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 회장 윤주택)는 2025년 주목할 시장으로 사우디아라비아를 꼽았다. IBITA는 “오늘날 사우디아라비아는 ‘관용이 없는 사회’에서 '관대한 이슬람'을 장려하고 있다. 모하메드 빈 살만(MbS)의 사우디는 전통적 부족국가에서 사회 계약을 다시 쓰는 중이다. 2025년 빈 살만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 중”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025년 4월 21~23일(3일간) 리야드 RICE에서 개최되는 ‘뷰티월드 사우디아라비아’ (Beautyworld Saudi Arabia)가 화장품시장의 변화를 극적으로 보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화장품을 둘러싼 환경이 우호적인 분위기인데다 한류로 인지도가 높고 우수한 품질의 K-뷰티 돌풍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실제 코트라에 따르면 “한류 콘텐츠 확산과 한-GCCFTA 최종 타결(23년 12월 28일)에 따른 화장품의 관세 철폐로 대 사우디아라비아 화장품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코트라는 화장품(HS 3304, 관세율 5%)을 유망 품목으로 선정하며 “K-드라마, K-POP 영향으로 한류 콘텐츠에 대한 노출이 확대되면서 K-뷰티에 대한 관심 또한 늘어나고 있어 우리 제
앞으로 매년 9월 7일을 ‘화장품의 날’로 선포하고 기념행사를 개최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내용을 담은 화장품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김원이 의원 대표발의로 입법 예고됐다. 이번 개정안에는 김원이·김형동·이건태·이정문·손명수·이주영·최수진·전진숙·문금주·김선민·백승아 의원 등 11명의 의원이 참여했다. 화장품의 날 제정 배경 이유로는 ① 2023년 기준 국내 화장품 총생산규모는 14조 5,100억원 수준으로 2014년부터 10년간 연평균 5% 성장, 국내 산업에서 화장품산업의 중요도가 상승 ② 같은 기간 동안 화장품 수출액은 1조 8,960억원 규모에서 11조 470억원 규모로 5.8배 이상 증가하여 글로벌 시장에서도 소위 K-뷰티로 주목받고 있는 점 등이 꼽혔다. 이러한 화장품산업의 발전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 위하여 ▲ 현행법 제정일인 9월 7일을 ‘화장품의 날’로 지정하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기념하는 행사 등을 개최할 수 있도록 하여 ▲ 화장품 안전과 품질 확보를 통한 국제 경쟁력 강화 및 국민의 화장품에 대한 관심 제고에 기여(안 제2조의3 신설) 등을 제안하고 있다. 개정안은 화장품법 제1장에 제2조의3을 신설하고 화장품의 날 행사, 교육 및
로레알코리아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하고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등이 주관하는 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COMEUP) 2024’의 OI 그라운드(Open Innovation Ground)에 참여해 2024년 로레알 빅뱅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우승팀 시상식을 12일 진행했다고 밝혔다. 로레알코리아는 중소벤처기업부 및 창업진흥원과 함께 지난 6월 국내 디지털 및 혁신기술을 보유한 유망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했다. 최종적으로 ▲ 골드입자를 이용한 PTT(PhotoThermal Therapy) 피부 관리 기술 등 다양한 특허를 보유한 바이오벤처 기업 ‘심플스틱’ ▲ 인공지능을 통해 모바일 기기만으로 수면의 질을 모니터링·분석하여 숙면을 돕는 솔루션을 보유한 수면 AI 기업 ‘에이슬립’ 등 2개사가 우승 기업으로 선정됐다. 선정 기업들은 로레알 그룹을 통해 멘토링·컨설팅과 마케팅·네트워킹 등을 지원받으며, 관련 팀과 협업의 기회도 얻게 된다. 또한 평가를 통해 차년도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에 참여해 사업화 자금(최대 2억원) 및 특화 프로그램도 지원받을 수 있다.
한국콜마는 나이가 들수록 여드름균이 감소하고, 전체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자의 다양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담긴 논문을 SCI급 국제 저널인 ‘마이크로오가니즘(Microorganisms)’ 10월호에 게재 (https://www.mdpi.com/2076-2607/12/11/2179) 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오가니즘은 미생물 연구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다. 이번 논문 게재는 정부의 ‘혁신성장 피부 건강 기반기술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경북대학교와 함께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이뤄졌다. 공동 연구진은 20~29세와 60~75세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여드름균과 피부 노화의 연관성을 찾아냈다. 20~29세 피부에선 여드름균이 83%가량 있었던 반면 60~75세 피부에는 61%로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여드름 질환이 없는 피험자 대상) 해당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콜마는 유익한 여드름균의 양을 늘려주는 성분(미생물의 먹이)을 담을 '전달체'와 이를 잘 스며들게 할 제형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콜마 연구진은 지난해 9월 세계화장품학회(IFSCC)에서 ‘피부 노화균을 조절하는 전달체 기술’을 발표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12월 13일 탄자니아 야생동물연구소(Tanzania Wildlife Research Institute)에서 생물표본실 개소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야생동물연구소(TWRI)는 탄자니아 생물다양성 연구와 보전을 위해 아루샤에 설립된 천연자원관광부 산하 정부기관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15년 탄자니아 야생생물연구소와 ‘아프리카의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었다. 이를 통해 양국 공동연구 진행을 통해 마사이족, 하드자베족 등 탄자니아 원주민이 활용해 온 약용식물과 포유류, 조류, 곤충 등 다양한 생물종의 표본을 확보했다. 또한 탄자니아 서부 7개 보호지역에 대한 조류도감 400권(Birds of Western Tanzania) 및 포스터 3종을 발간했다. 또한 탄자니아 유용생물 소재 85점에 대한 효능 분석도 진행했다. 특허출원 및 특허 3건은 ① 마에루아 에둘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특허 제10-2229943호) ② 알비지아 안텔민티카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특허 제10-2202220호) ③ 론코카르푸스 에리오칼릭스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중국 NMPA의 화장품 안전성 평가 보고서 제출 시한이 2025년 5월 1일로 다가왔다. 이에 따라 국내 화장품기업들은 안전성 평가 보고서 전체 버전을 준비해야 하며, 간소화버전은 4월말까지 제출해야 한다. 이에 대해 매리스그룹코리아는 "중국 진출 기업이라면 올해 내 NMPA 등록을 시작하는 게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김선화 차장은 “NMPA 인증을 진행한 기업의 경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케팅을 진행하기 위해 △ 미백 △ 자외선차단제 △ 염색·펌 △ 일반화장품 별로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시한이 강화될 NMPA 인증을 간소화로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실제 중국식품약품검정연구원(NIFDC)는 지난 6월 ‘화장품 안전성 평가 관리 최적화 조치’를 공고한 바 있다. 이는 화장품 완제품의 안전성 테스트 시험 항목은 ‘화장품 허가 및 등록 검사 업무 규범’을 따라야 한다는 뜻이며, 이에 맞추려면 제품별 독성시험항목이나 인체시험항목을 정해, 안전성 시험을 실시해 분석·평가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런 사정을 고려해 기업별 대응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세미나가 12월 19일 오후 2시 열린다. 세미나는 ▲ 새로운 규제에 따른 중국 내 화장
결국 글로벌 화장품 육성 인프라 예산이 7억원 삭감됐다. 보건복지부는 12월 10일 국회에서 2025년도 예산안이 통과됨에 따라 보건복지부의 총 지출 규모가 125조 4909억원으로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2024년 예산 대비 8조 4465억원(+7.2%) 증액된 규모다. 다만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정부안 대비 총 1655억원이 감액되었으며 이 가운데 글로벌 화장품 육성 인프라 구축 사업은 7억원이 감액됐다. 당초 보건복지부는 지난 8월 2025년도 예산안 중 ➊ K-뷰티 중소기업의 수출지원 확대 예산을 54% 증액한 108억원[ 70억원(’24) → 108억원(‘25)] ➋ 글로벌 화장품 육성 인프라 구축을 위한 예산을 9억원 증액했었다. ([147억원 (’24) → 156억원) 그런데 이 가운데 7억원이 삭감된 것이다. ‘글로벌 화장품 육성 인프라 구축’ 사업은 보건복지부의 예산 지원을 받아 ▲ 화장품 안전관리 지원체계 구축 ▲ 피부 유전체 분석 인프라 구축 ▲ K-뷰티 체험·홍보관 운영 ▲ 해외 수출 지원 ▲ 화장품 전문 교육 및 품질 검사 등을 진행한다. (관련기사 보건복지부, K-뷰티 화장품 수출지원 108억원으로 확대 ) 이번 국회 심의 과
한국콜마가 미국 주간지 타임(TIME)이 발표한 ‘2025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World’s Best Companies in Sustainable Growth 2025)’에 선정됐다. 타임지는 전 세계 7,000만 개 대상으로 한 평가에서 상위 500개 기업을 발표했으며, 한국콜마는 125위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는 유일하다. 종합 평가 점수는 주요 글로벌 기업 3,000개사 중 상위 15%에 포함됐다. 타임지가 선정하는 ‘세계 최고 지속가능 성장 기업’은 독일의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스태티스타(Statista)가 보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의 매출 성장, 재무 안전성, 환경 영향 등을 동일한 비율로 합산해(100점 만점 기준)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이번 조사는 150개국 170개 산업군에 속한 7,000만개 이상의 기업을 분석해 상위 500개 기업을 발표했으며, 이 중 한국 기업은 23개가 포함됐다. 한국콜마는 종합 점수 81.44점을 기록해 전세계 상위 15%인 125위, 국내 기업 중 6위에 해당하는 성과를 얻었다. 3개년 연평균 성장률(CAGR) 17%로 매출 성장 지표에서 상위 25%에 올랐고, 재무 안정성 평가지표도 상
원료주의 스킨케어 브랜드 스킨1004(스킨천사)는 ‘쇼피(Shopee)’가 진행한 ‘11.11 더블디짓데이’ 행사에서 인도네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3개국 K뷰티 랭킹 1위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쇼피는 달과 일자가 같은 날에 ‘더블디짓데이(Double-Digit Day)’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매월 가장 많은 트래픽이 몰리는 날로 유명하다. 스킨1004는 쇼피 싱가포르 11.11 더블디짓데이에서 스킨케어 카테고리 베스트셀러 전체 1위에 올랐으며 인도네시아, 필리핀에서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스킨천사는 동남아 3개국에서 11월 누적 매출 약 412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작년 연매출보다 350% 이상 대폭 성장한 실적이라고 한다. 이어 지난달 18일부터 7일간 인도네시아 틱톡샵의 ‘슈퍼 브랜드데이(Super Brand Day)’ 이벤트를 진행해 약 13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스킨1004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동남아 시장 내 브랜드 영향력 확대 및 입지 굳히기에 나설 방침이다. 스킨1004 곽인승 총괄은 “동남아에서 K뷰티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며 스킨천사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라며 “국가별 트렌드를 반영한
LG생활건강은 지난 10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2024 지속가능경영 유공’ 시상식에서 최고 영예인 대통령표창을 받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매년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환경(E)과 사회(S), 지배구조(G) 측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낸 기업과 기관을 선정하고 포상한다. LG생활건강은 플라스틱 사용량 저감을 위해 용기 경량화와 재생 원료 사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협력회사 ESG 시상(Awards)’ 행사를 개최하는 등 ESG 경영을 중소기업까지 확대하기 위한 상생 협력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여성과 청소년, 아동 등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빌려 쓰는 지구 스쿨, 내추럴 뷰티 라이브(Live) 크리에이터, 반짝반짝 페리오 뮤지컬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 등을 평가받았다. 최남수 LG생활건강 ESG대외협력부문 상무는 “ESG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ESG 정책과 전략, 중장기 목표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면서 “’모두가 함께 빌려 쓰는 지구’라는 비전 아래 ESG 경영을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년 화장품 수출액은 114억달러로 전망됐다. 10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25 보건산업 수출 전망치’ 발표에서 화장품은 ‘24년 대비 11.1% 증가로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예상했다. 그 이유로 “중국 외 지역에서 중소기업의 화장품 수출이 활성화되면서 수출국 다변화와 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별 수입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다만 원화 약세로 인한 화장품의 생산단가 상승과 중국산 저가 화장품의 해외시장 공세로 경쟁 심화가 우려된다고 봤다. 대륙권별로 △ 아시아/퍼시픽 66억달러(+8.6%) △ 북미 24억달러(+15.5%) △ 유럽 18억달러(+12.4%)로 예측했다. 북미 지역은 K-콘텐츠 경험 증가와 K-뷰티 인지도 및 구매 의사가 상승하는 추세로 아마존 프라임데이 등에서 한국산 제품이 1~3위를 차지하는 등 수요 확대로 증가를 예상했다. 다만 MoCRA 규제 정책 및 OTC 품목군 규제 가시화 등을 수출환경 변수로 봤다. 또한 아시아/퍼시픽은 한류 지속, 일본+동남아의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제품 수출 증가, 인도네시아에서 K-콘텐츠의 주류문화 부상 등으로 K-뷰티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품목별로 ▲ 기초 88억달러(+13.3
토탈 뷰티 앤 라이프 그룹 본에스티스의 한도숙 회장이 2024년 모범여성기업인 서울특별시장 표창을 수상했다. 한국여성경제인연합에서 주관하는 2024년 모범여성기업인 포상은 고용창출, 매출, 수출 및 기술 발전을 통한 국가경제 기여, 여성 친화적 기업문화 조성, 근로자 중심 경영, 사회공헌 등을 평가하여 모범이 되는 여성기업 대표자를 선정한다. 본에스티스의 한도숙 회장은 이와 같은 평가 기준에 부합해 그 공로가 인정되어 이번 표창의 영예를 안게 되었다. 사회공헌대상 통일부 장관 공로상, K-ESG 경영대상’ 사회 ESG 대상과 여성가족부 장관상 수상에 이은 쾌거다. 한도숙 회장은 “2024년 모범여성기업인 표창을 수상하게 되어 매우영광이다. 앞으로도 여성기업인, 여성근로자를 위한 기업으로서모범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브랜드 성장에도 더욱 힘을 쏟겠다”라며 수상 소감을 전했다. 현재 한 회장은 제품 생산과 원료 개발을 위한 ‘온톨로진 바이오’, 인체안전성 및 효능 효과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한국 바이오 임상 연구센터’(KBRC, KOREA BIORESEARCH CENTER)를 함께 운영하면서 지속적으로 혁신적인 제품과 성분 개발을 이어오고 있다.
‘24년 3분기 화장품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이 5.9%로 보건산업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제약 3.4% 의료서비스업 3.3% 의료기기산업 1.9% 순이었다. 다만 신규 일자리는 359개에 그쳤다. 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4년 3분기 보건산업 고용 동향에 따르면 보건산업 종사자 수는 총 10.8.1만명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화장품산업 사업장과 종사자 수는 3만9천명(+5.9%)이었다. 이는 ‘19년 2분기(+6.6%)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특히 청년층(29세 이하) 종사자 수가 3분기 이후 연속 증가했으며, 증가율 또한 점차 확대되면서 화장품산업 고용 증가를 견인했다. (화장품산업 청년층 종사자 수 증감률 : ’24년 1/4분기 +0.5% → ’24년 2/4분기 +1.7% → ’24년 3/4분기 +5.8%) 신규 일자리는 화장품산업 359개였다. 성별로는 화장품산업에서 여성 비중이 57.7%였다. 근속기간 ‘5년 미만’인 종사자 비중은 화장품산업이 60.4%였다. 젊은 층 여성이 유입되고 있다는 실증이다.
인구대국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화장품 시장 트렌드와 마케팅 사례 정보를 수록한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10호’(Global Cosmetics Focus)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에 의해 발간됐다. 이번 호에서는 ▲ 인도는 피부색 논란 ▲ 인도네시아는 중국산 저가 화장품 유입 경계령이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먼저 인도 화장품시장은 온라인 유통이 인도 뷰티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컨설팅 기업 레드시어(Redseer)에 따르면 “온라인 유통 채널은 현지 뷰티시장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부분이며, 2028년까지 규모가 연평균 25%쯤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이에 비해 오프라인 채널은 경쟁력을 갖춘 곳을 중심으로 14% 성장을 예측”했다. 이와 함께 밝은 피부색에 대한 선호도와 이와 상반된 사회적 인식이 강하게 대립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인도 소비자들은 오랫동안 백인의 피부처럼 밝고 하얀 피부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피부색에 따른 차별을 경계한 사회적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2020년부터는 피부 미백 제품 광고를 금지하는 법이 시행되었고, 인도 뷰티 산업에서는 피부색을 묘사할 때 사용하던 하
'코스모프로프 인도 2024'가 12월 5~7일 뭄바이 Jio World Convention Centre에서 개최됐다. 인도는 높은 인구증가율 및 경제성장률로 인해 확대되는 새로운 소비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24년 1~10월 화장품의 인도 수출액은 6300만달러로 성장 가능성도 크다. 이에 따라 K-뷰티도 온라인, 한류 레버리지를 통해 새로운 전략으로 진출해야 한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 회장 윤주택)는 KOTRA와 공동으로 32개사로 구성된 한국관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참가 기업들은 혁신적인 기술과 우수한 제품으로 인도 시장에서 마케팅을 활발하게 펼치고 정보를 교류하는 기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2024 인도 코스모프로프’는 21개국에서 9개 국가관 700여 개사가 참가했다. 개막일은 뷰티 및 화장품 산업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마인드, 트렌드 세터, 개발자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이벤트로 시작됐다. 단순한 쇼케이스가 아니라 글로벌 유명 브랜드 및 신진 스타트업의 뷰티 제품과 기술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경험할 수 있는 B2B전문 박람회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특히 인도 뷰티 시장에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