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8월 화장품 수출 8.7%↓...‘한국 따라하기’ 극복 위한 패러다임 전환 필요

마스크팩·BB·쿠션 등 세계적인 보편화로 K-뷰티만의 특성 실종...신규 중소 인디브랜드의 틈새 품목 해외에서 인기, 수출다변화 확산 중

화장품 수출이 감소세로 접어들자 정부의 관심도 멀어졌다. 올해 들어 줄곧 마이너스 추세가 이어지자 작년 무역수지 흑자의 4분의 1을 차지한 수출효자 품목임에도 주목도가 떨어진다. 그럼에도 1~7월 화장품 무역수지는 37억달러 흑자(약 5조원)를 기록 중이다. 

1일 발표한 산업통상부의 8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원자재가 인상으로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8월 94억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소비재 중 대규모 흑자를 기록 중인 화장품이 돋보이는 이유이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까닭이다. 



8월 화장품 수출은 6.3억달러로 전년 대비 8.7% 감소했다. 올해 들어 5월을 제외하곤 7개월째 감소세다. 중국에서의 K-뷰티 인기 하락에 이렇다 할 반전 기회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로써 1~8월 누적 수출액은 53.3억달러로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수출이 정체에 빠진 이유는 ①K-뷰티의 혁신을 보여주는 마스크팩, BB/CC크림, 쿠션 팩트, 톤업 크림 등 품목이 세계 시장에서 보편화 ②중국 로컬브랜드의 ‘한국 따라하기’ 전략으로 중국시장 입지 축소 ③중국의 新화장품감독관리조례 시행 등 규제 장벽 및 궈차오 마케팅으로 한국 기업 잇단 철수 ④아세안 및 해외 시장에서 K-뷰티 모방 및 짝퉁으로 한국 기업 고전 ⑤해외 온라인 환경 적응 어려움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리이치24시코리아(주) 손성민 대표는 “로레알 본사 산하 Korea Innovation Center, 바이어스도르프의 K-Beauty Accelerator Program 운영 등 해외기업들은 한국 화장품산업 동향을 빠르게 포착, 신제품에 적용하려는 전략을 펴고 있다. 이렇듯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의 보편화가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에 비해 국내외 규제 강화를 뛰어넘을만한 기초연구나 신원료 개발을 위한 과감한 투자가 이뤄지지 않아 K-뷰티가 고전하고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때문에 “다양성·신속성·기술력 저하를 극복해야 하고 IFSCC. 국제전시회 등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전반적인 어려움 속에서 틈새(niche)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 움직임도 눈여겨봐야 한다고 손 대표는 언급했다. 그는 “알짜 성장 브랜드는 오너 성향에 따라 노출을 꺼리고 언론 홍보에도 소극적이다. 대신 미국·일본·인도네시아·러시아·중동 등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들 기업은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로 투자를 받는 외연 확장보다 ’천천히 탄탄히‘ 브랜드 이미지를 다지는 전략을 구사한다”고 소개했다. 

한편 유례를 찾기 어려운 국내 브랜드사 2만2천여 개(‘21)의 양적 규모를 보더라도 K-뷰티의 성장 동력은 식지 않았다는 반론도 있다. 중소 인디브랜드가 기획력과 트렌디를 무기로 아이디어 제품이 해외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음에 비춰 새로운 패러다임의 선순환 생태계가 재구축 된다면 미래가 밝다는 설명이다. 

화장품 수출 부진은 중소기업의 수출비중 하락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75%(‘18)→56%(’22.上)] 중국시장의 경우 수익성이 하락한 중소기업의 철수로 38%까지 비중이 떨어졌다. 대신 선진국[미국(71%) 일본(70.7%)}과 아세안·동유럽[베트남(87.5%) 러시아(84.6%)] 등에서는 70%를 웃도는 비중을 차지해 인디 브랜드의 수출 다변화가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화장품수출협회 관계자는 “대기업이 뚫지 못한 미국·일본·유럽 시장에서 괄목할만한 실적을 내는 기업은 모두 중소기업이다. 아마존이나 대형 유통사들이 K-Cosmetic 존을 오픈하고, K-인디 브랜드의 유치에 주목하고 있다. 수출다변화는 중소 인디브랜드가 이끌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올해 1~7월 중국+홍콩을 제외한 화장품 수출액은 23억달러로 전년 대비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화장품 수출은 역성장이 확실하다. 다만 내년을 기약하기 위해선 중국 편중에서 벗어나 모름지기 글로벌 K-뷰티로 성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업계는 “규제 혁신을 통해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규제 환경 조성 및 민간주도형 체계로 탈바꿈시켜야 한다“는 내적 위기 극복 노력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인 ‘한류’에 기대를 걸고 있다. 지속 가능한 화장품발전을 위해 현재 논의 중인 ‘한국 화장품 재도약을 위한 규제 혁신’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