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유럽상공회의소(ECCK)는 21일 한국 규제환경에 대한 유럽계 기업의 건의사항을 담은 ‘2023 ECCK 백서‘를 통해 ’화장품의 제조사 자율 표시‘를 요구했다. ECCK는 분야별로 화장품 관련 7개 이슈에 대해 규제 완화를 건의했다. 즉 ① 규정의 국제조화를 위한 기능성화장품 제도 재검토 ② 화장품 제조사 자율표시제 도입 ③ 화장품 표시광고의 표현 범위 확대 ④ 화장품 사용상 제한이 필요한 원료 기준의 오차 허용치 적용 ⑤ 수입화장품 해외제조소 사후관리 점검 기준 완화 ⑥ 1회용 포장의 포장공간비율 유예기간 추가 ⑦ 자원 순환기본법 상 재활용 포장재 적용 제외 등이다. 먼저 기능성화장품 제도에 대해선 “유럽 등 해외국가는 화장품 효능 관리 책임이 기업에 있고 시장 중심으로 제도를 운영하는데 비해 한국은 약사법에서 유래돼 규제되고 있다“며 “화장품의 유효성을 민간 실증제도를 기반으로 입증한다는 조건 하에 기능성 화장품 제도의 폐지”를 건의했다. 이에 대해선 대한화장품협회도 선진화협의체를 통해 추진 중이다. 둘째 화장품 제조사 자율표시는 국내 브랜드사들도 강력 주장하고 있는 사안이다. 원래 화장품법은 책임판매업자가 품질 및 안전관리, 유통, 판매의 책임을
한국무역협회는 2천개사를 대상으로 한 4/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가 90.2로 수출부진 지속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EBSI 지수 하락은 수출 대상국의 경기부진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중국 부동산 금융위기, 국제유가 상승과 글로벌 수요 둔화 지속에 따른 경기부진 장기화 우려가 반영됐다는 관측이다. 세부 항목으로 제조원가(75.2)와 채산성(84.3)에 대한 전망이 부정적이라는 점이 분위기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23년 3분기 100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회복했으나 1분기만에 다시 기준선 이하로 전환됐다는 의미다. [분기별 EBSI : ('23.1Q) 81.8 → (2Q) 90.9 → (3Q) 108.7 → (4Q) 90.2] 특기할 내용은 화장품이 포함된 생활용품은 116.4로 ’갬‘으로 볼 수 있지만 확신할 수 없다는 점이다. 다만 생활용품 EBSI는 116.4로 전분기 대비 수출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수출상담·계약(121.5) 호조와 수출채산성(118.2) 개선에 따라 여건 개선이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물론 원재료 가격 상승(19.3%)과 수출대상국 경기부진(15.7%)를 감안해도 한류 및 호기심
최근 중국 소비시장의 키워드는 ‘개·국·공·신’으로 요약된다. 코트라는 ‘내수 소비시장 체력 기르는 중국, 유망분야는?’라는 리포트를 통해 “달라지는 중국 시장에 맞춰 우리의 시각도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인은 소비계층이 다양화됨에 따라 개인의 취향 및 선호, 개선 등이 구매심리에 반영되는 추세다. 국조(國潮, 궈차오)는 품질이 향상된 자국산 제품에 대한 자부심으로 애국소비를 말한다. 공능(功能)은 제품 고유 기능은 물론 녹색, 건강, 스마트 등 확장된 기능성 확대를, 신식화(信息化)는 인터넷, 모바일 등 정보화/디지털 채널 활용을 의미한다. 개인의 취향 및 개성 중시는 △ 미코노미(me+economy) △ 디깅(digging) 소비(가치 소비) △ 이성적 소비(실용성, 품질, 성분, 가성비 등)로 나타난다. 이는 ‘다품종 소량’의 소비자별 맞춤형 대응이 필요하다. 궈차오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made in china 제품을 찾는 소비로 나타난다. 로컬 브랜드는 자국민 선호를 반영하고 중국식 특색을 입혀 수입산과 차별성을 보이려고 한다. 이 때문에 K-뷰티 대중 수출은 -26%(‘22년) → -25%(’23. 7월 누적)로 2년 연속 감소 중이다. 코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