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가 21일 베트남 중부 최대 도시 다낭에 무역관을 신설했다. 이에 따라 기존 하노이(북부), 호치민(남부) 무역관과 함께 신남방정책의 핵심국가인 베트남 전역에 수출기업 지원 인프라를 갖추게 됐다고 밝혔다. 다낭은 관광지로만 알려져 있으나 베트남, 라오스, 태국, 미안마 등 인도차이나반도 4개국을 관통하는 동서경제회랑(EWEC)과 베트남 남북을 가로지르는 1번 국도가 교차하는 교통과 물류의 거점이자 베트남 중부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다. 또한 베트남 정부가 지난해 8월 승인한 ‘스마트시티 추진계획’에 시범도시로 지정됐고, 하이테크 및 IT 산업단지와 베트남 3대 과학기술대인 다낭 과기대가 소재하는 등 IT분야 배후도 탄탄해 관련분야 협력 확대도 점쳐진다. 코트라에 따르면 다낭의 소득수준은 높은 편(다낭 1인당 소득(GRDP) USD 3,379 〉 베트남 1인당 GDP 2,343)으로 고급 소비시장으로의 성장 잠재력이 풍부하다. 또 한류 열풍이 높아 화장품 등 소비재 진출 확대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권평오 KOTRA 사장은 “베트남은 우리나라 3대 교역국*으로서 이제 없어서는 안 될 협력 파트너”라며, “다낭무역관 개설을 계기로
중소기업이 2018년 화장품 수출액의 75%를 담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화장품 수출액은 62.8억달러이며, 이중 중소기업이 48억달러를 수출했다. 이는 우리나라 총 수출액 중 대기업이 81.1%, 중소기업이 18.9%를 각각 차지한 것에 비해 화장품의 경우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수출 증진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 수출 상위 10대 품목을 보면 수출 비중이 평균 32.1%인데 비해 화장품만 75%에 달한 점도 특징적이다. 전년도에 비해 수출 증가율이 크게 늘어난 품목을 보면 반도체 호황의 반도체제조용장비(34.0%), 평판DP제조용장비(68.0%) 외에 유망소비재 중 화장품만 27.7% 증가했다. 중소기업 수출 상위 20대 품목 중 화장품은 수출액 기준 3위였다. 1위는 플라스틱제품의 55억달러, 2위는 자동차부품 48.7억달러였다. 화장품 수출 규모는 ‘10년 대비 11.7배, 전년 대비 1.3배 확대되며 2위 품목인 자동차부품과의 격차가 크게 축소됐다. 이를 보더라도 2010년 이후 화장품이 수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음을 알 수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의 화장품 수출액은 48억달러로 전년 대비 27.7% 증가했다”며 “
정부 관계자들이 정책설명회나 각종 세미나에서 하는 단골 멘트가 “그동안 한국화장품산업은 기업들이 이룬 성과였지, 국가에서 해준 건 별로 없다”였다. 이를 정부 입장에서 해석하면 “추가적인 정부 지원 없이도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풀이다. 보건복지부 스스로 ‘착시현상’이라고 지적했지만 현실은 여전히 그대로 될 공산이 커졌다. 지난 11일 보건복지부는 작년 11월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해체 후 처음으로 ’신코스메틱 R&D사업단‘ 발족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한 회의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예산배정을 받지 못함에 따라 당분간 ‘R&D’ 관련 사업은 중단됐으며, 글로벌 Top3를 목표로 복지부가 제안한 ‘화장품산업종합발전계획’의 차질도 불가피해졌다. 보건복지부의 ‘화장품산업종합발전계획’의 4대 목표 중 R&D는 ①피부과학 응용연구를 통한 화장품선도기술 확보 ②화장품 공통기반기술(제형·평가기술·원료·소재) 개발로 품질 고도화 ③4차 산업혁명 미래형 선도기술 개발을 통한 신시장 개척의 3대 추진전략 하에 8대 실천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R&D가 유망소비재로써 화장품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담
세계 2위 경제대국 중국이 어떤 경제정책을 내놓느냐에 따라 세계 경제 판도가 달라진다. 그 경제정책을 결정하는 회의가 매년 12월에 열리는 중앙경제공작회의다. 중국 최고 의사결정권자가 모두 참석, 한 해의 경제운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지난 12월 19~21일 열린 이번 회의에는 시진핑 주석을 비롯한 당·정 최고 지도층, 성·시·자치구 대표, 국가기관 및 중앙직속 국유기업 주요 책임자가 참석했다. 한 해의 경제성과를 평가하고 다음해의 경제운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업계가 주목할 이슈가 있다. 먼저 2018년 경제성과 평가에서 이례적으로 ‘성과가 부진하다’ ‘경제운영 변화에 우려가 있다’고 언급해, 부진한 경제성적을 인정하고 고민을 드러냈다. 내년도 경제정책 기조는 온중구진(稳中求进, 안정 속 성장)과 시장신뢰 강화로 정해졌다. 2019년은 건국 70주년이자 전면적인 샤오캉사회 건설의 중요한 한 해로 ‘안정’을 최우선으로 정한 게 특징. 미중 무역전쟁 등의 복잡한 외부환경과 경제하강 압력 문제에 대비해 ‘경제 운용을 합리적 구간에서 유지해야 한다(稳中有变)’고 제시했다. 이를 위한 7대 과제, ①제조업의 질적 발전 ②강대한 내수 구축 ③향촌진흥전략 추진
1분기 소매 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가 ‘92’로 작년 4분기 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3분기 연속 하락세다. 이에 따라 편의점, 슈퍼마켓 등 소매유통업계가 1분기 유통시장을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다만 무점포업태인 인터넷쇼핑, 홈쇼핑 등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소매유통업체 10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9년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 분석 결과다. 업태별 지수를 보면 홈쇼핑(110), 온라인쇼핑(103)으로 경기 호전을 기대하는 업체가 많았다. 반면 백화점(94), 대형마트(94), 슈퍼마켓(80), 편의점(71) 등 오프라인 업태들은 부정적 전망이 많았다. 백화점은 지난 분기보다 지수가 11포인트 하락해 기준치 100을 밑돌았다. 강추위였던 작년보다 모피와 패딩 등 고가 의류 판매 부진 탓이다. 화장품과 명품 소비로 매출을 끌어올리는 VIP고객의 소비액도 다소 줄어들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는 94(전분기 대비 5p↑)를 기록했다. 1분기에 ‘명절 특수’가 끼어있는 점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지수는 여전히 기준(100) 이하를 기록했다. 편의점 전망지수는 71(전분기 대비 17p↓)로 나타났다. 최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