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K-뷰티 혁신의 길] ① 혁신 생태계 구축으로 글로벌 1위 도전

‘화장품 제도 선진화 협의체’의 화장품 규제혁신 추진 발표...‘내부 경쟁이 아닌 글로벌 시장에서 혁신제품으로 도전’ 어젠다 제시...."중국 굿판을 거둬 치울 때"

한국 화장품산업이 양적 성장에서 벗어나 질적 혁신 생태계로의 탈바꿈을 예고했다. 패러다임 변화와 맞물려 사고의 전환이 요구된다. 대한화장품협회 이명규 부회장은 ”K-뷰티의 글로벌 수출 top3도 대단한 성과다. 하지만 현실은 생존을 얘기할만큼 어렵다. 모멘텀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어제(1월 30일) 대한화장품협회는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 6개월여 진통 끝에 ‘화장품제도 선진화 협의체’가 마련한 ‘화장품 규제 혁신 추진(안)’을 설명했다. 협의체는 제도·안전·제조+품질·자격+교육 등 4개 분과에 식약처(6명),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2명), 대한화장품협회(1명), 대한의약품수출입협회(1명), 기업관계자(12명) 등이 참여했다. 


이명규 부회장은 ”이번 안은 대기업이나 일부 기업의 애로사항을 모은 것이 아니다. 화장품산업 생태계를 혁신·창조로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대·중소기업의 미래 성장 동력 창출이 목적“이라며 ”식약처와도 협의를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며 화장품법 전면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향후 소비자와 언론, 국회를 설득함에 있어 업계의 전폭적인 지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업계가 주목한 ‘규제 혁신안’이 나온 배경은 전례 없는 K-뷰티 위기 때문이다.  

소 잃고도 외양간을 고치지 않으면 미래가 없다. 화장품산업은 지난 코로나 3년 동안 매출이 20조나 증발했다.(2019년 기준 매출 대비) 사드 보복, 코로나를 거치면서 중국 특수 거품이 빠지자 K-뷰티 수출은 13%나 감소했다.(’22) 중국 외 지역이 6% 증가했으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 부진으로 전체 수출은 마이너스 성장해 타격이 컸다. 

게다가 각국은 ‘한국 따라하기’로 K-뷰티 아성을 갉아먹고, 한글을 새겨 넣으며 지식재산권 침해로 수출기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K-뷰티만 있고 K-브랜드는 안보이는, 그래서 글로벌 소비자들이 정작 사고 싶은 브랜드명을 알지 못하는 맹점이 발목을 잡고 있다. ‘갈색병’, ‘염색샴푸’ ‘코직산’ 등 혁신제품을 내놓은 기업은 글로벌 100대 기업으로 우뚝 서거나, 4대 빅 뷰티기업에 M&A 되며 전세계 소비자의 사랑을 받고 있다. 과연 여기에 K-뷰티 어느 기업, 제품이 낄 수 있는가? 이는 업계 종사자들이 부끄러워하는 모습이다. 

이 부회장은 ”사드, 코로나, 중국 편중으로 야기된 화장품산업의 위기는 생존권을 위협할 정도로 절박하다. 하지만 작금의 정부 주도의 규제체계에서는 혁신제품, 창조적인 기업이 나올 가능성도 없다. 지금 이대로 K-뷰티를 끌고 갈 수는 없다“고 호소한다. 

그러면서 이명규 부회장은 ”화장품산업의 리더는 문화 강국 프랑스이며 향수·립스틱에서 혁신제품을 내놓은 로레알이 부동의 1위다. 마찬가지로 새로운 한류 붐에 에어쿠션, BB크림, 시트마스크 등 트렌디 제품을 내놓은 K-뷰티에 혁신성을 더한다면 글로벌 Top1위도 가능하다“고 역설한다. 

그는 “‘베껴서 돈을 번 ‘중국 굿판’을 이제 걷어치우라!‘라고 말한다. 또 “규제에 의존해선 성장판이 닫힌다”며 업계의 낡은 관행을 저격했다. 덧붙여 “상황에 따라 수출길이 막히고, 화장품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비전문가에 의한 이슈에 휘말리는 고리를 끊어내야 한다“며 ”이를 악용하는 업계 내부의 이간질, 마케팅 도구화를 막아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명품은 언제 어디서 어떤 상황에서라도 국경을 넘는다. 혁신으로 K-뷰티 도약을 이뤄내야 한다”며 이 부회장은 30여 년 경험 속 속내를 털어놨다.  



이날 대한화장품협회가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규제혁신 배경은 일본 약사법에서 파생된 화장품법을 ’의약품 관리체계→화장품 특성에 맞는 규제 체계‘로의 전환이 골자다. 현재 글로벌 스탠다드는 중국을 제외하곤 ’네거티브 규제 체계‘로 품질·효능·안전이 기업에 책임을 두고 있다. 

세계 최초·최고의 혁신 제품이 쏟아져 나올 수 있는 민간주도 시장 중심 규제 환경으로의 개선을 제안한다. 즉 현재의 기능성화장품 심사, 정부 인증 등 사전규제는 새로운 혁신 제품 개발을 제한하고 신속한 출시를 지연시킨다는 설명이다. 게다가 규제에 맞추다보니 기업의 제품 개발 투자 및 역량이 축소되면서 신제품 개발보다 미투(me too) 제품 양산이 치중됐다는 반성이다. 

특히 화장품 안전관리 체계 강화로 K-뷰티를 사용하는 전세계 소비자 보호도 강조된다. 

이런 배경 하에서 K-뷰티 혁신·창조 생태계 구축+안전 강화 → 세계 화장품 수출 1위 국가 달성을 어젠다로 제시했다. K-뷰티 생태계는 ①효능관리 ②품질관리 ③안전관리 등 3축에서 구체적 실천 방안을 담고 있다. (계속)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