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월 16~20일 열리는 ‘2023 코스모프로프 볼로냐 미용박람회’에 기업들의 참여 열기가 뜨겁다. 이는 작년 박람회에서 유럽 등 주요 바이어들이 K-코스메틱 트렌드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면서 한국 기업들의 기대가 커졌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작년 400여 곳을 훌쩍 넘는 역대 최대 기업 참가가 예상된다. 마감이 됐어도 문의가 잇달고 있어 부스 확충을 논의 중이라는 소식도 들려온다. 이와 관련 CPNP인증 전문기업 와이제이앤파트너스(YJN Parners)도 박람회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 기간 동안 와이제이앤은 부스를 개설하고 유럽 내 바이어에게 배포하는 웹진 “K-Beauty Insight'를 홍보한다. ‘K-뷰티 인사이트’는 K-뷰티 트렌드 기사와 함께 유럽 진출 K-브랜드사의 신제품을 소개해 바이어들의 정보 소통 창구로 알려져 있다. 최근 발간한 23년도판에는 ‘Korean Skincare Brands' 'The Pros & Cons E-Commerce' 'Improve Customer Engagement' 'Meet Our Review Partners' 등의 특집과 주요 K-브랜드 동정이 게대되어 있다. 와이제이앤 이동기 차장은
미국과 중국의 화장품 규제 조치가 잇달아 발표돼 이에 대한 관심이 촉구된다. 업계에서는 중국의 화장품 법규가 정비되자 미국도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내놓은 게 아니냐는 반응이다. 특히 미·중은 세계 화장품 소비시장 1, 2위국으로 수출 주도형 K-뷰티에겐 또 다른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어 우려된다. 미국은 2022년 12월 29일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 : Modernization of Cosmetics Regulation Act of 2022)'이 포함된 '2023년 통합 세출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FDCA)의 Ⅵ장에 새로운 사항을 추가해 준수를 요구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안전성 입증 (Safety Substantiation) ▲중대한 유해사례 보고 (Serious Adverse Event Reporting) ▲시설 등록 및 제품 리스팅 (Facility Registration, Cosmetic Product Listing) ▲라벨링 표시기재 사항 추가 (착향제 알러젠, 전문가용) ▲기록 보관 (유해 사례) 등이다. 특히 ‘MoCRA’는 FD
‘10대를 사로잡은 15초의 펀(fun) 영상’ 플랫폼 틱톡이 동남아 전자상거래 진출에 K-뷰티를 초대한다. 링고글로벌(Lingo Global)은 1월 3일 틱톡코리아(TikTok Korea)와의 협약을 통해 동남아 5개국에 TSP(TikTok Shop Partners)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10일 ㈜링고글로벌은 기자간담회를 갖고 동남아 진출 시 틱톡숍의 유리한 점으로 ▲세상에서 가장 큰 플랫폼 ▲‘#틱톡보고삼’ 셀러 ▲동남아의 한류 붐 등을 꼽았다. 틱톡은 13억 MAU(월간 서비스 이용자 수)로 글로벌 1위 플랫폼. 다운로드 수는 35억명 이상(‘22. 4Q)이다. 18~39세의 MZ세대 유저가 81%를 차지하며 일 평균 사용시간 1위로 미국에선 유튜브를 뛰어넘었다. 틱톡숍은 콘텐츠와 커머스가 융합한 쇼퍼테인먼트(shoppertainmaent)로 몰입도 높은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하나의 놀이’로 영상을 시청하다 #TikTokMadeMeBuyIt #틱톡보고삼 의 해시태그를 누르는 누적 조회수가 105억 건을 넘어설 정도로 인기다. ㈜링고글로벌 민대식 상무는 “틱톡 생태계(숏폼 영상(short form video)-틱톡숍-라이브커
재깎재깍... 중국의 화장품 원료 정보 제출이 오는 4월 말까지로 초읽기에 들어갔다. 최근 중국 NMPA는 “2023년 1월 1일부터는 화장품 완제품 허가·등록 시 제품 처방 내 모든 원료에 대한 안전성 정보를 제출해야 한다”고 공지했다. 이는 신규 제품뿐 아니라 기등록 제품도 해당된다. 시한은 2023년 4월말까지로 처방에 사용된 모든 원료의 안전성 정보를 기입해야 한다. 개정에 맞춰 NMPA는 작년 12월 8일 중국 화장품 등록시스템 내 일반화장품 등록정보에 ‘원료 안전성 정보 자체 갱신’ 기능을 추가했다. 글로벌 화장품 및 화학물질 인허가 대행사인 리이치24시코리아(주) 정효진 팀장은 “해당 신규 기능은 이미 등록된 완제품의 원료 제조사 및 원료 품질사항이 변동되어 원료 코드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나 원료 코드 및 원료 안전성 정보를 추가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완제품 처방에 사용된 원료의 함량,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종류 등은 동일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완제품 처방 중 첨가물질(안정제, 항산화제, 방부제 등)의 종류 및 함량이 변경됐을 때는 별도로 변경 신고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중국 쪽 동향에 대해 리이
토니모리가 홍콩 매장 15, 16호점을 지난 연말에 잇달아 오픈했다. 이어 올해 2개점을 추가 오픈한다는 목표다. 이로써 토니모리는 홍콩 내에서 18개 매장을 보유하게 된다. 그동안 디지털 역량 강화와 글로벌 사업확장 전략에 따른 것으로 중국의 코로나 방역조치 해제에 따른 기대감도 크다. 15호점인 튠문점은 지역 중심부에 위치한 티엠티플라자에 입점했다. 인구 밀도가 높고 오피스와 대규모 신축 아파트 단지개발이 진행되는 등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12월 오픈한 16호점 정관오점은 MTR역과 연결된 대형 쇼핑몰 팝콘몰에 입점했다. 랜드마크이자 다른 로컬 쇼핑몰과 연결되는 상권이며 현지 인기 브랜드가 대거 몰려 있고 젊은층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다. 토니모리는 다양한 온라인 프로모션을 통해 소비자 접점 확대를 목표로 한다. 현지 고객 트렌드를 고려한 다양한 마케팅과 탄탄한 제품력을 바탕으로 K-뷰티 대표 브랜드의 위상을 견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토니모리 관계자는 “팬데믹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디지털 역량을 활용한 적극적인 소비자 소통, 현지 고객과 파트너 특성을 고려한 현지화 노력을 지속 실행해왔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홍콩점 오픈을 계기로 글로벌 브랜드로
인구가 늘고 있는 아세안 시장에서 화장품 수출 기회를 확대해야 하며, 특히 베트남·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가 유망하다고 코트라 현지 무역관이 제안했다. 아세안 5개국의 인구는 △인도네시아: 3억(2030년 전망), 생산인구(15~64세) 67.7% 도시인구 비중(‘22년 56.6%) 지속 증가 △필리핀: 1.1억(아세안 2위, 세계13위) 생산가능 인구 수 여성〉남성 △베트남 9800만: 도시화율 50%(’30) 달성, 이촌향도 현상과 도시 내 특정 부촌 형성 △태국 7천만: 인구성장 정체기 △말레이시아 3300만: 고령화 진행, ‘25년 1인당 GDP 1만5천달러 등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인구 트렌드로는 ①소득 수준 상승으로 중산층 인구가 전체의 67% 차지할 전망(’30) ②디지털 친화적 소비자 ③주식인 쌀 ④2.6억 무슬림 인구와 할랄 수요 ⑤의료·보건 산업의 성장 ⑥가치사슬 관점의 아세안 등을 꼽았다. 먼저 세계경제포럼 조사에 따르면 2030년 아세안 중산층 인구는 전체의 67%를 차지할 전망이다. 또한 아세안 총소비는 2030년 약 2배 성장(2020년 대비)이 예상된다. 또한 디지털에 익숙한 Z세대(‘97~’12 출생) 및 젊은 층이 모바일 서비스로
글로벌 하이퍼 플랫폼 기업인 ㈜링고글로벌은 틱톡코리아와 협업 계약을 맺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공동 마케팅 활동 △비즈니스 협업 △틱톡숍 개설·운영 등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링고글로벌은 틱톡 글로벌(TikTok Global)의 파트너사이자 국내 유일의 틱톡숍 운영사로 스토어 개설 및 운영, 마케팅을 통합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동남아 5개국 틱톡을 필두로 25개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브랜드 노출과 제품 유통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링고글로벌은 소개했다. 아울러 일본, 유럽, 미국, 호주 등의 한국 브랜드로 진출 솔루션을 제공하며, 해당 지역 플랫폼과 협업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링고글로벌 관계자는 “신흥 소셜플랫폼에 최적화된 유통 프로세스의 혁신과 최적의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플랫폼화 함으로써 최대의 트래픽 유발과 함께 유통단계의 마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향후 중국 화장품시장 전망에서 콰징(跨境, 해외역직구) 활용기업이 미활용 기업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가 중국 소비재 수출 중소기업 221개사(화장품 기업 비중 45.2%)의 설문 조사에서 84.6%가 향후 대중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콰징 활용기업과 미활용기업의 견해는 달랐다. 즉 ▲‘수출증가 이유’에 대해 ‘대 중국 수출업무 지속에 따른 노하우 축적’(활용 기업) vs '전반적인 중국 소비자의 구매력 증가‘(미활용기업)를 꼽았다. ▲’한류에 따른 한국제품에 대한 선호 증가‘에 대해서도 12.2%(활용기업) vs 24.2%(미활용기업)로 차이를 보였다. ▲’2,3선 도시의 구매력 증가‘에 대한 응답률에도 20.0%(활용기업) vs 16.4%(미활용기업) 이었다. 이는 콰징 활용기업의 경우 “한류 프리미엄을 향후 중국 소비시장 진출 확대에 긍정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으로 보지 않는 반면 대중 수출업무 지속에 따른 노하우 축적과 2,3선 도시의 구매력 증가를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한 데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 곧 한류 등 외부 요인에 기대기보다 내부 역량 강화와 유통채널 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 등에서 생각의 차이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