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 기능성화장품 전체 생산실적의 17.4% 점유
작년 5월 기능성화장품의 범위 확대 후 첫 생산실적이 발표됐다. 식약처는 5일 기능성화장품의 생산실적은 4조 8558억 원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을 통해 드러난 특징은 ▲꾸준한 성장세 ▲복합기능성 제품 확대 ▲기존 3종+7종 추가로 범위 확대 등이다. 먼저 기능성화장품의 꾸준한 성장세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17.9%였다. 2조 5,638억원(‘13년) → 2조 9,744억원(‘14년) → 3조 8,559억원(‘15년) → 4조 4,439억원(’16년) → 4조 8,558억원(’17년) 등의 추이를 보이고 있다. 전체 화장품 생산실적 중 36%가 기능성화장품에 해당된다.(2017년) 기능성화장품의 범위가 3종→10종으로 확대되면서 향후 기능성화장품은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둘째, 2종류 이상의 복합 기능성화장품의 뚜렷한 확대다. 2017년의 생산실적은 2조 3565억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 미백·주름·자외선차단 등 단일 기능성화장품은 다소 감소했으나 복합 기능성화장품은 확대 중임을 보여줬다. 최근 2종류 이상의 복합기능을 가진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것이라고 식약처는 밝혔다.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