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수출국 2위 자리를 놓고 일본과 미국이 각축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화장품협회가 관세청 자료를 분석한 1~4월 누적 수출액은 31억 2167만달러(+33.5%)로 순항 중이다. 1위는 중국 16.5억달러(+46.4%)로 총 수출액의 52.7%를 차지한다. 중화권(중국+홍콩) 수출액은 18.7억달러로 전체 점유율은 60%에 달한다. 대 중국 수출 비중이 높다 보니 지역 다변화가 과제로 부각됐다. 그런 측면에서 홍콩 비중이 축소되는 대신 일본과 미국의 점유율 증가 추세는 긍정적이다. 작년도 수출 순위는 2위 홍콩 7.15억달러(-22.9%) 3위 미국 6.41억달러(+20.8%) 4위 일본 6.40억달러(+58.8%) 순이었다. 그런데 2021년 들어 사상 처음으로 일본이 2위로 점프했다. 1~4월 누적 수출액은 일본 2.64억달러(+33.8%) 미국 2.57억달러(+47.7%)였다. 특히 일본의 수출 증가세가 돋보인다. 최근 3년간 전체 수출액 중 일본 점유율은 4.8%(‘18)→6.1%(’19)→8.4%(‘20)으로 큰 폭 증가했다. 반면 미국은 8.6%(‘18)→8.1%(’19)→8.5%(‘20)로 총 수출액 증가만큼 꾸준한 증가세임을 알 수 있
기후, 환경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 경영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한국콜마 등이 잇달아 윤리경영, 친환경 행보를 선언하고 관련 요인(factor)을 점검, 해결책을 내놓는 것도 ESG 대응이 지속가능한 경영이자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ESG경영 열풍이 부는 이유는 △팬데믹 기간 높아진 환경 인식 △트럼프 反환경정책에 맞선 유럽의 주도 △바이든 행정부 출범 △블랙락 등 선두금융회사들의 ESG 정책 드라이브 등에 따라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ESG 경영을 위해서는 외부에선 요구하는 수백까지의 요인(factor)을 점검해야 하는 현실적 어려움이 상당하다. 이와 관련 국제금융센터는 ESG 경영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 포인트로 7가지를 제시했다. 먼저 투자자(Capital)들은 자본조달 시 ESG 기준을 강화하고 나섬에 따라 기업들도 이에 맞춰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2020년 글로벌 자산운용사가 ESG 기준으로 운용하는 자산은 45조달러로 절반 규모다. 그런데 2030년에는 9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어서, 투자 시 ESG 기준 적용
1분기 화장품 오프라인 소매판매에 온기가 전해지고 있다. 아직 화장품 경기는 바닥을 다지는 모습이지만 전반적인 소비 회복세에 기대어 2분기에 막차를 탈 수 있을지 기대된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온·오프라인의 모든 채널에서 매출 급락세를 보였던 외출 관련 품목인 화장품은 계절 요인과 백신 접종 기대감 등 영향으로 2월 들어 플러스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의 오프라인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20%(1월)→14.3%(3월)로 플러스 전환했다. 다만 같은 외출 관련 품목인 ▲의복 –17%(1월)→47.8%(3월) ▲신발·가방 –27.8%(1월)→36.8%(3월)에 비해선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아쉬움을 남겼다. 이로써 1분기 화장품 오프라인 판매액은 –3.2%로 집계돼 여전히 부진을 벗어나지 못했다. 아울러 1분기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도 –3.8%을 기록, 상승 반전에 실패했다. 다만 3월 플러스 전환이 기대감을 준다. [ -3.8%(1월) → -13.8%(2월) → 7%(3월)] 이번 조사는 통계청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은행의 소매유통 통계수치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보고서는 “미국은 대규모 경기부양에 따른 재난지원금 추가 지
5월 25~28일 고양 킨텍스에서 포장·물류전시회인 KOREA PACK special(국제포장기자재전 스페셜)과 제약·화장품 개발·R&D(ICPI WEEK)가 개최된다. 이에 앞서 출품 기업 및 제품을 미리 만나볼 수 있는 온라인 전시관(http://online.pack-icpi.com)이 17일 오픈한다. 이번 전시회는 ㈜경연전람과 산업통상자원부, 코트라, 한국전시산업진흥회 공동으로 진행되며, ‘화장품, 포장, 물류, 제약’ 분야 국내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을 지원하게 된다. 온라인 전시관은 600개사의 제품과 관련 동영상, 이미지, e-브로슈어 등으로 구성된다. 코로나19로 입국이 어려운 해외 바이어를 위해 실질적인 내용과 매치메이킹에 중점을 두었다는 게 ㈜경연전람의 설명이다. 온라인 전시관 참여 기업과 해외 바이어는 25일부터 킨텍스 현장에서 1차 화상수출상담회를 진행하며, 전시 종료 후 5월 31~6월 18일까지 2차 화상수출상담회를 전개하는 등 판로 개척을 지원할 예정이다. 온라인 전시관은 크게 ▲VIRTUAL BOOTH (참가업체 및 제품․기술 소개) ▲BUSINESS MEETING (참가업체-바이어 간 상담매칭 진행) ▲CONFERENCE
씨앤씨인터내셔널(대표 배은철)의 기업공개(IPO) 공모주 일반 청약에서 평균 898대 1을 기록했다. 7일 주간사인 NH투자증권에 따르면 6~7일간 진행한 씨앤씨인터내셔널(C&C International)의 평균 청약률은 NH투자증권 909.27대 1, 삼성증권 872.85대 1, 대신증권 870.73대 1 등을 기록, 평균 청약률은 898.03대 1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주 81조원이 몰린 SKIET의 평균 경쟁률 288.7대 1을 추월한다. 청약증거금은 가장 많은 모집 수량을 배정받은 NH투자증권에 6조 7118억원, 삼성증권 1조 3806억원, 대신증권 1조 3772억원 등 총 9조 4697억원이 몰렸다. 앞서 지난달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 예측에서 1289곳의 기관투자가가 참여해 102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었다. 이때 공모가는 희망범위 상단인 4만7500원으로 결정됐다. 청약 배정은 일반 공모 청약 물량의 절반 정도를 청약자에게 똑같이 배분하는 균등 배분 방식이 적용된다. 업계는 배정된 주식과 청약 건수에 따라 청약자들이 증권사별로 1~3주를 배정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씨앤씨인터내셔널은 1997년 설립된 포인트 메이크업 1위 화장품 ODM 전
코스맥스가 중국 퍼펙트다이어리(Perfect Diary·完美日記) 모회사 이센(YATSEN·逸仙電商)과의 합작 공장 설립 소식에 업계 전체가 거센 비판을 내놓았다. 현지 한 기업인은 “중국은 애국소비(궈차오·国潮)가 한창인데 코스맥스는 K-뷰티 입장에서 애국× or 역×인지 고르라고 한다면 단연코 후자”라고 일갈했다. 이미 수많은 연구원이 중국 기업에서 일하고, 기술 유출로 카피캣(copycat)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기존 공장(차이나, 광저우)이 있음에도 신공장을 짓는 의도를 헤아리기 어렵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전언. 게다가 현지에선 “코스맥스가 이센에 기술 전수를 약속하고 읍소하는 등 비굴한 협상 끝에 내키지 않은 이센이 겨우 합의한 모양새”라며 “그렇게 해서 공장을 세운다고 이센이 고마워할 이유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얘기도 나돌고 있다. 실제 중국 브랜드사라면 “아이디어와 소비자가 중요하지 공장을 운영할 이유도 그럴만한 노하우도 없다”는 게 현지 ODM 관계자의 말이다. 다른 기업인도 “로레알이 되려는 야망을 가진 이센이라면 자체 공장을 지으려고 하지, 합작 공장을 지을 이유가 없다”라고 고개를 저었다. 한 대기업 브랜드사는 “국내 유수 브랜드사에 제품을
화장품 수출이 11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했다. 산업통상부가 발표한 ‘4월 수출입동향’을 보면 화장품은 8억 8100만달러(+57.1%)를 기록하며 지난달(8.67억달러)에 이어 2개월 연속 월간 최고액 신기록을 경신했다. 또 20대 수출 주요품목 중 16위로 지난달보다 한 단계 상승, 수출 효자품목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했다. 월간 수출액 기준 화장품이 16위로 오른 것은 사상 최초다. 이에 대해 산통부는 ①한류 문화의 인기와 더불어 K-뷰티 제품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가운데, ②메이크업・기초화장품 등 품목을 중심으로 ③중국・아세안 등 지역으로의 수출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품목별로는 △메이크업·기초화장품 5.7억달러(+61%) △두발용 제품 0.3억달러(+21.6%) △세안용품(+5.9%) 등으로 호조다. 국가별로는 ▲중국 3.7억달러(+62%) ▲아세안 0.6억달러(+60.5%) ▲일본 0.5억달러(+1.9%) ▲미국 0.5억달러(+14.7%) 순으로 성장했다. 중국은 소비 회복이 두드러지고 경기가 살아나면서 화장품의 경우 인터넷 판매가 40.7%(1~2월)→42.5%(3월)로 증가폭이 확대됐다.(중국 국가통계국) 이에 따라 LG생활건강 ‘후’, 아모레퍼시
아모레퍼시픽이 실적 턴어라운드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28일 발표된 아모레퍼시픽그룹의 1분기 실적은 매출 1조 3875억원(+8.5%) 영업이익 1977억원(+191.1%)으로 오랜만에 웃었다. 물론 기저효과라는 점도 있지만 럭셔리 브랜드 호조와 온라인 매출 증가라는 정상 궤도 진입의 긍정 신호라는 평가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코로나19 펜데믹 상황 속에서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온라인 채널이 고성장 기조를 이어가고 중국에서 성장세 회복으로 매출이 상승했다. 설화수 등 럭셔리 브랜드 판매 호조로 영업익이 크게 개선됐다. 데일리뷰티 등을 제외한 그룹 전체의 화장품 분야 매출은 1조 2954억원으로 집계 됐다”고 밝혔다. 아모레퍼시픽은 매출 1조 2528억원(+10.8%) 영업이익 1762억원(+189.2%)으로 전사 실적을 견인했다. 국내 사업 +6.9%, 해외 사업 +19.6% 동반 매출 상승했다. 성장 요인으로는 ▲국내 온라인 매출 30% 증가 ▲면세 채널 성장 ▲채널 믹스 개선으로 럭셔리 중심 포트폴리오 재편 등으로 영업이익이 큰 폭 증가했다. 중국시장은 3·8 부녀절에서 설화수 고성장 등 온라인 매출이 30% 중반대로 실적을 끌어올렸다. 태국, 베트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