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마비앤에이치가 산자부 주관의 ‘월드클래스’ 기업으로 선정됐다. 이번 선정으로 콜마비앤에이치는 4년 동안 약 40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월드클래스 기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의지와 혁신역량을 보유한 중견기업을 선정해,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신시장 개척 등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콜마비앤에이치는 향후 '스마트팜 고기능 표준화 재배기술을 활용한 화장품과 건강기능식품 소재 및 글로벌 제품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충북 제천에 자체 운영 중인 스마트팜을 통해 천연물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차별화된 건기식 및 화장품 소재 개발에 나선다. 현재 콜마비앤에이치는 매출액의 2% 수준을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자체개발한 개별인정형 원료인 미숙여주주정추출분말을 미국 FDA로부터 신규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승인 받았다. 콜마비앤에이치 관계자는 "이번 월드클래스 플러스 사업 선정은 건기식 소재 개발 기술력과 잠재력을 갖춘 것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4년간 과제를 완수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넓혀 나가며 신사업 확장에도 속도를 내겠다"라고 말했다.
화장품용기·패키징 업체인 삼화가 사모투자펀드운용사인 TPG(텍사스퍼시픽그룹)에 3천억원대에 인수(M&A)된다. TPG는 금명간 삼화 오너일가와 100% 지분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한다고 매체들이 보도했다. 여기에는 계열사들도 포함된다. 삼화는 경쟁사인 연우, 펌텍코리아와 화장품용기 3강 체제를 구축 중이다. 연우는 한국콜마에 인수됐고, 펌텍코리아는 2세 승계 중이다. 삼화는 국내뿐 아니라 로레알, 에스티로더 등 해외 브랜드 매출 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화를 인수한 TPG는 이미 로댄앤필즈(Rodan&Fields), 아나스타샤 베버리힐즈(Anastasia Beverly Hills), 이엘에프 코스메틱(E.L.F cosmetics)의 주요 주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삼화 인수 이유도 이들 브랜드사와의 연계를 염두에 두고 적극 인수에 나선 것으로 보도됐다. 이로써 화장품산업의 가치사슬(연구개발-제조생산-유통-마케팅) 가운데 제조생산(용기 및 부자재)의 Top 3가 변화를 겪게 됐다. 그 이유는 중국 특수가 시들면서 중저가 브랜드의 경쟁력 상실에 따른 매출 정체다. 또 ESG 경영에 따른 친환경 용기 개발이다. 화장품용기에 사용되는
한국콜마는 지난 3일~8일까지 싱가포르에서 열린 ‘25th 세계피부과학회(World Congress of Dermatology·WCD)에서 ‘두피 마이크로바이옴과 안드로겐성 탈모’와 ‘특정 탈모 균주에 대한 억제 소재’를 주제로 구두 발표했다고 밝혔다. 탈모 두피에서 확인되는 마이크로바이옴 유해균을 억제하는 원료 2종이 소개됐다. 레몬그라스 등 천연 오일을 최적 비율로 배합한 원료로 공배양 평가 시스템을 통해 유익균은 유지하고 유해균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공배양 평가시스템은 두피 일부분을 포집해 그 안에 있는 유익·유해균을 배양하는 시험관(in-vitro) 시험법이다. 작년 9월 ‘2022 세계화장품학회(IFSCC)’에서 소개한 ‘두피 마이크로바이옴과 안드로겐성 탈모’ 후속 연구가 포함됐다. 한국콜마는 향후 탈모 샴푸 등 기존과 차별화된 탈모 개선 제품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능력을 국제학술대회에서 인정 받아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신뢰도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통해 탈모 조절이 가능한 소재 개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밖에 한국콜마는 ‘한국인 여성 피부 표현형 기반 유전자 마커 발굴’이라는 주제의
한국콜마가 화장품 원료사와 윈윈(win-win) 실천 체험형 세미나를 개최했다. 지난달 30일 한국콜마종합기술원에서 열린 세미나 참석 원료사는 창협물산, 다미화학, 선진뷰티사이언스, 세일, CRM테크, 바이오엔텍, YCAM, 인터케어, KCC 등이다. 이날 모임에서 화장품에 대한 최신 트렌드 정보를 공유하고 원료사와 개발 방향 등을 논의했다고 한다. 원료사들은 기술원 회의실에 부스를 설치하고 한국콜마 연구원들이 원료를 직접 보고 만지며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더불어 지난 3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2023 인코스메틱스 글로벌’에서 화제가 된 신원료와 신제형들이 소개됐다. 특히 실버 어워드(SILVER Award)를 수상한 Artisoflex Eco-T(유화제 없이 유화가능한 바이오 폴리머)와 메이크업바(MakeUp Bar) 부문 수상 원료인 silsencse bio 5(천연 피부 연화제) 등이 연구원들의 이목을 집중 시켰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참여형이라는 점에서 연구원들과 원료기업들의 호평을 이끌었다”며 “시장 트렌드에서 뒤쳐지지 않고 서로가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행
한국콜마가 144년 전통의 프랑스 원료기업인 가테포세(GATTEFOSSE)와 손잡고 항노화 화장품개발에 나선다. 한국콜마종합기술원에서 가테포세와 ‘화장품 신(新)원료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문병석 한국콜마홀딩스 기술연구원장과 제롬 델라노이(Jerome Delannoy) 가테포세 그룹장(GATTEFOSSE Group Director International Development) 등이 참석했다. 앞으로 양사는 화장품 원료인 천연유화제와 항노화 화장품을 개발한다. 가테포세는 독자 기술을 적용한 식물성 천연유화제를 개발해 한국콜마에 독점 공급한다. 한국콜마는 이 원료를 활용해 고함량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면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항노화 화장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가테포세는 천연유화제를 포함해 화장품과 제약에사 용되는 특수원료개발 전문기업이다. 1880년 프랑스 리옹에서 설립된 이후 미국, 인도,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 연구소를 갖추고 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소비자 니즈에 맞춘 고함량 항노화 화장품을 개발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나
“자사 줄기세포 기술을 활용한 화장품을 출시해 보고 싶어요. 기술력 있는 제조사를 찾고 있습니다.” “고함량 비타민 세럼을 수출할 생각인데 누액이나 갈변 없이 담을 용기를 찾고 있어요.” “전화로 MOQ를 물어보면 맞춰주기 힘들다는 답변을 받을 때가 있어요. 세션에선 바로 질문하고 답변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아요.” 이는 책임판매업체인 브랜드사의 니즈다. 지난 18일 열린 코스브릿지 주최 ‘K-뷰티 메이커스 정기발표회’ 5월 세션에선 △ 엔코스 △ 닥터케이헬스케어 △ 경민산업 등이 고객 니즈에 대해 답변을 내놓았다. 엔코스는 마스크팩 OEM/ODM 연구개발 기업으로 스킨케어, 손팩, 발팩, 의약외품 등을 개발하는 제조사다. 이날 세미나에서 미스틱 에센스, 미스트 토너 외 기초 구성을 선보였다. 젤 제형의 미스트는 분사가 잘 되고 쿨링 유지력이 높다는 특징을, 토너는 수분 캡슐형이라는 설명이다. 닥터케이헬스케어는 맞춤형화장품의 구독형 피부관리 프로그램 ‘스킨핏’을 소개했다. 강형진 대표는 “고객 피부 분석 렌즈를 스마트폰에 부착할 수 있도록 직접 개발해 특허 출원했으며, 피부 측정 데이터를 모바일과 웹의 반응형 플랫폼을 통해 분석하고, 처방된 화장품을 고객에게
한국콜마홀딩스와 한국콜마가 창립 33주년을 맞아 ESG윤리경영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한국콜마홀딩스는 지난 12일 서초구 내곡동 소재 한국콜마종합기술원에서 열린 창립 33주년 기념 행사에서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인 CP(Compliance Program) 준수 및 윤리경영 의지를 다지는 ‘제1회 자율준수의 날’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종합기술원 우보천리룸과 대강당에서 나뉘어 진행됐다. 자율준수관리자로 임명된 한국콜마홀딩스 김종철 지속가능경영사무국장과 한국콜마 김영호 윤리경영그룹장이 새롭게 제정된 윤리규범 준수 서약을 각각 선포했다. 이 서약에 따라 모든 임직원들은 규범준수 의무사항과 사내 규정을 준수하고 부정부패 행위를 하지 않기로 다짐했다. 자율준수의 날 개최를 앞둔 지난 2일부터는 전 사업장 임직원을 대상으로 윤리경영 서약서에 서명하는 활동을 펼쳤다. 윤리의식을 향상시키고 CP문화를 촉진해 임직원들의 ESG경영 내재화를 이룬다는 목표다. 또한 창립기념일인 5월 15일을 ‘자율준수의 날’로 지정하고 매년 행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한국콜마는 지난해 11월에는 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 37001 및 규범준수경영시스템 ISO 37301을 화
한국콜마는 비(非)목재 종이로 만든 스틱형 화장품 용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종이튜브(Paper tube)에 이어 약 3년만에 이뤄낸 친환경 패키지 연구개발 성과다. 종이스틱(Paper Stick)은 립밤, 멀티밤, 선스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용기를 종이로 대체한 친환경 화장품 용기다. 제품을 고정하는 뒷마개를 제외하면 전부 종이로 구성됐다. 뒷마개도 종이성분을 51% 포함시킨 HDC현대EP의 친환경 제품을 사용해 플라스틱 사용량을 최대한 줄였다. 이를 통해 기존 스틱형 용기 대비 플라스틱 사용량을 86% 가량 감소시켰다고 설명했다. 몸체는 비(非)목재 종이 미네랄 페이퍼(Stone Paper)를 활용했다. 미네랄 페이퍼는 채석장이나 광산에서 버려지는 자투리 돌로 만든다. 폐기 시 빛에 의해 자연분해 되어 원래의 형태인 돌가루로 돌아가는 친환경 소재다. 내구성과 내수성이 높아 쉽게 찢어지지 않고 방수·방습에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 종이 1톤을 미네랄 페이퍼로 대체하면 나무 20그루, 물 2만8천리터를 절약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소재다. 종이스틱은 누구나 사용에 익숙한 종이말이 색연필 사용 방식을 적용했다. 어린 시절 갖고 놀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