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생활화학제품 안전 사각지대 없어지나

가습기살균제 사고 재발 후속 대책…이마트 전수조사에서 비관리제품 2만여개 발굴, 소비자 안전성 조사 공모제 도입

가습기살균제처럼 현행 소관 부처가 애매한 비관리제품의 안전관리 방안이 마련됐다. 정부는 어제(11월 1일) 12개 부처가 참여한 ‘제1차 범부처 제품안전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협의회는 국무총리 소속으로 안전관리가 필요한 비관리제품의 소관부처 조정 등 부처간 협의·조정 역할을 담당한다.


먼저 정부는 시범사업으로 2017년 1월 이마트 소비자제품 유통현황을 전수 조사해 총 43만건 제품 중 비관리제품 2만2249건(5.2%)을 분류하는 작업을 마쳤다.


관리제품 40만8975건은 산업부 소관이 85.2%를 차지했고 나머지는 환경부, 식약처 등이었다. 식약처 소관 제품은 △화장품법(화장품: 화장품·샴푸·물티슈) 2만1332건 △식품위생법(식품용기: 식기·후라이팬) 1만274건 △위생용품관리법(위생용품: 냅킨·일회용젓가락) 198건 △의료기기법(의료기기: 체온계·혈압계) 28건 등이었다. 전체의 7.5% 비중을 차지했다.




이번 시범사업에서 발굴된 비관리제품을 556개 품목으로 분류한 후 이중 위험요소 등을 평가해 15개 관심품목 및 소관부처(안)를 확정했다. 이들 품목은 차량용 캐리어(산업부)·스노우 체인(산업부)·성인칫솔(복지부)·치간칫솔, 치실(복지부)·혀클리너(복지부) 등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5단계 절차를 거쳤다. 먼저 △1단계: 시중 유통제품 모니터링 연1회-산업부/공정위 △2단계: 비관리품목 중 관심품목 도출-위험요소 평가위원회 △3단계: 관심품목별 소관부처 도출-위험요소 평가위원회 △4단계: 관심품목 및 소관부처 확정-제품안전실무/정책협의회 △5단계: 관심품목 안전관리 실적 및 계획 보고-관심품목 소관부처 등을 거치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오늘날 제품의 융복합화, 생산의 세계화, 유통채널의 다양화 및 4차 산업혁명시대, 제품의 스마트화 등 새로운 제품환경 변화에 대응해 체계적인 안전관리망을  구축에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생산·유통·사용 단계의 안전관리체계를 혁신하는 제3차 제품안전관리 종합계획(2017~2019)도 확정했다.


생산단계에서는 위해도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품목별 안전관리방법을 5년마다 조정한다. 또 기술변화 등을 반영한 안전기준 전면 정비, 기업에 공통 안전기준 개발·보급, 안전의무 지침서를 제작·배포키로 했다.


유통단계에서는 30대 안전취약제품을 선정하고 ‘안전성조사 공모제(제품안전정보포털을 통해 소비자의 안전성 조사 요청 품목 접수)’를 도입한다. 또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과 연계하는 유통매장을 확대, 바코드 부착 의무제 도입을 적극 검토한다.


사용단계에서는 소비자 정보 등록제를 도입한다.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소비자 정보 등록서식을 제공하고 소비자 동의 시 정보를 수집하여 리콜 시 활용한다는 것. 또 매년 제품안전 실태조사를 벌이고 △제품안전관리원 설립 △제품위해평가센터 설치 등을 통해 소비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제품안전 생태계’를 조성하기로 했다.


국가기술표준원 정동희 원장은 “제품안전정책협의회를 계기로 제품 위해·사고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부처 간 칸막이를 허물고 협업함으로써 국민생활안전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