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목록 사전보고 △장기간의 기능성화장품 효능·효과 심사기간 △단일·이중 기능성화장품 주성분 시험법 상이 등 화장품 업계의 애로사항이 개선될 전망이다. 정부는 15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개최하고 ‘신산업 현장애로 규제혁신 추진성과 및 향후 계획’을 확정했다. 지난 1월 22일 대통령 주재 ‘규제혁신 토론회’에서 89건의 신산업 현장애로 개선과제를 확정한 데 이어 이번 회의에서는 추가 발굴한 개선과제 82건을 발표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추진하는 신산업 현장애로 규제혁신 방안 신규과제는 13개다. 이중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은 총 4개 과제가 규제혁신 대상에 포함됐다. 먼저 유통·판매 후에도 화장품 원료목록 보고가 허용된다. 당초 식약처는 내년 3월부터 사후 보고됐던 화장품 원료목록을 판매·유통 전 수시 보고하는 ‘사전 보고제’로 전환을 준비 중이었다. 반면 업계는 ‘사전 보고제’의 기업 전담 인력 충원 부담 및 영업기밀 유출 여파를 우려했다. 이에 식약처는 2019년 3월까지 보고시스템을 개선하고, 보고된 정보가 상업적인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도록 명문화 규정을 2019년 9월까지 마련한다. 물론 원료목록의 사후보고도 계속 허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가 14일·16일 양일간 ’식의약 허위·과대광고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온라인상 화장품·식품·의약품 허위 및 과대광고와 불법유통을 예방하기 위해 식약처가 온라인 유통·판매업체를 대상으로 개최하는 교육이다. 이번 교육은 ‘식·의약 온라인 판매, 건전하고 안전하게!’를 주제로 오픈마켓·인터넷쇼핑몰·홈쇼핑 등 온라인 판매업체에서 상품기획·유통 업무를 담당하는 2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서울식약청 1층 강당에서 화장품과 의료기기는 16~17시, 식품은 15~16시에 교육이 진행된다. 주요 내용은 △허위·과대광고 및 불법유통 관련 규정과 법령 △주요 위반 사례 △소비자의 불만·피해사례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등을 교육한다. 화장품·의약외품·의료기기 분야는 기능성화장품 광고 허용 범위, 일반 공산품을 의약외품이나 의료기기로 오인 광고하여 적발된 주요사례 중심으로 교육한다. 또 식품 분야는 일반식품을 다이어트, 혈액순환 개선, 당뇨병 치료 등 의약품으로 오인 광고해 적발된 주요사례를 소개한다. 이어 2019년 4월 시행되는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의 주요내용, 광고실증 및 자율심의 등 새로운 제도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작년 5월 기능성화장품의 범위 확대 후 첫 생산실적이 발표됐다. 식약처는 5일 기능성화장품의 생산실적은 4조 8558억 원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을 통해 드러난 특징은 ▲꾸준한 성장세 ▲복합기능성 제품 확대 ▲기존 3종+7종 추가로 범위 확대 등이다. 먼저 기능성화장품의 꾸준한 성장세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17.9%였다. 2조 5,638억원(‘13년) → 2조 9,744억원(‘14년) → 3조 8,559억원(‘15년) → 4조 4,439억원(’16년) → 4조 8,558억원(’17년) 등의 추이를 보이고 있다. 전체 화장품 생산실적 중 36%가 기능성화장품에 해당된다.(2017년) 기능성화장품의 범위가 3종→10종으로 확대되면서 향후 기능성화장품은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둘째, 2종류 이상의 복합 기능성화장품의 뚜렷한 확대다. 2017년의 생산실적은 2조 3565억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 미백·주름·자외선차단 등 단일 기능성화장품은 다소 감소했으나 복합 기능성화장품은 확대 중임을 보여줬다. 최근 2종류 이상의 복합기능을 가진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것이라고 식약처는 밝혔다. 마
최근 미국에서 K-뷰티가 화제를 모으면서 많은 화장품 기업이 미국 시장을 타진하고 있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의 OTC 등록 여부를 두고 컨설팅 또는 인허가 대행 업체에서 유도하는 경우가 있어 관계자들의 정확한 내용 숙지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손성민 연구원이 “우리나라 기능성 화장품은 미국 FDA가 필수인가” 기고를 통해 “국내의 미백/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은 OTC 등록이 불필요하며 그냥 화장품으로 등록하면 된다”고 알려왔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손성민 주임연구원은 기획조사팀에서 해외시장 동향 조사 및 화장품 수출 활성화 지원, 글로벌코스메틱 포커스 편집 제작 업무를 맡고 있다. [편집자 주] 특정 제품명을 언급하기는 조심스럽지만, 이미 미국에 수출되고 있는 국내의 미백/주름개선 기능성 제품류들이 OTC로 등록되어 있음에도 아이러니하게 미백이나 주름개선으로 등록된 제품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미백/주름개선 항목 자체가 없어서 등록이 불가합니다. 예를 들어 Dimethicone의 경우 OTC 제품으로써 1-30%가 함유되면 등록이 가능한데(물론 이 또한 등록을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성분을 통해 OTC를 등록하
최근 미국에서 K-뷰티가 화제를 모으면서 많은 화장품 기업이 미국 시장을 타진하고 있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의 OTC 등록 여부를 두고 컨설팅 또는 인허가 대행 업체에서 유도하는 경우가 있어 관계자들의 정확한 내용 숙지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손성민 연구원이 “우리나라 기능성 화장품은 미국 FDA가 필수인가” 기고를 통해 “국내의 미백/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은 OTC 등록이 불필요하며 그냥 화장품으로 등록하면 된다”고 알려왔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손성민 주임연구원은 기획조사팀에서 해외시장 동향 조사 및 화장품 수출 활성화 지원, 글로벌코스메틱 포커스 편집 제작 업무를 맡고 있다. [편집자 주] □OTC 기준 품목은 6가지뿐 그렇다면 만약 기능성 제품을 화장품으로 등록을 하면 나중에 문제는 없는가? 기본적으로 화장품으로 제품이 등록되면 FDA에서 전수 모니터링을 하지는 않으므로, 소비자 claim이나 경쟁사의 신고 등이 없다는 가정하에 문제될 소지는 크게 없습니다. 무엇보다 의약품으로 오인할 만한 문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화장품으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현재 FDA에서 공식적으로 OTC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 품목은
중소기업벤처부의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에서 화장품산업은 바이오 분야에 속하며 △기능성 화장품 △아토피개선 화장품 △부착형 화장품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등이 기술개발테마로 선정돼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4차 산업혁명을 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디지털 기술이 바이오, 물리학 등에 접목돼 경계를 허무는 ‘융합 기술혁명’”이라고 말한다. 이 때문에 세계 경제는 바이오산업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 경제’로 재편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화장품도 바이오 기술+웰니스 트렌드에 따라 기술개발 테마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바이오산업 세계 시장규모는 2016년 약 4950억 달러였으며 연평균 9.3%씩 증가하여 2021년 약 7009억 달러로 전망된다. 이중 △기능성 화장품 1006억달러(’16)→1505억 달러(’21)로 연평균 9.5% △아토피개선 화장품 45억 달러(’16)→54억 달러(’21)로 3.8% △부착형 화장품 41억 달러(’16)→57억 달러(’21)로 6.8%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1263억 달러(’16)→1787억 달러(’21)로 7.6%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시장규모의 경우 △기능성 화장품 4조 9810억원(’16)→14조 9695억원(’
1월 31일 중소벤처기업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성장기반 확보를 위한 ‘중소기업 기술로드맵(2018~2020)’을 발표했다. 기술개발 대상 및 목표와 함께 28개 분야 236개의 기술개발테마를 제시했다. 향후 중소기업이 3개년 간 상용화 R&D로 조기에 제품을 출시하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화장품산업은 바이오 분야에 속하며 △기능성 화장품 △아토피개선 화장품 △부착형 화장품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등이 기술개발테마로 선정됐다. 기능성화장품은 개발 목표는 △캡슐화 개발에 따른 유효성분의 안전한 제형 개발 △천연유래물질이 가공 공정을 거치며 유효약물 효과가 3년간 유지되며 안전/안정성, 감염 억제 △기능성에 맞게 쉽고 간단하며 종합적 평가를 내리는 방법과 설비 개발 △천연유래 유효약물 한 가지로 이중 복합 기능성 부여 등이다. 핵심요소기술로는 △유효약물의 봉입법 기술 △천연유래 유효약물의 효과 기술 △안전 및 안정성 유지 기술 △디지털 이미지 분석 기술 △피부 흡수 스크리닝 기술 △복합 기능성 소재의 제형화 기술 등이 제안됐다. 아토피개선 화장품은 △아토피개선 천연소재 및 비 스테로이드성 소재 확보 △아토피 기전 및 평가기술 확보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