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디바이스

전체기사 보기

화장품 시총 1위에 AP·LG 아닌 APR... 2분기 매출 111%↑, ‘25년 1조클럽 예약

시총 2천억 이상 21개 기업... AP 매출 반등, LG생건 9분기째 매출 감소로 화장품 적자

에이피알이 화장품업종 시가총액 1위에 올라 화제다. 기존 빅2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을 눌렀다는 의미도 있지만 ‘투자자들이 에이피알의 미래 성장성과 안정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투자자들이 시가총액이 큰 기업을 선호하는 이유도 안정성과 유동성이 높기 때문이다. 시가총액은 현재 주가×총 발생주식 수로 계산된다. 2분기 실적 발표가 이어지는 가운데 에이피알은 놀랄만한 실적을 기록하며 단숨에 시가총액 1위에 올랐다. 지난 6일 에이피알은 2분기 매출 3277억원, 영업이익 54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이 전년 대비 111%, 영업이익 202% 증가라는 초유의 호실적이다. 영업이익률도 25.8%를 기록 성장성도 돋보였다. 이로써 상반기 실적은 매출 5938억원, 영업이익 1391억원으로 집계됐다. ‘25년 매출 1조원 시대 개막은 ’따놓은 당상‘으로 여겨진다. 에이피알의 포트폴리오는 ▲ 화장품 및 뷰티 ▲ 뷰티 디바이스로 구분된다. 화장품 및 뷰티의 2분기 매출은 2270억원으로 작년에 비해 세 배나 증가했다. 대표 브랜드 메디큐브는 8월 1주차 Qoo10 순위에 3개 품목(1, 2, 10위)을 올렸다. 같은 기간 아마존

메이크온, 뷰티 디바이스 ‘스킨 라이트 테라피 3S’ 출시

CES 2025 빛낸 ‘AI 피부 분석 및 케어 솔루션’ 탑재 전용 어플 선보여

AI 뷰티 디바이스 전문 브랜드 메이크온(MakeON)이 홈 케어 디바이스 ‘스킨 라이트 테라피 3S’를 출시한다. 3초만에 피부 상태를 분석하고 개인 맞춤형 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다. 아모레퍼시픽의 80년 뷰티 노하우와 최신 기술을 접목해 전작보다 업그레이드된 ‘하이퍼 스킨 시너지 기술’로 스킨케어 제품의 흡수 촉진과 피부 탄력 강화에 도움을 준다. 스라테 3S의 기능은 부스팅, 더블토닝, 릴랙싱업, 컨투어링 총 4가지 모드로 구성되어 있다. 속 수분량 개선, 모공 3D 입체 축소, 자극 복원력 향상 등 30여 개의 인체 적용 시험을 통해 피부 개선 효과 및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한다. 하루 3분 사용만으로 간편하게 피부 관리를 할 수 있게 최적의 홈 케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메이크온은 스라테 3S와 연동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makeON’도 함께 선보인다. makeON은 CES 2025에서 화제를 모은 아모레퍼시픽의 독자 개발 기술 ‘AI 피부 분석 및 케어 솔루션’이다. 스라테3S를 통해 측정된 피부 분석 데이터와 결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 점수와 뷰티 디바이스 사용 패턴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주

퍼펙트, AI 에스테틱 시뮬레이터 출시

뷰티 시술 예상 결과를 시각화... 6가지 얼굴 부위에 대한 27가지 뷰티 시술 시뮬레이션

증강 현실(AR) 및 인공 지능(AI) 뷰티 패션 테크를 선도하는 퍼펙트(Perfect Corp., NYSE: PERF)가 ‘스킨케어프로 에스테틱 시뮬레이터’를 출시했다. 피부과 전문의 및 의료 미용 전문가를 위해 설계된 해당 솔루션은 AI 이미지 분석과 AI 딥 러닝 모델의 통합으로 6가지 얼굴 부위에 대한 27가지 뷰티 시술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시각화한다. 스킨케어프로 에스테틱 시뮬레이터는 비수술적 뷰티 시술을 적용하기 전에 예상 결과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미용 전문가와 고객 간의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보다 개인화되고 효율적인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 오늘날 소비자는 투명성과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을 요구한다. 최근 PwC의 "소비자의 소리" 설문조사는 이러한 추세를 강조하며, 전 세계 소비자의 77%가 브랜드 신뢰 구축에 있어 명확한 의사소통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퍼펙트의 스킨케어프로 에스테틱 시뮬레이터는 이러한 중요한 요구 사항에 부합하는 솔루션이 된다. 에스테틱 시뮬레이터는 고유한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과 고급 AI 딥 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해석한다. 정교한 컴퓨터 그래픽 엔진을 활용하여 잠

1~4월 누적 가정용 미용기기 수출액 45%↑... 미국이 절반 차지

관세청, K-뷰티 인기 확산과 홈케어 수요 증가로 역대 최대 실적 기록 중

올해 1~4월 누적 가정용 미용기기 수출액이 6700만달러(+145%)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0일 관세청에 따르면 전동 피부마사지기, LED마스크, 두피관리기 등 소형 전기제품 위주의 미용기기들이 수촐 호조를 보이고 있다는 것. 미용기기는 ‘23년 최초 수출 1억달러(1억1500만달러)를 넘어서며 급성장 중인데 그 추세가 ’24년에도 이어지고 있다. 관세청은 올해 연말까지 2억달러 이상으로 최대 수출 달성은 물론 최대 무역수지 흑자 등 괄목할만한 수출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렇게 수출이 호조를 보이는 이유는 ▲ K-뷰티 인기 확산 ▲ 홈 미용 관리 수요 증가로 우수한 기능과 품질의 한국산 미용기기 인기 등이라고 관세청은 분석했다. 국가별 수출액 기준 미국(수출 비중 46.5%) 일본(16%) 홍콩(13.4%) 순이며 91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미국 수출액이 3100만달러로 최대 수출국으로 급부상했다. 미국에서는 한국문화가 흥행에 성공하며 K-뷰티 제품 수요가 늘고 있으며, 가정용 미용기기 대미 수출은 지난 4년 내 10배 증가했다고 관세청은 밝혔다. 이어 일본, 홍콩, 싱가포르 등도 동기간 최대 실적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어 순항 중

NMPA 인증전문 매리스그룹, “원활한 소통으로 중국 및 글로벌 진출 지원”

KIMES 2024 개막... 뷰티 디바이스의 ‘의료기기 분류’에 맞춤형 인허가 컨설팅 솔루션 제공

3월 14~1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39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KIMES 2024)’에 매리스그룹코리아(대표 이용준)가 참가해 중국 NMPA 컨설팅을 지원했다. 키메스 2024에는 국내외 기업 1350여 곳, 전시·소개하는 관련 의료기기 등 3만 5천여 점이 참가했다. 이 가운데 중국 진출을 위한 현시 임상평가여부(임상시험 또는 동등성 비교) 자문 및 임상시험대행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는 매리스그룹코리아가 독보적이다. 이번 전시회는 전시품 카테고리에 따라 A홀(1층)은 ‘치료 및 의료정보관’, B홀(1층)과 E홀(3층), 로비(1,3층)은 ‘헬스케어 및 재활기기관’, C홀(3층)은 ‘검사, 진단기기 및 의료정보 시스템관’, D홀(3층)은 ‘진단 및 병원설비관’으로 구분, 진행됐다. 화장품업계로선 미용기기인 뷰티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크다. 이미 중국 진출 기업 및 신규 준비 중인 기업들이 중국 NMPA 의료기기인허가컨설팅기관 자격을 갖춘 매리스그룹코리아(Marisgroup Korea)를 찾아 문의가 몰렸다. 이용준 대표는 “매리스그룹의 특징은 오로지 중국인증에만 집중하는 점이다. 현재 의뢰 고객수가 800여 곳을 초과, 1500여 개 인증서를 획득하도

닥터리진 S1,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 및 시스템’으로 특허청장상 수상

앱과 디바이스에서 피부 진단 → 32개 레시피 중 최적의 솔루션 제안 → 1:1 맞춤형 컨설팅 등 일체화된 스마트 피부개선 프로세스로 ‘혁신성’ 인정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닥터리진 S1'의 ㈜퀸덤(대표 김현수 CSO)이 특허청장상을 받으며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지난 11월 1~4일 코엑스C홀에서 열린 ‘2023 대한민국 지식산업대전/발명특허대전’ 시상식에서 ㈜퀸덤은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 및 시스템’(특허등록번호 10-2496757)으로 수상했다고 밝혔다. ‘닥터리진 S1’은 ㈜퀸덤이 론칭한 신개념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 및 시스템이다. 앱(app)으로 피부측정 및 진단 AI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문제점을 실시간으로 진단한다. 그 결과는 앱과 뷰티 디바이스의 데이터 정보 호환(IoT)을 통해 동시에 사용자에게 즉각, 시각적으로 제시한다. 별도로 뷰티 디바이스에서도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통해 피부 측정 및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앱 또는 디바이스의 진단 결과는 닥터리진이 독자적으로 보유한 32개의 레시피 중 현재의 피부 개선에 최적화된 개인 맞춤형 솔루션을 4가지 제안한다. 선택된 4주 피부 개선 프로그램을 거친 후 다시 앱의 피부진단 AI프로그램을 통해 재진단에 따라 다시 새로운 피부 개선 프로그램을 제안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앱 또는 디바이스를 통해 수시로 피부 개선 정도를




포토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