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

국내산 감초, ‘미백 화장품 소재’로 가능성 확인

농업진흥청, 감초추출물의 열처리 결과 항산화 효과 70%↑,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20%↑

국내산 감초에 화장품 미백 성분인 폴리페놀 성분이 많고 열처리 할 경우 성분 함량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국내산 감초의 미백 성분을 높이는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내산 감초)에 많은 폴리페놀 성분인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은 감초의 대표적인 기능성분으로 항산화, 미백 등 다양한 기능성이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국내산 감초를 130℃에서 1시간 정도 열을 처리한(고온고압 추출) 결과 처리 전보다 감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6%, 그중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은 80%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또 열처리 전보다 항산화 효과는 70% 높아졌고, 갈색 색소인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도 20% 증진됐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작년 9월 국제학술지인 ‘분자생물학의 최근 이슈’(Current Issue in Molecular Biology)에 게재됐고, 관련 특허 출원을 마쳤다고 전했다.(출원명: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 미맥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10-2020-0178039)



실험에 사용된 ‘재래종’ 감초와 농촌진흥청 자체 개발한 감초 품종 ‘원감’의 열처리 추출물은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에 등재 완료됐다. 농진청은 이들 감초 소재를 다양한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특용작물이용과 김금숙 과장은 “앞으로도 특용작물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천연 화장품 산업에 기여하고 농가 소득에도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