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중국 화장품시장은 소비 고도화와 함께 화장품 인증 제도 변화에 따라 시장이 출렁일 가능성이 높다.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도전이어서 K-뷰티에게 2022년은 험난한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중국 화장품 수입액은 사상 처음으로 200억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2021년 기간 화장품 수입액은 연평균 23.9% 성장했다. 5대 화장품 수입국은 일본-프랑스-한국-미국-영국 순이다. 한국은 2016년 처음 1위에 올랐으나 2019년 일본에 뒤처지고 2020년 프랑스에 추월당하면서 2년 연속 3위에 머물렀다. 중국 화장품시장의 소비 고도화는 하이엔드 제품의 판매 증가에서 엿볼 수 있다. ’21년 티몰의 스킨케어 매출은 전년 대비 9% 증가했으나 단가는 1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량은 3% 감소했다. 메이크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16%, 단가 14%나 올랐으나 판매량은 1% 증가에 그쳤다. 숫자가 보여주듯 단가 인상이 매출액을 견인했을 뿐 판매량은 부진했음을 알 수 있다. 글로벌 브랜드의 매출에서도 하이엔드 제품 매출 증가가 눈에 띈다. 로레알은 글로벌 매출이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중국 매출은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한
작년 한 해 중국의 화장품 주요 규정이 31건이나 발표되면서 기업들 사이에서 자칫 혼란과 시기를 놓칠 우려가 크다. 때문에 코앞에 닥친 일정으로 기업들의 문의도 많다. 대표적인 게 매년 1월 1일~3월 31일 사이에 기 등록한 화장품의 신 플랫폼 내에서 연간 보고서 제출이다. 이는 반드시 필수적으로 제출해야 한다. 중국인증전문 컨설팅 북경매리그룹코리아 김선화 과장은 “중국 인증 일정이 발표됨에 따라 ‘효능시험을 하지 않을 경우 어떻게 되나요?’, ‘아직 제품을 신 플랫폼으로 이관하지 않았는데 괜찮을까요?” 등 일정에 따른 다양한 문의가 많다“라며 “해당 일정을 따르지 않을 경우 제재나 불이익에 대해선 SAMR(시장관리감독총국)의 발표는 아직 없지만 최근 광저우시 SAMR의 발표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즉 3월 16일 광저우시 시장감독관리국(SAMR)은 ▲기 등록 제품의 해당기간 내 연간 보고를 하지 않거나 ▲중국산 제품이 구 플랫폼에서 신 플랫폼으로 아직 이관하지 않은 제품에 대한 조치사항을 발표했다. ①2022년 1월 1일~3월 31일까지 허가·등록인은 신 플랫폼을 통해 출원 기간이 1년인 일반화장품의 연간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연차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중국 화장품 인허가 획득지원 참가기업을 모집한다. 보건복지부의 글로벌 화장품 육성 인프라 구축지원 사업으로, 중소 화장품 기업 10개사 내외를 선정할 예정이다. 지원 내용은 중국 NMPA(일반화장품) 획득 지원 및 인허가 컨설팅, 기본 검측, 안전성 평가 보고서 등이며, 다만 영·유아 제품 및 효능평가 시험은 제외된다. 기업 당 지원 품목 수는 최대 2개이며 품목당 400만원을 지원한다. 연구원이 지정한 NMPA 인증 대행기관을 통해 진행한다. 중국 화장품 인허가 취득 경험이 있거나 심사 중인 기업, 중국 내 경내책임자 확보 기업, CGMP 인증서 보유 기업, 중문서류 제작이 가능한 기업, 중국 수출 계획 기업 등은 우대할 예정이다. 희망 기업은 연구원의 올코스(allcos)→교육/세미나에서 온라인 접수한다. 신청기간은 3. 14~28일이다.
중국 화장품시장이 소득 업그레이드 및 ‘공동부유(共同富裕)’ 정책 추진, 로컬의 고품질과 가격경쟁력 향상 등으로 하이-로우 엔드 시장으로 양분되고 있다. 이에 따라 K-뷰티의 시장 포지셔닝 재구축이 당면 과제로 떠올랐다. 중국의 1인당 GNP는 2020년 1만 511달러로 ‘중상소득 국가’로 진입했다. 참고로 세계은행은 1인당 국민소득 1만 2695달러 이상의 경제를 고소득 경제 또는 부유한 사회로 분류한다. 이를 근거로 중국은 2021년 4월 탈빈곤 백서를 내고 ‘샤오캉 사회’(의식주 걱정 없는 비교적 풍족한 사회)를 달성했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중국의 고민은 3대 격차에 있다. 즉 ①도시-농촌 간 격차(도시와 농촌 간 소득 격차 2.55배), ②동부연안과 중서부 내륙 지역간 격차(동부 5개지역 고소득 인구 수 전국의 44% 차지), ③소득 격차(근로소득 〈자본소득) 등에 따라 ‘중간 소득 함정(middle income trap)’에 빠지지 않도록 사회경제를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는 ‘공동부유’를 내걸고 절대빈곤 퇴치 및 경제 패러다임을 성장→분배로 바꾸는 등 3대 격차(불균형) 감소로 정책 방향을 잡고 강력한 규제를 시행하고 나섰
10일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은 일선에서 의문이 많았던 ①원료 안전성 정보 기입 방법 ②기 허가·등록한 화장품의 효능 평가 진행 방법 ③샘플 보관과 수량은? ④수입화장품 샘플 보관 장소 등에 관한 답변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중국 인증전문기업인 CAIQTEST 코리아의 김주연 본부장은 “현장에서 질의가 많았던 내용을 현행 ‘화장품감독관리조례’, ‘화장품허가·등록관리방법’, ‘화장품안전기술규범’에 따라 답변을 내놓았다”라며 “아직 NMPA 플랫폼 내 해당 카테고리가 확인되지 않은 부분도 있어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주요 내용을 김주연 본부장의 해설을 덧붙여 게재한다.(편집자 주) ① 원료안전성 정보 신고 현재 한국의 많은 원료 생산기업이 직접 ‘원료 신고 플랫폼’에 신고를 시작했고 해당 코드를 제조사 혹은 브랜드사에 전달, 편리하게 정보를 기입하고 있다. 아직 신고가 안된 원료의 경우에는 원료사로부터 NMPA 요구 안전성 정보를 모두 중국어로 작성, 허가·등록인에게 전달해야 한다. 김 본부장은 “다시 한번 허가·등록인은 간편하게 원료사가 직접 신고한 ‘원료 코드’를 제공받는 방법을 충분히 활용하라고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② 기
연초부터 화장품 수출전선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따라 2022년 수출 100억달러 돌파에 고전이 예상된다. 대한화장품협회의 수출동향에 따르면 1월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액이 44%나 감소했다. 대중 우회 경유지인 홍콩도 46.6%나 줄면서 중화권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수출이 감소함에 따라 전체 화장품 수출액 중 중국의 비중도 41.2%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홍콩(5.1%) 포함 두 곳의 비중은 46.3%로 처음으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중국의 수출 침체는 다소 예견됐었다. 지난해부터 중국 매체들은 아모레퍼시픽 관련 기사를 쏟아내며 매출 감소와 영업이익 하락을 대대적으로 보도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브랜드별로 유통채널 조정에 들어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3월 25일 헤라 위챗몰이 폐쇄된다”는 등의 소식을 전하고 있다. 이니스프리의 매장 80% 철수, 에뛰드의 오프라인 매장 폐점, 위챗 계정 폐쇄에 이은 아모레퍼시픽의 중국 브랜드 레이아웃 확대를 전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한류 쇠퇴와 중국 로컬 브랜드의 굴기와 포위하는 상황에서 한국 화장품의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을 소개하고 있다. (在韩流推助力下降以及国产化妆品崛起的围剿下,韩妆受冲击已经是不争的事情=搜狐,
‘C-뷰티 궈차오 굴기’는 중국 Z세대가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소비성향을 바탕으로 국산품 애용, 외모관리, 아트토이에 투자, 건강관리 등에 지출이 많았다. 먼저 다른 나라 Z세대보다 중국 Z세대는 세계 평균 수준에 비해 지출 비중이 높은 반면 개인 저축률은 세계 평균 수준보다 낮아 높은 소비 성향을 보였다. 중국의 Z세대는 총 인구수에서 19%(2.64억명)의 비중을 차지하며 인터넷 사용자의 28.1%에 달한다. 직업은 학생 49%, 일반회사원 26%, 프리랜서 10% 등이다. 절반이 학생임에도 월평균 가처분소득이 5천위안(약 97만원) 이상으로 소비여력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다. 무역협회 청두지부는 “중국 Z세대는 돈을 아끼는 대신 개인 취미생활에 투자하고 자신의 기쁨을 추구하는 ‘자기만족형’ 소비성향을 보인다”라며 “한국 기업들은 중국 국산품과 경쟁할 때 가격 대비 품질을 확보해 좋은 평가를 통해 소비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또한 화장품, 아트토이 등은 가격 못지않게 Z세대의 선호도가 충분히 반영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중국 Z세대의 소비로 본 성향 분석’에서 인용) Z세대의 국산품 애용이유는 ▲높은 가성비 72% ▲좋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숨을 고르던 한·중·일 화장품 삼국대전(三國大戰)이 오는 10월 싱가포르에서 막을 올릴 예정이다. 주최 측인 볼로냐피에레 그룹(Bologna Fiere Group)과 인포마 마켓(Informa Markets)은 2일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2022‘의 개최지를 홍콩 → 싱가포르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전시회는 스페셜 전시회로 오는 11월 16~18일 싱가포르 엑스포에서 개최된다. 이는 중국 정부가 홍콩 여행자에 대한 입국 제한으로 참가기업 및 방문객이 검역 제한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음에 따라 주최 측에서 개최지 교체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홍콩 언론에 따르면 홍콩은 오미크론 5차 확산으로 두 달만에 40여 만명이 감염되고 1500명이 사망, 의료체계가 한계에 다다르고 사회기능이 마비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인접한 광둥성 선전(深圳)에서 코로나19 확진자 96명이 보고됐는데 모두 홍콩에서 유입됐다. 인근 광둥성 다른 도시에서도 감염자가 잇달아 보고되며, 홍콩에서 불법 입경을 신고할 경우 건당 10만위안 포상금 지급 등 접경지역 통제를 강화 중이다. 아시아 최대 화장품 전시회의 싱가포르 개최가 결정됨에 따라 아시아 화장품시장 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