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전체기사 보기

미국-PFAS free, 중국-실버 화장품...미래의 틈새시장 유망

코트라, 경제·시장 환경 변화 따른 틈새 품목 추천... 수출바우처, 출장지원서비스 활용 유리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인플레이션의 장기화, 고착화를 우려해 미국, EU 등에서 금리 인상 필요성이 커지면서 경기 회복 지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코트라(KOTRA)가 전세계 6대 지역 무역관을 통해 파악한 경제 환경이다. 현재 코트라의 시장 변화 모니터링 결과 ▲ 현지 규제 변화 ▲ 인구구조 변화 ▲ 로봇의 일상화 ▲ 치안 불안 해결 노력 ▲ 건강 중요성으로 셀프 헬스케어 ▲ 실속 소비 트렌드 ▲ 공급 차질로 인한 대체재 수요 등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코트라는 하반기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우리나라 수출 부진 속 틈새시장 발굴을 통해 중소기업의 수출 유망품목을 선정, 진출을 추천했다. 화장품의 경우 싱가포르, 미국, 중국, 프랑스 등에서 각각 수출 기회를 포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싱가포르- 재활용 포장재 사용 먼저 싱가포르는 규제 변화로 인해 2023년 7월 3일부터 비닐봉지 제한을 시행 중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재활용 장려를 통해 가구의 80%가 참여하고 연간 8억개의 플라스틱 병과 캔이 재활용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모든 가정에 재활용박스(bloobox)를 공급했다. 이에 따라 코트

닥터에스떼, 中 메디컬 뷰티(轻医美) 확대에 항저우 교육센터 오픈

제품 효과 관련 검증 데이터+교육 시스템이 강점...에스테틱 네트워크 구축으로 성장 발판 마련

마더스코스메틱(대표 김봉재)의 닥터에스떼(Dr.esthé)가 9월 11일 항저우에 교육센터(Training Centre, 敎育培訓中心)를 오픈하고 고기능 메디컬 코스메틱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미용 시술 수요 증가, 민감성 피부 관심 증가 등 중국 메디컬 뷰티 성장 전망에 따른 것이다. 김봉재 대표는 “제품 효과와 관련된 검증 데이터와 국내외 다양한 교육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우리 기업의 강점”이라며 “피부과 시술 후 병원전용 화장품을 구입해 사후관리를 하는 현지 소비자에게 맞는 솔루션 제품 제공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내 넘버원 메디컬 코스메틱(medical cosmetics) 브랜드로 중국을 성장 발판으로 제2의 도약을 시작한다”며 각오를 밝혔다. 경력 15년의 항저우 교육센터 오지현 원장은 “중국에선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SNS 정보 공유 내용을 살펴보면 순한 성분의 비수술 관련 케어 제품 → 병원 연계 고기능 성분을 함유한 수술 후 케어 제품으로 트렌드가 바뀌고 있다. 마침 닥터에스떼는 피부과 전문의의 조언에 따라 민감성 피부에 맞는 저자극 성분의 화장품 브랜드로 트렌드에 맞고, 리오프닝 후 적절한 타이밍에 맞춰 진출했다

말레이시아-내추럴, 필리핀-글로우 메이크업 인기

연구원, 아시아 화장품시장 분석 및 소비자 동향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7호’ 발간

말레이시아는 자연스러운 메이크업, 필리핀은 글로우 메이크업이 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의 최신 트렌드와 마케팅 사례, 현지 바이어 정보 등을 수록한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7호’를 발간했다. 말레이시아는 내 피부처럼 자연스럽고 좋아 보이게 표현하는 MSBB(My Skin But Better) 메이크업이 인기다. 즉 강한 자외선에 그을린 피부를 두꺼운 파운데이션으로 커버하는 메이크업에서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과 선명한 색상, 글리터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 자연스러움을 유지하며 결점 커버는 얇고 가벼운 파운데이션을 사용한다. 덮고 습기가 많은 기후로 끈적이지 않는 매트한 마무리감의 제품, 파우더 제형을 찾는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밤(balm) 제형의 파운데이션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필리핀은 건강하고 윤기있는 피부 표현의 글로우 룩(glow look) 메이크업 제품에 관심이 높다. 인위적인 광채가 아닌 건강한 피부에서 뿜어 나온 듯한 자연스러움과 섬세함이 핵심이어서 스킨케어부터 메이크업까지 다양한 제품과 사용 팁이 공유되고 있다고 한다. 연구원은 “나라마다 뷰티 트렌드, 특히 메이크업의 경

미국 MoCRA 전자포탈 등록..."DUNS Number, FEI 번호 등록 서둘러라"

FDA화장품인증연구소 정연광 대표 “갑작스런 등록 일정 따라 포탈 등록 폭증 예상, 사전 구비서류 준비 필요”

미국 화장품현대화규제법(MoCRA) 시행에 따른 FDA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지난 8월 ‘시설 등록 및 제품 리스팅 의무화’(FDCA 섹션 607)에 따른 가이던스 초안을 발표하고 전자 등록 포탈을 오는 10월 오픈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포탈 등록 일정도 발표됐다. 먼저 2022년 12월 29일 현재 미국에서 유통되는 화장품의 제조 또는 가공에 종사하는 시설을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모든 책임자는 2023년 12월 29일까지 시설 등록을 해야 한다. 또 2022년 12월 29일 이후의 경우, 시설 소유 또는 운영 활동을 처음 시작한 후 60일 이내 또는 2월 27일까지 해당시설을 등록해야만 한다. 당장 전자 등록 포탈이 다음달(10월) 오픈하면 12월말까지 기존 제품 리스팅과 시설등록을 2개월 내 마쳐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이에 대해 FDA화장품인증연구소 정연광 대표는 “제품 리스팅을 하려면 DUNS Number(던즈넘버)가 필요하다. 포탈이 개설되면 수많은 미국 및 해외업체가 등록하기 때문에 시간이 촉박할 수 있어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DUNS Number는 미국 사업자 번호다. 브랜드사의 던즈넘버는 제조사가 FEI 넘버를 받을 때 필




포토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