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벤에 대해 가장 잘 정리된 메타분석은 2008년 CIR의 보고서다. 파라벤에 대한 세상의 거의 모든 논문을 분석한 이 보고서를 보면 이은주와 구희연이 열거한 위의 연구결과들은 화장품의 위해성과는 관련이 없다. 이것은 모두 동물을 대상으로 한 고용량 섭취 혹은 투약 실험의 결과다. 이것은 단지 파라벤의 독성(toxicity)을 확인한 것일 뿐 화장품의 위해성(risk)을 확인한 것이 아니다. 화장품은 고용량으로 먹고 주사하고 흡입하는 것이 아니다. 피부에 조금씩 바르는 물건이다. 화장품의 노출 방식과 사용량, 함량을 고려하지 않고 동물 독성시험 결과를 무작정 대입하는 것은 올바른 위해평가 방식이 아니다. CIR 보고서는 한국 식약처, 캐나다 보건부, SCCS 등의 감독기관과 여러 권위 있는 과학지가 검토를 마치고 신뢰성을 인정했다. CIR은 이 보고서를 2012년에 재검토하였고 수정할 것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보고서의 결론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 파라벤은 화장품에 사용되는 함량에서 정상적인 피부에 좀처럼 자극적이지 않다. 물론 일부 개인은 파라벤에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 지난 20년간 수렴된 알레르기 패치 테스트 결과를 보면 파라벤에 양성
수많은 화장품 성분 중에 가장 심한 오해와 음해를 받는 성분은 뭐니 뭐니 해도 파라벤(Paraben)일 것이다. 파라벤이 위험성을 알리는 용도로 만들어진 로고들. 주로 천연화장품회사, 환경단체, 화장품컨설팅 업체에 의해 만들어졌다. 파라벤에 대한 음해는 199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천연화장품 회사들의 천연성분 마케팅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대기업 중심의 화장품 시장에서 신생 회사들이 주목을 받기 위해서는 블랙 마케팅, 즉 공포 마케팅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들은 그때까지 대기업들이 가장 흔하게 써왔던 성분들을 집중 공략했다. 샴푸와 폼클렌저에 흔히 들어가는 세정제인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yrl Sulfate), 미네랄오일(Mineral Oil), 그리고 파라벤이 대표적인 희생양이 되었다. 천연화장품 회사들이 퍼뜨린 파라벤 불량정보를 공신력 있는 정보로 둔갑시킨 것은 EWG이다. 사람들은 EWG의 정체를 몰랐다. 환경단체라면 당연히 옳은 소리만 하고 정부와 화장품회사들이 숨기는 더러운 진실을 캐내는 줄 알았다. 이들이 과학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짜깁기 된 정보로 공포를 조성하고 뒤로는 굴러들어오는 후원금을 챙기고 임원들이 억대 연봉 잔치를 한다
화장품 성분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화해’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화해’는 ‘화장품을 해석하다’라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제품별 유해성분 정보를 알려준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벌써 5년이 되었다. 2013년 화해가 처음 생길 때부터 나는 이 애플리케이션이 소비자에게 도움이 되기보다는 해악이 될 것임을 예견했다. 과학을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은 EWG의 성분 유해도 지수 및 제품 유해도 평가방식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조금이라도 과학적으로 사고하는 사람이라면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에 실린 ‘20가지 주의성분’에도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이 두 가지 정보가 화해의 바탕 정보로 쓰였다는 사실만으로도, 화해는 틀렸다. 한 언론기사에서 화해 측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정리해 보여줄 뿐 어떤 제품이 좋다, 나쁘다를 판단하지 않는다. 중립성은 화해가 지켜나가야 할 중요한 가치이다.” 굉장히 멋있는 말 같지만 내게는 발뺌하는 말로 들린다. EWG 스킨딥 데이터베이스가 신뢰도 높은 정보인가? 20가지 주의성분이 신뢰도 높은 정보인가? 이런 비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중립성을 중요한 가치로 삼고 있다는 게 말이 되는
로레알의 제품 중에 ‘리바이탈리프트 트리플 파워 콘센트레이티드 세럼 트리트먼트’(Revitalift Triple Power Concentrated Serum Treatment)라는 에센스가 있다. 아시아에서는 ‘리바이탈리프트 레이저 X3 세럼’(Revitalift Laser X3 Serum)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두 제품은 용기 디자인도 다르고 성분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같은 제품으로 봐도 무방하다. EWG는 이 제품에 유해도 점수 7을 주었다. (ewg 제품 평가 링크 : http://www.ewg.org/skindeep/product/594327/L27Oreal_Paris_Revitalift_Triple_Power_Concentrated_Serum_Treatment/) #1 20가지 주의성분 5개, 알레르기 주의성분 4개의 에센스 화해 어플 역시 결과가 좋지 않다. 20가지 주의성분 5개, 알레르기 주의성분 4개로 나온다. 이 정도면 절대로 용납할 수 없는 나쁜 제품이라는 판결을 받은 것과 마찬가지다. 누군가는 별을 하나만 줄 것이고, 누군가는 ‘탈락’을 외칠 것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성분표를 보며 자세히 얘기해보자. 이 제품은 정제수에
현재 화장품문화를 지배하는 수많은 블랙리스트(피해야 할 성분을 모아놓은 리스트)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단연 ‘가장 피해야 할 20가지 주의성분’일 것이다. ‘20가지 주의성분’은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을 통해 세상에 나왔고 ‘화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면서 널리 퍼졌다. 이후 피현정 등 여러 화장품전문가들이 이것을 화장품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이용하면서 매우 공신력 있는 정보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나는 이 리스트야말로 지금 당장 폐기해야 할 최악의 리스트라고 생각한다. ‘20가지 주의성분’의 탄생은 잘못된 화장품 평가문화의 시작이 되었고 화장품 케모포비아가 확대되는 발단이 되었다. 애초에 우리는 왜 이 리스트를 믿게 되었을까? 과연 이 리스트가 신뢰할 만한가? 과학을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은 절대로 그렇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신뢰할만한 과학적 출처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도 아니며 믿을만한 과학지나 과학기관에 의해 인정을 받은 것도 아니다. 화학자 및 화장품연구원들에 의해 검증을 받은 적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이 리스트를 무작정 신뢰했다. 화학성분에 대한 불안이 고조된 상태에서 이 리스트를 구원처럼 받아들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