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럴바이오의 특허기술인 MEBT를 이용해 제조된 인삼발효추출물 ‘GBCK-10S’의 면역증진 기능성이 확인됐다. 전북대 연구진은 4주 동안 관련 세포 및 동물실험을 진행, 200mg/kg(이하GBCK10S-200) 용량을 투여한 결과 면역과 관련된 체내 장기인 비장과 가슴샘 크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면역글로불린(항체) G, A, M의 수치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면역글로불린 M은 다른 군에 비해 상당히 유의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이번 연구는 장에서 쉽게 흡수되는 CK와 같은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으며, CK가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증대뿐만 아니라 기능성에 있어서도 인삼 분말에 비해 향상된 면역 증진 활성을 나타낸 것을 입증했다. 이 외에도 ‘GBCK10S’가 항종양과 항바이러스 면역 반응에 중요한 매개가 되는 NK세포(Natural Killer cell, 자연살해세포)의 활성화에도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 것을 밝혀냈다. GBCK10S 실험군 마우스로부터 얻은 비장세포에서 분리한 NK세포를 백혈병 세포인 YAC-1 세포와 함께 배양한 결과, 자가사멸세포(apoptotic cell)의 비율이 ‘GBCK10S-200’에서 다른
식약처는 1,24-THB의 추가 위해 평가 진행을 위한 ‘위해평가 검증위원회’(가칭)의 운영을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주관한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3월 25일 열린 제495회 규제개혁위원회의 개선 권고에 따른 조치다. 앞서 지난 4월 22일 식약처는 보도자료를 통해 ‘위해평가 검증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은 객관적인 외부기관에서 독립적으로 진행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조속한 시일 내에 ‘위해평가 검증위원회’의 전문위원 추천 방법, 평가 과정 관리, 결과 검증, 공청회 개최 등 향후 추진 로드맵을 구체화하여 확정하기로 했다. 규개위의 개선 권고는 2년 6개월의 유예를 뒀지만, 식약처는 THB성분의 사용금지성분 지정 고시(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2022-27호, 2022.4.1.)로부터 1년 이내에 완료한다는 목표다. 관련기사 1,2,4-THB 토론회 연기...EU·아세안은 판매금지 중, 소비자 안전은 '무시' (cncnews.co.kr) 모다모다의 자충수?...식약처 'THB 위해평가' 재실시 후 즉각 조치 (cncnews.co.kr) 1,2,4-THB ‘화장품 사용금지 목록 추가’ 확정 (cncnews.co.kr) 식약처,
한국화장품수출협회(회장 곽태일)는 16일 ‘6월 원료발표회’를 열고, 최신 화장품소재 동향 및 기업별 특화성분 소개 시간을 가졌다. 이날 발표회에는 원료 업체 3곳(J2KBIO·코씨드바이오팜·세일인터내쇼날)의 자사 보유 특화성분 발표가 있었다. 또한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상해지역 중국인의 피부상태 분석 및 피부특성은행 결과 분석’ 및 ‘2022 국가별 제형 가이드라인 구축사업’ 설명회가 열렸다. 이밖에 AI 활용한 화장품 인증 자동화 플랫폼(CertiCos) 운영사인 씨디알아이(CDRI)의 NMPA 인증 대응전략도 발표됐다. 신소재개발 기업인 J2KBIO는 메타바이옴 유전체 기술을 적용해 천연물·미생물 속 바이오대사체를 개발한다. 핵심원료로 소개된 ‘ProbioMETA S463’은 천연 해수 미네랄을 저온 발표한 프로‧포스트바이오틱 스킨케어 소재로 피부 내 세라마이드 함량을 높이고 수분을 유지한다. 또한 ‘ProbioMETA G55’는 제주 동치미에서 분리한 특허 균주에 메타바이옴 기술을 접목해 개발했다. 고기능성 유산물 발효물이 피부 진정‧각질 개선 효과를 낸다. ‘피부진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를 획득했다. ‘Cyrich BG’는 방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