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은 바스프(BASF)와 공동 연구를 통해, 피부 저속노화에 효과적인 항산화 자외선 차단 기술 'UV-R Pro'를 개발했다. 공동 기술 개발 협약식은 지난 13일 오후, 서울시 용산구 아모레퍼시픽 본사에서 열렸다. 그동안 자외선 차단제의 광노화 예방에 관한 연구는 다각도로 진행돼 왔으나, 대부분 피부 표면에서의 자외선 차단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고, 진피층에 손상을 일으켜 피부 노화의 징후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UVA(장파장 자외선)에 대해 최근 그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R&I 센터는 피부 속으로 침투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를 늦추기 위해, UVA에 의해 피부 속에서 만들어지는 유해 물질인 자유라디컬(free radical, 활성산소류)에 주목했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에 특화된 항산화 시스템을 적용해, 자유라디컬 생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선케어 기술을 개발했다. 아모레퍼시픽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바스프의 RSF(Radical Skin Protection Factor) 측정 기술을 활용해 검증했다. 그리고 피부 보호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적 보완을 거듭한
10월 화장품 수출이 월간 실적으로 역대 최초 최고를 기록했다. 11월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10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은 10억 3700만달러(+36%)로 첫 월 10억달러 시대를 열었다. 17개월째 증가세다. 이로써 10월 누계 84.5억달러로 연간 100억달러 수출이 가시권에 들어섰다. 남은 두 달 동안 월 8억달러 이상을 기록하면 가능하다. 10월 수출 호조 요인으로는 △ 중국의 솽스이(11·11) △ 미국 아마존 프라임 빅딜데이 △ 일본 메가와리 등 할인행사에서 K-인디 브랜드 선전 때문으로 파악된다. 중국의 경우 7월(1.66억달러, -16%) 8월(1.57억달러, -24%) 역성장에서 9월(2.5억달러, +27%) 반등했다. 솽스이 및 연말 물량이 증가한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은 아마존 세일에서 한국 화장품이 카테고리별로 꾸준히 상위권에 랭크되며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 LG생활건강(CNP 립세린, 더페이스샵 클렌징 등) 아모레퍼시픽(코스알엑스, 라네즈, 에스트라, 미쟝센 등) 조선미녀 스킨1004 등이 낭보를 전하고 있다. 일본향 수출도 큐텐 등 유통채널별 할인행사에서 한국 브랜드가 호조다. 이로 인해 3분기 수출은 30%대 고성장을 이어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5년 예산안 중 K-뷰티 중소기업의 수출 지원 예산을 54% 증액했다고 밝혔다. 오늘(8월 27일) 2025년 정부 예산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됨에 따라 보건복지부 총지출은 125조 6565억원으로 ‘24년 대비 7.4% 늘어났다. 2025년 보건복지부 예산안은 ① 약자복지 강화 ② 의료개혁 중점 투자 ③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변화 대응 ④ 국민건강 안전망 구축 ⑤ 바이오헬스 육성 등 5대 중점 투자방향을 기반으로 편성되었다. 특히 바이오헬스 R&D 규모를 1조원 규모로 확대(8,428억→9,927억 원)하며 바이오헬스 분야 글로벌 중심국가로의 도약을 지원한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분야별로 첨단 재생의료 및 디지털 바이오헬스 분야 전주기 지원, 지역의료 연구역량 지원, 국가난제 해결 및 글로벌 협력 R&D 등에 집중 투자한다. 주요 사업 예산안은 △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전주기 기술 개발(46억 원, 신규) △ 다기관-멀티모달 연학학습기반 의료인공지능기술 시범모델 개발(68억 원, 신규) △ 지역의료연구역량 강화(110억 원, 신규) △ 한국형 ARPA-H(701억 원, +206억 원) △ 글로벌 R&D(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