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미국에 자외선차단 화장품을 수출하려면... 7월 3회 웨비나 개최

북미 화장품 규정+OTC 자외선차단+FDA 시험법 등 OTC 자외선차단 성분 및 시험법 동향

우리나라 자외선차단 기능성화장품이 미국에도 통할까? 업계에선 OTC 관련 제조사들이 거액의 별도 비용을 요구함에 따라 미국향 진출 브랜드사들의 불만이 많다. 왜 그럴까? 

자외선차단은 '23년 기능성화장품 5만 4391종 가운데 ▲ 자외선차단 5003종 ▲ 복합기능성 2만 3313종 등에 포함되며 절반이 넘는 52%에 달할 정도로 기본 기능성으로 꼽힌다. 하지만 미국에 자외선차단(sunblock, sunscreen)을 내세운 제품이 얼마나 될까? 의문이다. 아마존 등 해외직구로 판매되는, OTC를 거치지 않는 자외선차단 제품은 문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지난 3월 식약처의 '자외선차단 심사제도의 개선'이 업계 초미의 관심이 되고 있다. '자외선차단 제품 수출 호조'라고 떠드는 게 K-뷰티의 신뢰로 문제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와중에 대한화장품협회는 7월에 북미 화장품시장 관련 웨비나를 3회 개최한다. 
➊ 7월 2일 오후 3~5시 ‘북미지역(캐나다 중심)의 화장품 규정’ 
➋  7월 2일 오전 9시 30분~11시 30분 '미국 OTC Sunscreen Monograph‘ 
➌ 7월 18일 오전 9~11시 ’미국 FDA 자외선차단 시험법과 ISO 시험법 비교‘ 등이다. 
모두 식약처의 위탁교육이다. 

먼저 ‘북미(캐나다) 화장품 규정’ 웨비나의 주요 내용은 △ 캐나다의 화장품 규정 안내 △ NPD(Non Prescription Drug)와 NHP(Natural Health Products)개념 안내 △ 미국 화장품 규정 안내 △ 캐나다와 미국 규정 비교 등이 소개된다. 
( 사전등록링크 : https://forms.gle/o4KP2M6iHmTwtVhY9 )

둘째 '미국 OTC Sunscreen Monograph‘ 웨비나는 미국의 DSM Firmenich의 칼 뒤르즈 박사(Carl D’Ruiz, M. Ph.)가 강의한다. 강의 내용은 △ 미국 자외선차단제 규제 개요 △ FDA OTC 자외선차단제 논문 및 성분의 역사 △ 2021년 자외선차단제 모노그래프 명령 제안(proposed order)  △ 자외선차단 성분의 안전성 확보 관련 미국화장품협회의 컨소시엄 활동 등이다. 
(사전등록링크 : https://forms.gle/iF99aEwXTnpNSHp16 )



셋째 ‘미국 FDA 자외선차단 시험법과 ISO 시험법 비교‘에서는 △ ISO and FDA in-vivo testing differences (Chelcie Mejia) △ ISO and FDA in-vitro testing (Dominique Sawyer) 등이 각각 발표된다. 강의 후 질의응답을 가질 예정이다. 유로핀즈(eurofins)는 화장품, 식품, 제약 분야의 소재와 제형, 제품에 대한 피부임상평가 전문기관이다. 유로핀즈 그룹은 50개국 900개 이상의 실험실을 갖춘 국제적 네트워크다. 
(사전등록링크 : https://forms.gle/SbZU1FQ1xHU1k6L98 )



이번 웨비나는 미국향 자외선차단 기능성화장품 수출 가능성을 타진하고 화장품 업계의 과제를 진단해볼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가신청은 대한화장품협회 홈페이지의 '글로벌 규제조화 지원센터' → 해외 규제 교육 신청 게시판 링크(  https://helpcosmetic.or.kr/pc/edu/edu04.php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