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공(pore) 화장품 맛집이 스킨미소(대표 정연광)다. ‘0.02mm 크기의 모공이 피부 건강의 기본 중의 기본’이라는 브랜드 철학이 돋보인다. 정 대표는 “피부 건강의 기본이자 좋은 화장의 기초가 모공케어다. 기본에 충실한 제품이어야 오래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라고 말한다. 12월 1일 스킨미소가 피부에 최적화된 ‘퓨어 비타민C’ 3종(토너-세럼-크림)을 와디즈를 통해 첫선을 보인다. ‘퓨어(pure)’는 3종 라인업을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다. 순수를 고집하는 이유는 뭘까? 이에 대해 정 대표는 “‘피부가 웃는다’는 콘셉트로 오직 모공만 연구한 10여 년 화장품쟁이가 피부에 효과 좋은 원료인 비타민C에 꽂혔다. 그러다 ‘순수’ 그대로의 원료를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생겼다. 그래서 정제수가 아닌 비타민나무수, 유도체가 아닌 순수 비타민C의 ‘찐’ 스킨케어를 연구했다”고 설명했다. 피부 미백에 가장 효과적인 원료가 비타민C다. 피부 속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기미도 옅게 한다. 비타민C 화장품은 ①함량 ②pH ③플러스(+) 성분이 차별화 요소다. 미백 효과는 순수 비타민C 함량이 8~20%가 적당하다. 예민한 피부의 경우 고함량은 자극이 된다. 또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의 프리미엄 치약인 ‘히말라야 핑크솔트 담은 치약’이 ‘2020 동아시아 FMCG(일용소비재) 최고 혁신 신제품’으로 선정됐다. ▲프리미엄 원료 ▲감각적인 디자인 ▲차별화된 사용감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꿰뚫었다는 평가다. 히말라야 핑크솔트 담은 치약은 LG생활건강이 2018년 출시한 프리미엄 치약이다. ‘귀족소금’으로 불리는 히말라야 핑크솔트를 함유한 핑크 빛 제형의 투명 튜브치약과 부드러운 크림 타입의 펌핑치약 등 감각적인 디자인이 눈길을 끈다. 최근 펌핑 잔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용기를 변경하는 등 차별화 요소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순도 높은 크리스탈 소금을 함유한 이 치약은 자극없이 상쾌하고 개운하게 양치할 수 있다. 특히 국내 치과대학 임상에서 잇몸염증지수 3.6배 개선 및 12시간 구취 억제 효능도 확인했다. 타르색소 등 8가지 화학물질은 배제하고 필요한 성분만 넣어 온 가족이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올해 동아시아 FMCG 최고 혁신 신제품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닐슨이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출시된 신제품을 대상으로 잠재성, 지속성, 브랜드 확장성, 카테고리 차별성, 영향력 등을 평가해 소비자와 의미 있
노화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를 젊은 세포로 되돌리는 역노화 원천기술이 개발됐다.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은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팀과 시스템생물학 공동연구를 통해 관련 논문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1월 2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전했다. 노화된 세포는 분열 능력이 현격히 감소하고 재생속도가 느려지면서 조직 기능 감퇴를 겪는다. 노화된 피부세포의 경우 콜라겐과 탄력섬유를 생성하는 능력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피부 재생속도가 느려지고 두께가 얇아지면서 주름이 생긴다. 또 피부장벽 약화로 인한 건조함이나 가려움, 외부자극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도 자주 발생하게 된다. 산·학 공동연구팀은 최초로 노화인공피부모델을 개발하고, 노화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를 젊은 세포로 되돌릴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피부세포 노화와 관련한 신호 전달 네트워크 모델을 개발했다. 해당 모델을 시뮬레이션 분석하여 노화된 피부세포를 젊은 피부세포로 되돌리는 데 필요한 핵심 인자를 발견했고, 이를 조절하는 역(逆)노화의 초기 원천기술과 검증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되돌릴 수 없다고 여겼던 피부노화를 다시 젊어질 수 있게 하는 가역화(可逆化) 가능성을 발
마스크 착용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학술적으로 구명한 논문이 발표돼 주목을 끈다.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은 ‘하루 동안 마스크를 쓴 시간에 따른 피부변화’(Effect of face mask on skin characteristics cha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가 SCI급 국제학술지인 ‘스킨 리서치 앤드 테크놀로지(Skin Research & Technology)’ 11월 20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코로나19가 3차 대유행 중인 가운데, 높은 전파율과 비말 감염 가능성 탓에 마스크와 같은 개인 보호장비 착용이 필수적이다. 동시에 마스크 소재에 의한 물리적 자극과 밀폐된 마스크 내부의 고온다습한 환경 등이 피부변화를 유발해 소비자들의 불편도 많았다.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은 마스크 착용으로 발생하는 피부 고충을 해결하고자 마스크에 의한 피부 변화를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마스크 착용은 피부 온도와 피부의 붉은 기를 단시간에 증가시켰다. 밀폐된 마스크 내부에서 입김의 영향을 직접 받는 입 주변의 경우에는 피부가 건조해졌다. 마스크 내부는 습기가 차서 피부가 촉촉해질 것이라 예상하지만, 입 주변은
서경배과학재단(이사장 서경배)은 11월 7일 아모레퍼시픽 본사 아모레홀에서 제1회 서경배 과학재단 심포지엄(SUHF Symposium 2020)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서경배 이사장을 비롯해 역대심사위원, 서경배과학재단 신진과학자들과 기조연설을 맡은 고규영 교수(카이스트), 강봉균 교수(서울대학교) 등 생명과학분야 석학 40여명이 참석했다. 해외에 체류 중인 김도훈 교수(매사추세츠의대) 등 신진과학자와 소속 학생 및 초청자 100여명은 웹엑스(Webex)와 유튜브(Youtube)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을 지켜봤다. 고규영 교수는 기조연설에서 "서경배과학재단이 훌륭한 신진과학자를 선정해 지원하는 모습에 많은 과학자들이 큰 감명을 받았다”며 “대한민국 1세대 과학자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과학적 여정을 시작해 한걸음씩 이뤄 왔으나, 신진과학자들은 좋은 토대를 기반으로 더 높이 점프하고 날아 오르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0년 서경배과학재단 신진과학자 노성훈 교수(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이주현 교수(University of Cambridge, Wellcome – MRC Cambridge Stem Cell Institute, 캐임브리지대학교 줄기세포연구소), 조원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은 빌리프의 베스트 셀러인 보습 폭탄 크림에 에델바이스 허브를 담아 보습, 진정 효과를 선사하는 ‘더 트루 크림-모이스춰라이징 밤 에델바이스 에디션’을 출시했다. 트루 허브 코스메틱 브랜드 빌리프가 선보인 이번 에디션은 브랜드 대표 보습 크림인 ‘더 트루 크림-모이스춰라이징 밤’에 혹독한 고산지대에서 하얀 눈을 뚫고 자랄 만큼 강인한 생명력을 지닌 에델바이스가 함유된 보습 진정 콤플렉스TM를 더하여, 폭발적인 보습감과 동시에 추위와 자극으로 건조하고 예민해진 피부에 진정효과까지 선사한다. 또한 보습 연고에 자주 사용되는 허브인 컴프리 리프를 포함한 핵심 허브 성분이 보습막을 형성해 피부를 촉촉하게 가꿔준다. 생크림 같은 텍스처가 거칠어진 피부에 스며들 듯 매끄럽게 발리며, 여러 번 덧발라도 끈적임 없이 빠르게 흡수된다. 빌리프 브랜드 담당자는 “이번 에디션은 에델바이스를 모티브로 한 용기와 포장 패키지 디자인에 기존 대비1.5배 커진 용량을 담아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다”며, “요즘같이 건조한 가을, 겨울철에 쉽게 거칠어지는 피부를 진정시키고 수분을 채워준다”고 말했다.
바이오플라스틱의 완전분해를 촉진하는 곰팡이 균주가 발견됐다. 최근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배연재)은 경북대 정희영 교수진과 공동연구로, 국내 10여 곳에의 토양에서 분리한 200여 개 곰팡이 균주 중 7개에서 바이오플라스틱 분해능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바이오플라스틱은 옥수수와 같은 식물 바이오매스(biomass)와 미생물이 생산하는 고분자 폴리에스테르류를 이용하여 만든다. 그동안 바이오플라스틱은 자연계에서 분해되지 않는 일반 플라스틱과 달리 토양 중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된다. 그러나 일부 바이오플라스틱은 자연계에서 완전분해가 어려우며 분해되는 데 수년 이상이 걸린다. 이번 연구에 사용한 분해되기 힘든 바이오플라스틱은 ‘폴리카프로락톤 디올(PCL)’과 ‘폴리유산(PLA)’이며, 현재 의료용 튜브, 봉합사 등 의료용 소재를 비롯해 포장제, 코팅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연구진이 찾아낸 분해능력이 높은 7개 균주가 분해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균주에 따라 분해할 수 있는 물질과 시간이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중 곰팡이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Fusicolla acetilerea)’가 폴리카프로락톤 디올(PCL)과 폴리유산(PLA)을 모두 분해했다. ‘탈라로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이 온라인 전용 메이크업 브랜드 ‘글린트 바이 비디보브’를 론칭한다. 타깃은 MZ세대로 디지털 환경과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에서 판매될 예정이다. 인플루언서 바이럴, 검색광고, 라이브방송 등 마케팅을 통해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에서 판매된다. ‘글린트 바이 비디보브’의 브랜드 스토리는 ‘모든 빛의 스펙트럼으로 일상의 순간에 찬란함을 더한다’는 콘셉트다. 이에 따라 제형은 글리터펄, 홀로그램펄, 쉬머펄 등 다양한 펄 소재를 활용해 반짝임을 돋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 제품인 ‘글린트 바이 비디보브 하이라이터’는 페이스라인을 따라 은은하게 차오르는 광채가 입체감을 선사한다. 쉬머, 글리터, 블러쉬 광 등 3가지 타입으로 출시되어 메이크업 룩에 맞춰 골라 쓸 수 있다. 또 빅사이즈의 글리터가 화려함을 표현한 ‘글리터젤’, 쥬얼 스프레이 기법으로 펄을 흩뿌려 반짝이는 외관의 ‘스파클 립스틱’ 등 5종으로 라인업을 구성했다. 글린트 브랜드 담당자는 “글린트는 자칫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펄 메이크업 룩을 일상 생활에서도 자연스럽게 소화할 수 있는 스타일을 제안한다”며, “온라인 브랜드의 특징을 살려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 등을 통해 감각적인 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