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유망시장 분석] 중남미, 한류 동호회 회원 1023만명 → 화장품 진출 유망

[2024 전망 ⑨] 글로벌 화장품 시장의 13% 차지... 멕시코·브라질 한국 뷰티제품 전용 유통사 및 숍 증가세

중남미 화장품 시장은 연간 평균 597억달러로 글로벌 비중이 13.4%. 국가별로 △ 브라질 세계4위(약 293억불) △ 멕시코 12위(84억불) 등이다.(‘22, 유로모니터) 

코트라 중남미본부는 화장품 진출 기회 요인으로 ▲ K-컬처를 활용한 소비재 시장 진출 확대  ▲ 한국과 FTA 다수 체결로 네트워크 확대 요충지 등을 꼽았다. ‘22년 현재 한국의 중남미 화장품 수출액은 3900만달러다. 



한류(팝, 드라마, 영화) 인기로 한국문화 및 제품 소비 수요가 급증하며 대 중남미 소비재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다. 최근 5년간 중남미 지역 한류 동호회 회원수는 2배 이상 증가했다. (‘17년 492만명 → ’21년 1023만명) 이에 따라 ‘23년 1~9월 한류 품목의 수출증가율은 △ 화장품(+23.8%) △ 주류(+51.6%) △ 소스류(+26.4%) △ 차류(+75.5%) 등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멕시코, 브라질 내 K-뷰티 관심이 늘어나고, 한국 뷰티 제품 전용 유통사 및 숍들이 다수 생기고 있다고 전했다. 멕시코의 경우, 한국 화장품 수출액은 최근 10년간(’02~’22) 10배 증가했다. 구글지도 기준 멕시코 내 한식당은 50여개, 한인마트 20여개이며, 방문객 비중은 한국인:현지인=2:8로 현지인이 대부분으로 알려져 있다. 

페루에서도 ’23년 기초화장품 사용률이 2013년 8% 대비 30%p 성장한 38%를 기록했는데, 현지 주요 일간지들은 그 원인으로 K-뷰티 붐을 지목할 정도다. 

과테말라는 화장품 수입 인증이 평균 3개월 정도 소요되어 인근국 대비 절차가 비교적 수월하다. 한국 화장품 수입이 13% 증가했는데 온라인 판매, 한류 마케팅, 인플루언서 마케팅 등을 통해 한류팬의 주를 이루는 중산층과 젊은 소비층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또 다른 기회 요인은 한국과 중남미 10개국 간 FTA 체결로 이는 전체 FTA 체결국(총 59개국)의 19%를 차지한다.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 확보는 물론 우리 기업들의 북미 시장 진출 허브로 활용 가능하다. 

코트라 중남미본부의 ‘24년 주요 사업은 △ 소비재, 산업재 수입·유통업체 방문 상담회 : 2분기/몬테비데오 △ 유망 소비재 유통망 입점 지원사업 : 2∼4분기/부에노스아이레스, 몬테비데오 △ 2024 파나마 종합전시회(Expocomer) 한국관 운영 3월/파나마 △ 페루 K뷰티 수출로드쇼 및 상담회 : 상반기/리마 등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