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C21은 2년 여 동안 북미를 거점으로 유럽-남미를 연결하는 유통 네트워크 확장에 나서고 있다. 현재 스페인, 포르투갈에서 현지 협업 및 메인 스트림 유통 진출 논의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지난달엔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열린 현지 최대 K-Pop 커뮤니티이자 이벤트인 'FNAC K-pop League 시즌 2: FEEL YOUR K-POP' 행사에 ALC21과 NordHive가 메인 스폰서로 참여했다. 인큐베이팅 중인 한국 제품들을 현지에 소개하고 바이어까지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 지사 설립을 통해 ▲ ALC21이 인큐베이팅하는 제품 다수 소개 ▲ 파트너사와 협업을 통해 스페인 현지 기업과 초도 물량 확정 ▲ 박카스 젤리 스페인 Carrefour에 공식 소개 및 제안 등 스페인 유통망 확장을 진행 중이다. 포르투갈에선 ▲ 신뢰를 쌓아온 현지 파트너(20년 세포라+LVMH 출신 전문가)와 협업 구축 ▲ Conrad Hotel 공식 벤더로부터 제품 소싱 요청을 받고 3월 중 리스본에서 2차 미팅 등을 통해 유럽 및 남미 거점을 마련하고, 이들 시장에 프리미엄 뷰티 제품을 유통시킨다는 계획이다. 블루오션, 미래를 바꾸는 가장 값진 과정 이 과정에서 ALC2
영국 프랑스 스위스 이탈리아 폴란드 헝가리 터키 리투아니아…. 지난 6개월 동안 유럽을 다섯 차례 방문하며, 최소 두 번 이상 방문한 곳입니다. 2009년부터 북미에서 한국 기업의 인큐베이팅을 해온 제가 이렇듯 짧은 시간에 유럽을 뻔질나게 드나든 까닭은 6개월 전 프랑스 파리전시회에서 '중소 뷰티 브랜드의 도약 가능성’을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당시 현장에서 2년여 인큐베이팅을 진행한 전남 해남의 중소기업 브랜드가 수많은 테스트 오더를 확보하면서, 보수적인 유럽 시장에서 파문을 일으켰던 것입니다. 그리고 그 여파는 여전한 긍정 반응과 수출 성과로 이어지며, 또 다른 기회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유럽시장의 보수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접근 유럽 시장은 문화와 소비자성향이 매우 보수적이며,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는 속도가 상당히 느립니다. 그 결과, 국내에서 유행이 지난 지 2-3년 된 성분들이 유럽에서 뒤늦게 주목받는 일이 흔합니다. 그런데 이 보수적인 시장도 북미 영향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더군요. 실제 다수의 현지인들은 북미에서 준비한 콘텐츠에 먼저 관심을 보이고, 친숙하게 받아들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한류나 K-뷰티와 같은 독창적인 트렌드가 유럽 소비
작년 말 막바지에 현지 기업 컨설팅 의뢰를 받았다. 스토어 매출 컨설팅과 필요하다면 마케팅도 동시에 진행해 달라는 제안이었다. 막상 스토어 현황을 리뷰하고 느꼈던 건 마케팅도 문제지만 애초 대부분 고객이 여성인데 이에 맞춰 판매할만한 제품이 제대로 선정이 되어 있지 않았다. 이 기회에 ‘알맞은’ 제품을 소개하면 어떨까 생각이 들었고, 마침 오래 공들여왔던 한국 화장품과 연결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매대 공간을 많이 확보해 대략 20개 브랜드 이상 약 50개 SKU 입점이 가능하게 되었다. 말 그대로 기본만 갖춘 브랜드라면 쉽게 제안할 수 있는 절호의 찬스였다. 근데 제품을 넣으려 하니 어려운 상황을 마주하게 됐다. 기초화장품이라면 인증이 아니더라도 제품 또는 브랜드 등록 절차를 받아뒀어야 했다. 대행 가능할 정도의 기본이라도 갖췄으면 좋았을 텐데 뒤늦게 진행하기도 쉽지 않았다. 제품 등록과 라벨은 필수 작업이다. 또한 캐나다의 경우 영어뿐만이 아닌 불어 표기가 필수인데 불어는커녕 영문 표기도 엉터리인 브랜드가 대부분이었다. 미리 준비해두라고 그렇게 강조했지만 실제로 준비한 기업은 없었다. 또 뒤늦게라도 덤벼들려는 간절한 고객도 없었다. 그나마 미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