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25 1분기 수출경기전망(EBSI)... 화장품 등 생활용품 ’호조‘ 전망

수출상담·계약 호조... 원재료 가격 상승, 수출상대국 경기부진은 애로사항으로 꼽혀

‘25년 1분기 화장품을 포함한 생활용품 수출이 ’호조‘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의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에 따르면 생활용품(HS 30, 33, 94, 95류)은 137.9로 선박(146.4)에 이어 2위였다. EBSI 지수는 △ 매우호조(150이상) △ 호조(110~150미만) △ 보합(90~110미만) △ 부진(50~90미만) △ 매우부진(50미만)으로 구분한다. 



생활용품 EBSI는 123.5(‘24.3Q) → 114.6('24.4Q) → 137.9('25.1Q)로 반등한 모양새다. 수출상담·계약은 긍정적 흐름이 예상되나 수입규제·통상마찰(88.9) 부담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 원재료 가격 상승(14.6%)과 수출대상국의 경기부진(13.2%)이 주요 애로사항이라고 응답했다. 

한편 2025년 1/4분기 수출경기전망은 96.1로 소폭 둔화로 분석된다. 지난 3분기 연속 100을 상회하였으나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로 4분기만에 100 이하로 하락했다. 월별 수출증가율도 감소세다. [ ('24.6) 5.6 → (7) 13.9 → (8) 10.9 → (9) 7.1 → (10) 4.6 → (11) 1.4 ]

수출단가(106.2)는 전분기와 비슷하거나 소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나 수입규제·통상마찰, 수출상품 제조원가 등 여타 9개 항목은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 주요 15개 품목 중 선박, 자동차·자동차부품을 비롯한 5개 품목은 2025년 1분기 중 수출 여건이 개선될 전망이나, 가전과 반도체 등은 악화 예상된다. 

수출애로요인에 대해 원재료 가격상승(17.4%), 수출대상국 경기부진(15.2%) 등이 주요 애로요인으로 꼽혔다. 다만 조사가 12월 4일 이전 조사가 있어 환율 변동성 응답이 과소 측정되었을 수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수입규제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수출환경이 악화될 전망이다. 이는 미국의 보편관세 부과 및 대중 수출통제 등 각국의 자국 우선주의 심화 때문이다. 물류비는 하락(-4%p)해 완화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