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화장품기업 규모·업종 상관없이 매출 급감에 ‘미래도 불투명’

1분기 상장 중소기업 매출 ‘19년 대비 21.5% 감소...업종 불문 총체적 불황으로 구조조정 내몰려

엔데믹 상황에서도 화장품산업이 매출 급감과 누적된 적자로 고사 위기다. 코로나로 고전하던 타 소비재·서비스 업종은 반등하고 있음에도 유독 화장품업종만은 바닥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22년 1분기 상장 화장품 중소기업(매출 1천억원 미만)의 실적이 곤두박질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매출이 감소했던 화장품은 1분기 들어 신제품 출시 효과로 매출액이 증가세로 전환됐으나 비용 부담이 가중되며 대부분의 업체가 적자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매출액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21.5% 줄어들며 3년 연속 마이너스였다. 이 때문에 1분기 23개 기업 중 80%(18개사)가 적자였다. 

연구소는 ▲중국인 관광객 감소와 코로나로 인한 외출 자제 ▲외국인의 국내소비(K-뷰티) 급감 등으로 실적이 부진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올리패스(줄기세포)는 바이오 신제품 개발비 부담 △코스나인(OEM)은 에탄올 등 원·부재료 비용 증가로 적자 지속 상태다. 올리패스는 3년 넘게 적자 상태이며, 코스나인은 영업이익률이 –40.6%(’21.1분기)에서 –121%로 급락했다. 

엔데믹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경기관련 소비재 중 호텔·레저 업황은 해외 여행자수 증가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화장품은 브랜드사의 타깃 시장 변화 전략 추진으로 실적 개선 속도는 더딜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화장품 업종이 중국 브랜드(C-뷰티) 점유율이 가파르게 확대되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는 대신 미국과 동남아, 중동 등 신규시장 개척에 주력하고 있으나 아직 매출은 미미한 수준이다. 

한편 1분기 주요 화장품기업 실적은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대·중소 규모와 상관없이 총체적으로 매출 감소로 고전 중이다. 브랜드사의 매출이 줄며 OEM/ODM은 물론 원료 부자재까지 파급되면서 대부분의 기업이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대형마트를 비롯 할인점 등 오프라인 매장이 대거 줄어들며 일단 매장에 깔아야 팔리는 기본 유통마저 사라졌다. 로드숍은 ‘21년 2188개로 ’16년에 비해 60%나 줄었다. 로드숍 7개사 모두 적자로 몸살을 앓고 있다. 온라인 매출도 소비재 중 유일하게 감소(‘21년 –1.8%)하는데다 면세점 판매도 31%나 줄었다.(5조원(20년)→3.5조원(21년) 브랜드사들이 맥을 못추고 휘청거리는 이유다. 

수출도 1분기 중국에서 30.7%나 급감하며 전체 수출액(1~4월 누적)도 –17%를 기록했다.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및 러·우 전쟁 여파 등으로 수출 전망도 불투명하다. 

중국 수요에 기대던 OEM/ODM도 매출 하락에 영업이익이 대폭 줄었다. 빅2를 제외한 중소 OEM/ODM의 실적은 바닥을 확인하지 못하고 3년째 추락 중이다. 대부분 적자에 허덕이는 데다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에서 제기하는 ‘세계 화장품 위탁생산기지’라는 말이 번지르르할 뿐 허울임이 여지없이 드러났다. ‘K-뷰티 신화’는 하청이 아닌 K-브랜드의 글로벌 경쟁력에 있음을 깨닫게 한다. 

한때 세계 최강을 자랑하던 마스크팩의 몰락은 뼈아프다. 한국 기업 간 가격전쟁과 유통질서 훼손으로 모두가 폭망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중국시장에서 한국 마스크팩은 취급하지 않는다는 유통상의 이야기가 민망하다. 

기획재정부는 17일 '최근 경제동향'에서 대외여건 악화 등으로 높은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투자 부진 및 수출회복세 약화 등 경기둔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전방위적인 물가 상승세와 고유가·고금리의 3고 시대에 인플레이션 우려까지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고 있는 현실에 화장품 업황의 미래도 불투명해졌다. 1분기 실적의 붉은 잉크 투성이가 색맹처럼 느껴질까 겁이 덜컥 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