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 해외 전시 전문기업 코이코(대표 김성수)는 7월 25일~28일 대만 타이베이 남항전람관에서 개최되는 ‘2024 바이오 아시아 대만 박람회’에 한국관을 조성하여 국내 기업 14개사(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6개사 포함)와 함께 참가했다고 밝혔다. 1999년부터 시작된 이번 행사는 미국 바이오협회(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 BIO)와 대만 바이오산업기구(Taiwan BIO)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대만의 바이오 산업 및 의료 산업뿐만 아니라 헬스에 뷰티를 접목시킨 제품들이 선보였다. 전시장은 바이오 섹션(4층)과 뷰티 섹션(1층)으로 구분, 진행된다. 바이오 섹션에는 의약, 의료설비, 생물공학관을, 뷰티 섹션은 의학미용, 미용기기, 화장품 완제품, 원료, ODM/OEM/OBM, 패키징, 인증, 보건자재, 보건 식품관 등으로 구성됐다. 주최 측에 따르면 총 19개국 900여 개사가 참가, 2,200개 부스에서 전시가 진행된다. 전시회 개최는 7월 25일 예정이었지만 예상치 못한 태풍 개미의 대만 북상으로 전시회 전날 타이베이 시정부(시청)의 임시 공휴일 선포에 따라 전시일정이 7월 26일~29일로 변경됐다. 이로 인해 전시
한국콜마는 세계 최대 색조 원료사인 센시언트 뷰티(Sensient Beauty)와 25일 종합기술원에서 업무협약을 맺고 색조 화장품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문병석 콜마홀딩스 기술연구원장과 마리안 펠티어(Marianne Peltier) 센시언트 뷰티아시아 총괄 매니저는 ‘신규 색소 및 원료 개발’을 내용으로 한 MOU에 서명했다. 센시언트 뷰티는 약 140년 역사의 세계 최대 규모 색조 원료개발 기업이다. 전 세계 약 40개가 넘는 색조 연구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양사는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색조 화장품을 선제적으로 개발키로 했다. 센시언트 뷰티가 아직 시장에 선보이지 않은 신규 색소를 한국콜마에 제공하면, 한국콜마는 이를 활용해 시장 트렌드에 맞춘 제품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협약 제안은 센시언트 뷰티가 먼저 제안했다고 한다. 한국콜마는 인디브랜드들의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새롭고 다채로운 색에 대한 수요에 대응한다.
화장품 수출은 중소기업이 주도한다. ‘24년 상반기 수출의 69%를 중소기업이 해냈다. 이는 상대적으로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의미한다. 24일 ‘K-뷰티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방안’이 발표됐다. ‘중소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도와준다는 건 고맙다. 정작 기업들은 당국자의 편협한 시각을 곱지 않게 보고 있다. 7월 4째주는 해외에선 ‘북미 코스모프로프 라스베가스’, ‘코스모뷰티 베트남’ 등이, 국내에선 인코스메틱 코리아, 인터참코리아 등 전시회가 잇달아 개최되면서 업계가 분주한 시기였다. 이럴 때 느닷없이 식약처-중기부가 ‘K-뷰티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해 업계 관계자들을 어리둥절케 했다. 먼저,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엔 ▲ 거대 유통·플랫폼 올리브영, 아마존 ▲ 제조 독과점 코스맥스·콜마의 사업방침을 그대로 말만 바꾼 추진 방안이 나와 논란이다. 즉 ▲ ‘K-뷰티 크리에이터 챌린지(아마존, 코스맥스, 콜마 협업) ▲ K-슈퍼루키 위드 영(올리브영 협업) ▲ K-뷰티 스타트업 육성(올리브영, 아마존, 코스맥스, 콜마 협업) ▲ K-뷰티 펀드(콜마, 코스맥스)를 내세우면서 온통 대기업 기업명 일색
‘2024 코스모뷰티 베트남’(VIETBEAUTY & COSMOBEAUTE VIETNAM 2024) 미용전시회가 7월 25일~27일까지 호치민의 SECC 전시장(Saigon Exhibition&Convention Centre)에서 개막했다. 코이코(KOECO)는 전남대학교병원과 조선대학교를 비롯, 약 80개 뷰티 브랜드가 참가한 공동한국관을 구성, 베트남 로컬 바이어와의 미팅을 주선했다고 밝혔다. 전시회에는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중국, 일본, 미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스페인, UAE 등 35개국의 화장품 업계 관계자가 방문해, 현지 수요를 파악하는 등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한국 기업 가운데 ‘이지듀(EASYDEW)’로 참가한 대웅제약은 전시 주최사 INFORMA MARKETS와 협력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바이어 대상 제품 배포 및 한국 더마코스메틱 기술력을 선보였다. 또한 ▲ 스킨케어 브랜드(야다, 밸런스 몬스터, 아시아마스터트레이드 등) ▲ 코스메틱 브랜드(라비오뜨, HNG, STB 인터내셔널 등) ▲ 에스테틱 및 기능성 화장품(대웅제약, 넥서스파마, 일론 등) ▲ 헤어/네일(웰본, 클레, 브이벨 등) ▲ 패키징
LG생활건강의 회복탄력성은 여전히 의문부호를 남겼다. 25일 LG생활건강은 2분기 전사 매출 1조 7597억원, 영업이익 1585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2.7% 감소, 영업이익 0.4% 증가로, 에프앤가이드 시장 전망치에 대체로 부합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주력인 뷰티사업의 회복탄력성 부족은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음이 드러났다. 뷰티 매출은 7596억원(-2.7%) 영업이익 1358억원(+3.6%)이었다. 4분기째 하락하다 ‘24년 1분기 매출이 반짝 상승(+5.6%)했으나 다시 하강 곡선을 그렸다. 고질적인 중국 부진은 그렇다 치더라도, 이를 대체할 시장(일본, 미국 등)에선 이렇다 할 성장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시장의 반응은 차갑다. 이에 대해 LG생활건강은 ▲ 온라인 채널에서 ‘더후(THE WHOO)’ 브랜드 매출 증가, 중국시장 성장 지속 ▲ 업황 둔화와 높은 기저로 인해 면세 매출은 하락했지만, 국내 온라인과 헬스앤뷰티(H&B) 채널 매출은 높은 성장 ▲ 마케팅 투자 확대로 비용 부담이 커졌지만, 해외 구조조정 효과가 반영되면서 영업이익 성장 등을 이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 지난 4월 국내외 인플루언서 초청 더후 ‘비
아모레퍼시픽그룹이 아마존의 '아마존 프라임 데이(Amazon Prime Day)'에 참가해 뷰티 & 퍼스널 케어(Beauty & Personal Care) 부문 전체 1~3위(판매 수량 기준)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프라임 데이'는 아마존 유료 서비스 회원을 대상으로 열리는 연중 최대 할인 행사다. 올해 7월 16~17일 이틀간 진행됐다. 코스알엑스, 라네즈, 에스트라 등 아모레퍼시픽그룹의 글로벌 브랜드가 대표 제품을 구성해 행사에 참가했다. 코스알엑스의 '어드벤스드스네일 96 뮤신 파워 에센스(Advanced Snail 96 Mucin Power Essence)'가 랭킹 1위를 차지했고, 라네즈의 ‘립 글로이밤-베리향(Lip Glowy Balm-Berry)’과 ‘립 슬리핑 마스크-베리향(Lip Sleeping Mask-Berry)’이 2위와 3위로 랭크됐다. 이밖에 에스트라 '아토베리어365 크림(ATOBARRIER365 Cream)' 제품은 페이셜 크림 & 모이스처(Facial Cream&Moisturizers) 랭킹 2위를, '미쟝센 퍼펙트세럼(MiseEn Scene Perfect Serum)'은 헤어세럼(Hair Serum
올해 상반기 중소기업 화장품 수출액은 33.1억달러로 전년 대비 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체 화장품 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은 69%로 상승했다. [화장품 총수출 내 중소기업 비중(%) : (’23.1Q) 62.9 → (24.1Q) 67.4 (4.5%p↑)] 24일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수출동향’에 따르면 “중소기업 1위 수출품목인 화장품은 전년대비 30.8% 증가하며 상반기 최고 수출액(33억달러)을 경신하였다. 기존 주력시장이었던 미국, 중국과 더불어 신흥시장으로 수출국을 다변화한 것이 주요 증가요인”이라고 분석했다. 글로벌 K-뷰티 수요가 급증하며 중소기업 화장품 수출은 17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미국이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하면서 역대 상반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4.上) 33.1, (’23.上) 25.3, ‘21.上) 25.2] 대기업 수출은 23% 감소한 가운데 중소기업은 30.8%로 큰 폭 증가했다. 중견기업은 16.3% 증가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총수출 내 중소기업 비중은 (’23.上) 61.9 → (24.上) 68.7억달러로 6.8%p 상승했다. 국가별 수출액은 △ 미국 6.4억달러(+61.5%) △
식약처와 중기부는 공동으로 화장품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24일 CJ올리브영 본사에서 ‘K-뷰티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우리나라의 화장품 수출은 중소기업이 63%(‘23)를 차지한 데 이어, ’24년 상반기 69%로 증가하는 등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화장품 수출은 작년 역대 최고치인 53억달러를 기록하며 중소기업 수출품목 1위로 올라서는 등 중소기업의 인디브랜드 시대가 활짝 열리고 있다는 평가다. 이는 중소 브랜드사의 혁신을 견인하는 생태계 구축, 글로벌 플랫폼의 중소 우수제품 발굴 등에 힘입은 바 크다. 다만 글로벌 트렌드의 급속한 변화에 중소기업이 대응하기엔 부담도 있으며, 해외 수출 규제 강화에 따른 애로사항도 가중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민간 생태계에 힘을 더하여 화장품 수출 확대 기회를 많은 기업이 활용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3대 추진 과제로 ➊ K-뷰티 유망기업 민관 협업 발굴‧육성, ➋ 해외 수출규제 체계적 대응, ➌ K-뷰티 생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