신체적 조건과 피부색에 대한 존중이 강화됐다. 홍보 및 테스트에서 중요한 포인트로 작용하고 있으며, 남녀 구분을 하지 않는 ‘젠더리스’ 상품도 늘어나는 추세다. 셋째 SNS 인플루언서 영향력이 커지고 공유하는 현상도 확인된다. 디지털 영향력이 커지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디지털 체험을 제공하고 있는 추세다. 넷째 소비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화장품을 직접 만드는 ‘맞춤형’ 제품에 관심이 높았다. 화장품 기업들은 개인별 피부분석 시스템, AR 활용 등 경험을 제공하고 고객
·화장품산업의 최근 이슈는 ▲인도네시아산 팜유 수출금지에 따른 화장품업계 수급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인한 화장품 수출 동향 ▲실외 마스크 해제 등 격리 의무 완화 조치에 따른 화장품 수혜 전망 등이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긴급 수출입상황 점검 회의’에서 인도네시아 정부의 4월 28일 팜유 수출 금지 조치에 따라 “화장품, 세제, 바이오디젤 등의 분야에 사용되고 있어 파급효과가 다른 분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라며 모니터링 강화 계획을 밝혔다. 팜유는 화장품의 스킨케어, 립스틱 등의 원료와 계면활성제, 비누 제조 등에 사용된다. 대한화장품협회 관계자는 “팜유는 이미 가격이 오른 상태로 원료사마다 수개월 분의 재고를 가지고 있어 단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본다. 다만 장기화 여부를 관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우리나라는 팜유를 주로 말레이시아에서 수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영향은 피할 수 없으리라는 관측이다. 이어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도 화장품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1~3월 누적 러시아 수출액은 0.65억달러(-11.4%) 우크라이나 0.1억달러(-26.5%)로 각각 감소했다. ‘21년 러시아 2.9억달러(+19.2%,
올해 들어 화장품 수출이 4개월째 감소세다. 5월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4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액은 7.2억달러로 전년 대비 △17.5% 감소했다. 이로써 1~4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은 25.8억달러로 전년 대비 △17% 감소했다. ’21년 4월 +56%의 기저효과와 중국의 코로나 방역에 따른 도시 통제로 소비 부진, 한국산 화장품의 수요 위축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때문에 중국에서 K-뷰티 수요를 늘릴만한 반전 카드가 없이는 올해 화장품수출 100억달러 돌파는커녕 외려 마이너스로 돌아설 가능성이 커졌다. 중국 화장품시장의 변화는 ▲소비 부진 ▲화장품 2대 중심도시인 상하이·광저우 봉쇄 ▲新화장품감독관리조례 등에 따른 한국화장품 기업의 위축 ▲한국과 중국 화장품의 동질화로 인한 K-뷰티 경쟁력 약화 등이 중국의 화장품소비는 21. 12월(2.5%)→1~2월(7.0%)로 증가했으나 3월 △6.3% 감소하며 1분기 전체 1.8% 증가에 그쳤다. 이에 대해 중국 국가통계국은 코로나 초기인 2020년 1분기를 빼곤 최근 5년간 1분기 실적 중 사상 최저치 증가율이라고 밝혔다.(‘21년 1분기는 41.40% 증가) 또한 화장품 주요 생산지이자 소비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