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

피부기반기술개발사업단, 中 NMPA 신원료 등록 지원

㈜한농화성의 PEG-2 Phenyl Ether 등록, 국내 기업으론 세 번째

국내 신원료로는 세 번째로 ㈜한농화성의 PEG-2 Phenyl Ether (제품명: HK-PHDG)이 NMPA 신원료로 2024년 12월 20일 공지됐다. 

피부기반기술개발사업단에 따르면 해당 원료는 용매 기능을 가진 유형 2 저위험군 원료로 ㈜한농화성은 PEG-2 Phenyl Ether의 용매 역할을 기술적으로 입증하며, 안전성 및 효능 데이터 자료와 등록 요건을 확보했다고 한다.



이번 신원료 등록은 보건복지부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사업’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황재성 단장은 “중국 시장 진출의 큰 걸림돌로 여겨지던 신원료 등록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주요 성과”라고 평가하며 “국내 기업들이 개발한 혁신적인 화장품 소재가 안전성 자료 요구 등 수출 대상국 규제 문제로 인해 사용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 규제대응 평가기술 지원을 통해 K-뷰티 수출에 기여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데이터 GAP 분석, 시험 자료 생산, 안전성 평가 및 서류 작성 등 이번 등록과정을 전반적으로 담당한 리이치24시코리아 관계자도 “중국 신원료 등록 규제 경험이 축적되고,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더 많은 국내 기업이 중국 시장에 재도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21년 5월 1일부터 운영된 중국 화장품 신원료 제도 운영 이후 중저위험군 원료는 현재 약 200여개가 등록되었고, 고위험군으로는 미백원료 Thiamidol이 유일하게 승인됐다. 국내 기업이 등록한 원료는 단 2건이었으며, 그나마 이 중 1건은 자진 철회했다.

중국은 자국 화장품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현지 기업이 화장품 신원료를 등록할 경우, 지방자치단체에서 50만~200만 위안 규모의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2024년 신원료 등록 건수는 전년 대비 약 49% 증가하며, 해마다 증가 추세다. 신원료 전체 등록 건수는 224건이며 이 중 경외 기업의 등록 건수는 43건으로 집계이다. 한국 국내 기업이 진행한 등록 건수는 2건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