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은 “창업 지원 중심이 아닌 경쟁력 갖춘 기존 기업 육성 및 정책지원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브랜드, 제조사 모두 과잉생산과 실적 급감, 기형적 구조로 영세기업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피부기반기술개발사업단(단장 황재성)은 화장품 생산 및 수출실적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트렌드 리포트를 15일 발간했다.
스케일업(scale up)은 화장품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본 전략이 되어야 한다. 실제 책임판매업체는 2만8015개(‘22)로 연평균 24.8% 증가했으나 생산실적 보고 업체는 1만119개에 불과했다. 10개 중에 6.4개는 생산실적이 없다는 얘기다. 실제 ’13년 실적보고 업체 비율은 48.8% → 36.1%(‘22)로 감소했다.
제조업체도 4548개로 ‘13년에 비해 연평균 12.8% 증가했으나 생산액 증가율은 6.1%에 불과했다. 겉으로는 화장품기업이 성장한 것처럼 착시현상을 일으키고 있으나 영세한 책임업체와 제조업체가 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NCR은 “화장품산업 발전을 위해선 창업 지원보다 기존 기업 중 기술력이나 브랜드 경쟁력을 갖추고 성장가능성이 큰 기업의 성장, 경쟁력 강화, 문제 해결 방안 중심으로 정책지원 방향을 정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자연스럽게 도태되도록 해 기업 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을 보면 1천억 이상 생산 규모의 상위 0.1%가 전체 시장의 67.9%를 차지하며, 10억미만 기업 92.8%가 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강소기업 육성과 중견기업 성장을 기반으로 경쟁력이 뒤지는 소규모 기업의 자연스러운 도태를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화장품 생산실적도 책임판매업체 1개사당 평균 13.4억원으로 ‘13년의 42.1억원에 비해 1/3 규모로 감소했다. 지난 10년간 책임판매업체 수가 7.2배로 증가했으나 실적은 오히려 저조해 영세한 규모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이미 2020년 ’K-뷰티 혁신종합전략’에서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한계로 ①기업의 영세성 ②기초·원천기술의 부족 ③전문인력 부족 등을 꼽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소·중견기업 중심 산업구조에서 하기 어려운 기초·원천기술 기반 구축, 산업 인프라 조성, K-뷰티 브랜드 제고를 통해 화장품 G3 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계획만 있을 뿐 컨트롤타워도 없고, 추진기구도 없으니 유야무야 상태로 방치 중이다.
생산실적 통계 분석에 따르면 과잉 생산과 과다 기업 증가, 경쟁력 한계 등이 노출되며 기업 도태가 거론될 정도로 상황은 악화일로다. 중소기업의 스케일업(scale up)+스킬업(skill up)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