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중국 바이어, “K-뷰티 경쟁력은 디자인 및 품질”

품질 대비 비싼 가격, 브랜드 가치 낮은 점 등은 개선 필요

중국 바이어의 23.9%가 화장품을 2019년 이후에도 중국 소비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유망품목’이라고 응답했다. 중국 여성들의 화장품 소비가 크게 늘어나면서 가성비가 높고 안전하며 품질이 좋은 한국 화장품을 선호한다는 것. 또한 중국의 한 자녀 정책 폐지와 고령화로 인해 유아용품, 의료보건용품의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중국 바이어들은 한국 제품이 품질 및 브랜드 대비 높은 가격이라고 인식해, 일본·미국 등 경쟁국보다 브랜드 가치가 낮아 제품 생명력이 길지 않고 높은 가격 포지셔닝을 할 수 없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무역협회가 한국소비재를 수입 판매하는 중국 바이어 2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및 인터뷰 조사 결과다. 이들 바이어의 69%는 한국제품 구매기간이 5년 이내였으며, 1~3년이 전체의 4분의 1이었다. 한국제품 취급 비중은 10% 이내가 111개사, 11~30% 이하가 44개, 31~50%가 31개사, 81% 이상이 16개사였다.(무역협회, ‘중국 바이어가 본 한국 소비제품 경쟁력 및 대응방안’)



이들 바이어의 구매제품을 보면 화장품이 19.2%가 화장품을 취급했고 식품(18.4%)-미용용품(15.8%) 순이었다. 바이어가 가장 중시하는 구매 요인은 △품질 △거래기업과의 신뢰 △디자인 등이었다. 바이어 A기업(종합쇼핑몰) 구매담당은 “중국 소비자의 눈높이가 높아져서 품질이 가장 중요한 구매요소이며, 그 다음으로는 중국 시장의 수요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거래처와의 의사소통 및 신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 제품 정보의 습득 경로는 전시회/상담회 참가를 통해서 가장 많이 얻었다. 27.8%(전시회/상담회)-인터넷(20.1%)-지인/친구소개(18.7%)-거래처(11.7%) 순이었다. 중국바이어 B기업은 “공신력 있는 기관이 개최하는 전시회 및 상담회를 통해 바이어를 소개받고 다음으로 인터넷을 통해 한국에서 유행하거나 인기 있는 상품을 찾아 구매상담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중국 바이어들은 한국제품의 경쟁력을 디자인(18.7%)이라고 응답했다. 그 다름이 품질(17.4%), 거래기업의 신뢰도(16.5%), 브랜드(15.2%) 순이었다. 다만 가격경쟁력과 A/S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냈다. 향후 3년 후에도 한국 제품의 경쟁력은 디자인이며, 온라인 마케팅 능력이 새로운 경쟁력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C기업 구매 담당은 “한국 상품의 경쟁력은 아기자기한 디자인과 지리점 이점으로 인한 거래처의 빠른 피드백으로 시장 수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하지만 한국 제품이라는 이유로 중국 시장에서 통하는 시대는 끝났으며, 한류는 프리미엄을 얻을 만큼은 아니다. 중국 소비자가 가성비를 중시하는데, 한국 제품은 품질대비 다소 비싸다. 가격 메리트가 없으며 동종의 중국 상품대비 30% 이상 비싸면 중국시장에서 팔리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또 한국 제품은 중국보다는 경쟁력이 우위에 있지만 일본, 유럽, 미국 제품에 비해서는 낮다고 중국 바이어들은 인식했다.


D기업(쇼핑몰) 구매 담당자는 “한국 상품은 디자인, 브랜드, 품질 등에서 여전히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나 그 차이가 줄고 있다. 한국 상품은 디자인이 예쁘다는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나 포장 등 디테일 부분에서 일본에 비해 떨어진다. 유럽, 미국 제품은 프리미엄 브랜드 가치를 가지고 있는데, 한국=프리미엄이라는 소비자 인식이 없다. 한국 제품의 생명력이 길지 않은 것은 브랜드 가치가 낮기 때문이므로 프리미엄 상품으로서 브랜드 가치를 높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인터뷰 조사에 응한 바이어들은 전체적인 한국 상품의 수준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밝혔다. 내용에 따라 K-뷰티에 대한 생각도 이와 비슷한 인식이었다.


무역협회는 중국 소비시장 분석을 통해 ①소비계층의 다양화(신중산층, 1인가구, 실버세대 등) ②온라인+오프라인+물류+첨단기술(빅데이터, AI 등)을 결합한 미래형 신유통 방식인 신소매(소비자 편의성과 맞춤형 서비스, 체험) 등장으로 유통채널의 급격한 변화 ③바이어의 구매요인은 품질-신뢰-디자인-브랜드-가격-서비스(A/S) 순으로 나타남 ④한국 제품의 경쟁력은 디자인이며, 가격 경쟁력은 낮다고 인식 ⑤미국, EU 일본 제품 대비 낮은 브랜드 가치 ⑥전시회/상담회가 주요 정보 습득 경로 ⑦화장품, 미용용품, 유아용품 등이 유망 등 실태를 찾아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소비계층 세분화와 표적시장 선정을 통해 가격전략과 제품 포지셔닝 ▲온·오프라인 유통채널과의 협력을 통해 체험형 서비스 가치를 제공 ▲전시회/상담회 참여 확대 ▲디자인 고급화로 제품 경쟁력 및 브랜드 가치 제고 ▲온라인 마케팅 강화 ▲우호적 통상 환경 조성을 통해 인적 네트워킹 강화 등의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