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화장품 수출 활성화 지원 세미나’가 오는 4월 6일(금)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제1대회의실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는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과 대한화장품협회가 공동으로 주관한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기존 오프라인 시장 정보 중심으로 진행되던 세미나에서 벗어나 이커머스(e-commerce) 시장에 대한 정보를 새롭게 제공함으로써 최근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해외 온라인 유통 시장에 우리나라 기업들이 효과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돕고자 이번 세미나를 진행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세미나 첫 번째 주제는 ‘주요국 온라인 유통 채널 현황과 소비자’라는 주제로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손성민 주임연구원이 발표를 진행하고, 이어 ‘미국 시장 온라인 채널 사례(Ⅰ) : Amazon’으로 아마존 코리아(Amazon Korea)의 김민관 매니저, ‘싱가포르 및 일본 시장 온라인 채널 사례 : Qoo10’을 프로셀러 및 TN코리아 장진원 대표, ‘동남아시아 온라인 채널 사례 : LAZADA’를 LAZADA 그룹의 정순용 과장, ‘미국 시장 온라인 채널 사례(Ⅱ) : e-bay’를 프로셀러 및 리치웨이 최일식 대표가 각각 발표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현장 토론과 Q&am
제1회 화장품 수출 활성화 지원 세미나가 오는 4월 6일 서울 중소기업중앙회 제1대연회의실에서 열린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과 대한화장품협회 주관으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는 주요 화장품 수출국의 온라인 유통 채널에 대한 현황, 입점 사례, 입점 방법, 활용법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프로그램으로는 △주요국 온라인 유통 채널 현황과 소비자(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손성민 주임연구원) △미국 온라인 채널 사례(아마존 코리아 김민관 매니저) △싱가포르 온라인 채널 사례(Qoo10 프로셀러 장진원 대표) △동남아 온라인 채널 사례(LAZADA)△미국 온라인 채널 사례(e-bay 프로셀러 최일식 대표) 세미나는 화장품관계자 15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참석 신청은 올코스(http://www.allcos.biz/education_main.html)로 하면 된다. 참가비는 무료다.
11월 23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주최한 제7회 글로벌 화장품시장 동향 분석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는 300여 명이 참석, 포스트 차이나의 대안으로 떠오른 7개국의 현지 동향 보고를 들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김덕중 원장은 인사말에서 “최근 몇 년간 화장품 수출이 연간 30% 이상 성장 중이며 올해 사드 보복에도 불구하고 20%대 성장이 전망돼 K-뷰티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다만 중화권 비중이 70% 이상이어서 향후 지속 발전을 위해 포스트 차이나의 대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에서 수출 정보 공유 및 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고 말했다. 이번 세미나는 △유럽(러시아·프랑스·싱가포르) 시장 트렌드 전망(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손성민 연구원) △아시아(이란·홍콩·필리핀) 시장 트렌드 전망(㈜피앤아이 장다은 선임연구원) △미국 시장의 이해아 진출 전략(소코 글램 샬롯 조 대표) △해외 화장품시장 빅데이터 분석 모델(EC21 임성우 부장)의 발표가 있었다. 손성민 연구원은 “출장 조사를 통해 현지 정보 파악에 공을 들였다”며 “프랑스에서는 K-뷰티의 신제품 출시나 마케팅 등 액티브한 모습이 자국 브랜드와 차별화된 장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전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제7회 글로벌 화장품시장 동향 분석 세미나’를 개최한다. (일시: 11월 23일 12:50~17:30, 장소: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 이번 세미나의 주제는 ‘포스트 차이나 시장 개척과 K-뷰티의 기회’다. 주요 내용은 △유럽 및 아시아 6개국 시장트렌드 전망 △미국 시장의 화장품 유통과 진출 전략 △해외 화장품시장 빅데이터(Big Data) 분석모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 시장의 화장품 유통과 진출 전략’에서는 북미 시장 K-뷰티 전도자로 불리는 소코 글램(Soko Glam)의 샬롯 조(Chalotte Cho) 대표가 미국 내 화장품 유통채널, K-뷰티의 현지 반응과 위상의 변화, 우리 브랜드의 진출기회 및 위험요소 등 다양한 정보를 소개한다. 김덕중 원장은“포스트차이나 시장 개척을 위해 미국, 유럽, 동남아시아, 중동 등 여러 국가의 다양한 시장분석 정보를 업계에 제공함으로써 우리 기업들의 신시장 개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며 “특히 지난해보다 주요 거점시장의 트렌드 흐름을 다양한 조사방법을 통해 세분화하였으며, 현지 유통 전문가를 초빙하는 등 업계의 눈높이에 맞추려 노력했다”고 밝혔다. 참석 희망자는 올코스 홈페이지[(www
주요 국가의 화장품 색소의 관리 및 규정 등에 대한 정보습득을 위한 심포지엄이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주관으로 11월 7일 개최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화장품 선진 기업들의 화장품 색소에 대한 개발 사례 경험과 정보 교육이 이뤄진다. 이번 발표회에는 로레알의 Eric DUFOUR·암웨이 Deval patel·시세이도의 Shibata Kazuya 등이 각각 유럽·미국·일본의 화장품 색소 관리제도 및 개발사례가 발표된다. 이어서 화장품심사과의 ‘한국 염모제 및 화장품 색소 규제현황’ ‘질의 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참가를 원하는 경우 온라인(http://naver.me/FLotU7sq) 혹은 대한화장품협회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양식에 의거 작성해 이메일(2017symposium@daum.net)로 신청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