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화장품미용학회는 오는 11월 17일 성신여대 운정그린캠퍼스 C동 중강당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K-beauty insight Forum'를 주제로 화장품, 뷰티 및 다양한 분야의 상호협력과 공동연구를 통한 학제간 융·복합 연구 관련 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특별강연으로 △ 화장품 기술동향(2023 세계학술대회 중심)- 지홍근 CTO(H&A파마켐) △ 환경과 사회변화 속 코스메틱 6차 산업- 윤서희 대표(위드 보태닉) 등이 발표된다. 한편 한국화장품미용학회는 회원을 대상으로 학회지 게재 논문을 11월 10일 마감한다. (투고 :https://www.dbpiaone.com/kscc/index.do(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
오는 11월 7~9일 태국 방콕에서 열리는 인코스메틱스 아시아(in-cosmetics ASIA)의 한국측 발표자가 확정됐다. 먼저 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가 11월 8일(수·13시~13시 45분) ‘미국 화장품 현대화법(MoCRA) 규제 개요 및 화장품 원료 산업 영향’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손 대표는 인도 화장품 시장에 대한 패널토론 좌장으로도 참여한다. 다수의 현지 기업 관계자 및 시장 조사 전문 애널리스트 등이 참여해 인도 화장품 시장 및 산업 현황, 성장 가능성 등에 대해서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손성민 대표는 “지난 3월 글로벌 전시회를 시작으로 아시아 시리즈까지 심사위원·연자·패널 좌장으로 연이어 위촉받아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계속 글로벌 업계에서 전문가로 인정받음과 동시에 한국의 화장품 산업의 우수성을 세계 시장에서 알릴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첫날 마케팅 트렌드 및 규제 세미나에서는 황재성 교수(경희대학교 유전공학과/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 개발사업단장)가 ‘천연 미백 원료의 멜라노솜 운반’ 관련 최신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둘째 날 Spotlight On 세미나에서는 아모레퍼시픽 R&D
코로나 이후 최대 쇼핑데이인 솽스이(双11 2023)의 사전 판매가 10월 20일부터 시작, 11월 11일까지 진행된다. 플랫폼마다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며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는 소식이다. 코트라 베이징무역관에 따르면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로 불리는 솽스이는 올해 경영실적을 크게 올릴 수 있는 마지막 이벤트로 업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소비자의 트렌드와 수요에 만족하기 위해 플랫폼들은 가격, 제품 및 브랜드 다양화, 서비스, 유통 등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세우고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에 공급망과 재고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中 최대 쇼핑데이를 앞두고 마케팅 총력전에 나선 전자상거래 플랫폼' 인용) 작년의 경우 코로나 봉쇄로 티몰 등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11월 11일 당일 거래 실적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아이미디어 리서치는 2022년 당일 매출액은 전년 대비 2.2% 감소한 3076억위안이라고 추산했다. 이 때문에 올해 시장의 기대가 더욱 커졌다. 다만 △ 지난 618 쇼핑데이 플랫폼 누적 판매액( 5.31~6.18)은 6143억위안(+5.44%) △ 2023년 전자상거래 라이브방송 판매액 4
‘조선미녀’의 설계자로 널리 알려진 김강일 대표가 비밀스런(?) 행보를 예고했다. 지난 18일 기자와 만난 김 대표는 “아름다움을 지킬 수 있는 24시간의 비밀‘이란 콘셉트로 ’24 Secret'을 론칭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새롭게 올그레이스(All Grace)를 설립하고 비디오 커머스(video commerce)를 처음 도입한 강자로서의 면모를 되찾겠다는 각오다. 그 배경엔 2015년 우먼스톡 창업 후 쌓은 130만명의 유저가 힘을 보탠다. 김강일 대표는 “모든 사람은 공평하게 주어진 하루 24시간 동안 나만의 행복과 꿈을 찾아 살아간다. 그 사이 잘 씻고(01) 잘 먹고(02) 잘 보호(03)하고 잘 관리(04) 해야 한다”라며 “24 시크릿은 고유의 스토리를 통해 비밀 제품 24가지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향후 카테고리도 코스메틱에서 이너뷰티, 디바이스 등으로 소비자 접점을 확대한다. 그 첫 작품이 01 Secret ‘폼 투 워터 클렌저’(form to water cleanser)다. 미세 버블이 메이크업을 녹아내리는 과정에서 부드러운 롤링을 통해 마무리되는 과정이 시각적으로 재현한 3세대 클렌저라는 설명이다. 세정(1세대)-오일 클렌저(2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오는 11월 20~21일 무역협회 대회의실에서 ‘화장품 안전성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첫날에는 연구원의 화장품 성분 안전성 평가 결과에 대한 보고회로, 이튿날은 향료 안전성과 유럽의 ESG, 일본의 화장품 안전정보 관련 해외 전문가 초청 강연으로 각각 진행된다. 주요 발표 내용은 20일 △ 화장품 성분 안전성 평가 연구 결과 △ 천연 성분의 안전성 평가 결과 △ 안전성 평가 연구 검증 사업 결과 △ CSRS를 이용한 안전성 평가 보고서 작성 등이다. 특히 올해부터 수행한 △ 안전성 평가 연구 검증 사업은 결과물을 논문화하여 연구원 생산 자료분에 대한 신뢰와 공공성을 획득하고자 노력한 결과물이 발표될 예정이다. 21일은 연구원의 이정표 실장의 △한국의 안전성 평가 연구 및 대응을 시작으로 Martina Bianchini IFRA(국제 향료협회) 회장의 △ 기관 소개 △ 향료의 국제 표준 및 설정 가이드라인 그리고 COSMED의 Caroline Bassoni 이사의 △ EU 그린딜이 화장품에 미치는 영향 등이 발표된다. 이어 REACH24H Japan의 En Tenya 지사장의 △일본 화장품 분류의 이해 △일본 화장
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켐콘 유럽(Chemcon Europe)에서 10월 26일 발표에 나선다. ‘2023 켐콘 유럽’은 리이치24H가 주최하는 글로벌 화학물질 규제 컨퍼런스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 EU CLP 및 글로벌 GHS 규제 변화와 대응 ▲ 글로벌 고분자 물질 및 신규 화학물질 신고방법 ▲ 화학물질의 지속가능성 전략 ▲ EU-REACH 개정 ▲ EU-REACH 개정에 따른 유관 산업의 영향; 식품 포장재, 화장품, 나노물질, RoHS, 배터리, 의료기기 등 ▲ PFAS(과불화화합물) 규제; 미국, 캐나다, 아시아-태평양, EU ▲ 튀르키예, 인도, 영국 및 스위스 화학물질 규제 ▲ 일본, 대만, 태국, 호주 외 기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화학물질 규제 ▲ 미국 TSCA, EPA와 캐나다 화학물질 규제 ▲ 순환 경제와 녹색화학, 화학물질 재활용, EU 폐기물 규정 구조 ▲ 공급망 커뮤니케이션 및 완제품 규제 대응 ▲ 데이터 관리 및 공유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 등 다양한 주제가 발표된다. 손 대표는 26일 오전 9회차 세션에서 ‘한국의 화학물질 규제 대응 및 산안법 준수’를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손성민 대표는
중국 화장품시장에서 유행은 계산된 유행일까? 아니면 절호의 기회를 잡은 걸까? 그 배경엔 성분당(成分党)이 있다. 성분당은 화장품 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확인하고 구매하는 소비자 움직임을 말한다. 지난 19일 열린 매리스그룹코리아(Maris Group Korea)의 ‘중국 화장품 법규로 본 트렌드+원료 동향 세미나’는 법규와 트렌드의 상관관계를 통해 시장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또 유행은 소비자와의 케미(chemi)라는 점도 일깨워준다. 매리스그룹코리아 김선화 차장은 “법규에 나타난 화장품 효능은 26가지나 된다. 소비자의 관심도 효능별 과학적 근거와 확실한 효과를 기대한다. 소비자의 효능 선호를 잘 읽어야 트렌드를 리드하는 브랜드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김 차장은 “중국 화장품 법규에 따르면 효능별 4가지 효능 시험 중 단일 또는 결합 테스트를 거쳐야 한다. 또한 14가지 안전성 평가 항목 중 6가지 유형의 자료를 제출할 의무가 있다”며 법규 준수를 강조했다. 이는 중국 판매 시 규제당국이 유통채널에서 적법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후 심사’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성분당의 탄생은 2021년 화장품감독관리조례의
해외 유통, 현지 브랜딩 전문기업 비지티컴퍼니(BGT Company)는 화장품 R&D 더말코리아와 MOU를 체결했다고 10월 17일 밝혔다. 업무 협약에는 비지티컴퍼니 김병수 대표, 이경민 책임과 더말코리아 정연호 대표, 배지선 부대표가 참석했다. 비지티컴퍼니는 국내 화장품 브랜드 150여 곳의 제품을 10여 개국 수출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 마케팅과 오프라인 입점 등을 통해 설립 3년여 만에 200억 매출을 달성하는 등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더말코리아는 전 세계 50여 개 국에 자사 제조 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아마존, 세포라, 롯데마트 등 대기업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 화장품 R&D 기업이다. 두 기업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 R&D 추진 △ 해외 수출시 상호협력 및 제조 △ 화장품 연구 개발 및 정보 공유 등에서 협력키로 했다. 양사의 전문 업무가 상호 보완 관계여서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더말코리아 정연호 대표는 “이번 협약식을 통해 화장품 시장 동향에 맞춘 화장품 제조·개발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며 “글로벌 화장품 제조 기업으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비지티컴퍼니 김병수 대표는
화장품의 본고장 프랑스에서 K-뷰티의 EU 역내 수출 활성화와 공동사업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10월 18일(현지 시각)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 회장 윤주택)는 프랑스 코스메틱 밸리(회장 쟈메장)와 한국 대표 파트너로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MOU에는 IBITA 윤주택 회장, '프랑스 코스메틱 밸리’ 마크-앙투안 쟈메(Marc-Antoine Jamet) 회장, 코스메틱밸리 GCC 회장 크리스토퍼 마손 (Christophe MASSON), 코스메틱360 대표 프렝키 (Franckie) 등이 참석했다. ‘프랑스 코스메틱 밸리’는 세계 최초로 화장품 뷰티산업의 산·학·연 클러스터로 1994년 설립됐다. 겔랑, 이브생로랑 등 100여 개의 프랑스 화장품 기업, 일본 시세이도, 한국 태평양(퍼시픽 유럽) 등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수·화장품 산업의 비즈니스 지원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연구, 장기 국제적인 프로젝트 등을 지원 중이다. 협약 주요내용은 ▲ 유망 화장품·뷰티기업 및 혁신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IBITA와 프랑스 코스메틱 밸리 간 한국대표 파트너십 구축 ▲ ‘코스메틱 360’과 ‘한국 IBITA’를 통한 참여 기업들의
한국콜마가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던 자회사 '연우'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는 '포괄적 주식교환'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중복 상장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지배구조를 선진화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통한경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한국콜마는 19일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확정했다. 주식교환 예정일은 내년 2월 14일 예정이고, 교환비율은 1:0.2915837이다. 포괄적 주식교환은 회사간 주식교환계약을 통해 자회사 발행주식 총수를 모회사로 전부 이전하고, 자회사 주주들은 모회사의 신주를 배정받는 방식의 상법상 제도다. 이번 주식교환으로 한국콜마는 연우 보유 지분 55% 외 45%를 모두 확보한다. 주식 교환 반대주주 주식 매수 청구는 내년 1월 8일까지다. 주식교환이 마무리되면 거래소 협의에 따라 연우는 상장폐지 된다. 한편, 콜마그룹은 무상증자 및 자사주 매입 등으로 진정성 있는 주주가치 제고 실현에 나서고 있다. 한국콜마홀딩스는 지난 5일 보통주 1주당 신주1를 배정하는 100% 무상증자를 결정했다. 앞선 7월에 발표한 3개년 주주환원 정책 계획 이행의 일환이다. 이와 함께 지난 1월 537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한 데 이어 8월 발행주
아모레퍼시픽은 화장품 사용을 돕기 위한 ‘점자스티커’를 제작해 무상으로 배포한다. 장애, 성별, 연령에 관계없이 모두가 편리하게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누리게 하기 위함이라는 설명이다. 화장품은 제품에 따라 품명의 위치나 크기가 다르고, 용기 모양이 유사한 경우 시력이 좋지 않은 고객들이 사용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 때문에 식약처는 생리대, 마스크, 반창고, 외용소독제, 치약, 콘택트렌즈관리용품 등 의약외품 용기·포장 등에 시각·청각장애인을 위해 점자 및 음성·수어영상변환용 코드 표시를 의무적으로 표시하는 ‘의약외품 표시에 관한 규정’의 일부 개정안을 24년 7월 21일 시행할 예정이다. 아모레퍼시픽이 제작한 점자스티커는 화장품, 생활용품 중 스킨, 로션, 샴푸, 린스 등 주요 10가지 카테고리를 점자로 표기했다. 이 외에도 알파벳이나 숫자가 양각 처리된 기호를 포함하여 점자를 읽지 못하는 사용자도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제작했다. 이번 점자스티커 제작은 아모레퍼시픽 본사에서 근무하는 시각장애인 직원들과 자문단을 구성하여 초기 기획부터 샘플 검수까지 함께 진행했다. 자문단은 아모레퍼시픽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 사업장 ㈜위드림 소속으로 본사, 물류사업장 등에서
식약처는 OECD 승인 최신 동물대체시험법 안내서 3종을 18일 제·개정 내용을 배포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제정한 가이드라인은 ‘인체각막유사 상피모델을 이용한 안 유해성(심한 안손상 또는 안자극) 시험법’이며, ‘In Chemico 아미노산 유도체 결합성 시험법’과 ‘생체외 피부흡수 시험법’ 등이다. 먼저 ‘인체각막유사 상피모델을 이용한 안 유해성(심한 안손상 또는 안자극) 시험법’은 인공 3D 각막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시험법이다. 시험 결과에 따라 유엔(UN)에서 정한 심한 안손상 물질, 안자극 물질, 비자극 물질로 분류할 수 있어 동물실험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음 ‘In Chemico 아미노산 유도체 결합성 시험법’은 시스테인(cysteine)을 포함한 인공 펩타이드와 시험 물질의 반응에 따른 발색 정도를 확인하여 피부감작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이다.이번 가이드라인에서는 시험 물질의 농도, 검출 방법 등을 개선하여 피부감작성 예측력을 높였다. 이밖에 ‘생체외(In vitro) 피부흡수 시험법’은 피부 유사체를 통과한 시험 물질을 분석하여 피부 흡수·투과 정도를 평가하는 시험법이다. 이번 가이드라인에서는 시험법을 알기
K-뷰티가 중국 특수화장품 심사 시 기능성 화장품 자료를 인정받을 수 있을까? 18일 식약처는 중국 식품약품검정연구원(NIFDC)을 초청, 화장품 분야 기술교류 회의를 오송에서 열었다고 밝혔다. NIFDC(National Institute for Food and Drug Control)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National Medical Products Administration)의 산하기관으로 화장품 등의 허가심사 업무를 전담한다. 식약처는 국산 화장품을 중국으로 수출할 때 제출서류 중 하나인 안전성 분석 결과의 경우, 한국 시험기관의 자료도 인정받을 수 있도록 협의한다는 방침이다. 또 화장품 시험·평가 기술 교류 등 상호 이해 수준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번 회의는 지난 5월 식약처와 NMPA 간 국장급 양자 협력회의 합의사항에 따른 후속 조치라는 설명이다. 당시 합의한 내용은 ▲ 국내 발행 전자 판매증명서 중국 허가·등록 시 인정, ▲ 시험·평가 분야 기술협력 추진 ▲ 국장급 협력회의 정례화 ▲ 공동 관심 의제 논의를 위한 워킹그룹 구성 등 합의(’23.5.9) 등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기능성화장품 제도, 심사 체계와 제출 자료 요건 등을
유니자르(UNIZAAR, 대표 심필보)의 ‘차오름 콜라겐 클렌징 파우더’가 방부제 없는, 전성분 8개뿐인 ‘효능 만점’ 클렌저로 인기몰이 중이다. 이른바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끝판왕으로 불린다. 미니멀리즘은 2023년 글로벌 트렌드. ‘최소한의 요소로 최대 효과를 올리려는’ 게 사전적 의미다. 미국에서는 “기대하는 효과를 최대로 얻을 수 있는 제품을 최소한으로 선택한 화장품‘을 말한다. 중국에선 미니멀리즘 제품의 특징을 성분 간소화, 단계 간소화, 포장 간소화의 세 가지로 정의한다. 우선 ‘차오름 콜라겐 클렌징 파우더’는 ▲ 클렌징(피지+각질+모공) ▲ 콜라겐&속보습 채우기 ▲ 여행템이 특징으로 꼽힌다. ‘효능’면에서 소비자 만족도가 높다. 실제 네이버 스토어 실제 구매자 평가는 리뷰수 305개에 별 5개가 대부분이다. Grip 라이브방송 실제 구매자 평가에선 구매만족도 4.98을 자랑한다. 구독자 6만여 명의 ‘에린’은 ‘매일 비행하는 사람의 평생템’(Bring Bling)에서 ‘인생 클렌징 파우더’로 ‘차오름 콜라겐 클렌징 파우더’을 소개한다. 그는 “피부고민이 많이 없어졌다. 건조하고 좁쌀 여드름이 많았는데 이 클렌징 쓰고 나서 거짓
한-아랍에미리트(UAE) 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가 14일 최종 타결됨에 따라 향후 화장품의 관세가 철폐될 예정이다. 현재 아랍에미리트는 중동 국가 중 수출액 1위이며, 전체 화장품 수출순위 12위다. 1~8월 누적 수출액은 5358만달러(+56%)다. 매년 순위가 상승하고 있어 향후 중동 수출 교두보로써 성장성이 기대된다. 산통부는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과 아랍에미리트 경제부 대외무역 특임장관 간 통상장관회담을 서울에서 열고,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협상 타결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체결한 24번째 자유무역협정이다. 올해 1월 윤석열 대통령의 UAE 방문에서 CEPA의 조속한 체결 필요성에서 강한 공감대를 형성했으며, 하반기 집중 협상을 통해 타결에 이르렀다는 설명이다. CEPA를 통해 품목수로 볼 때 한국이 92.8%, UAE가 91.2%에 적용되는 관세를 협정 발효 후 최장 10년 이내에 철폐하기로 했다. 대표적으로 우리가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하는 주력품목인 자동차・자동차부품, 전기·전자 제품(냉장고·에어컨·세탁기 등), 원동기와 밸브, 합성수지 등에 대한 관세가 철폐된다. 특히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등 친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