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ae in Korea로는 중국에 설 자리가 없다"

[취재파일] ‘메이드 인 코리아’ 중국 위기론 확산...중국 소비자 선택 요인, 품질과 디자인이 65%, 국가는 14%에 불과

K-뷰티 위기론이 제기됐다. 발신지는 중국 온라인 해외직구 시장이다.


중국 해외직구 시장규모는 2017년 7.5조위안(약 123조원)으로 추정된다. 전년 대비 19% 증가한 수치다. 해외직구 이용자 규모는 4100만명(2016년)→5800만명(2017년)→7400만명(2018년)으로 예상된다.




최근 기자가 만난 중국 타오바오 연관 한국파워셀러협회 관계자는 “중국 시장에서 ‘메이드 인 코리아 시대’는 끝났다. 국가를 보고 화장품을 고르기 보다는 믿음이 가는 브랜드에 중국 소비자의 관심이 크다”며 “중국 소비자가 원하는 소구점을 찾아내고 적확하게 매칭 할 수 있는 브랜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 소비자가 해외직구 원산지를 고르는 가장 큰 요소는 무엇일까? 소후닷컴(搜狐网)의 2017년 상반기 ‘중국 해외직구 원산지 선택요인’ 조사에 따르면 “해외직구 이용자는 국가별 브랜드에 특별한 기호가 있는 편은 아니며 선진국 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에 신뢰도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중국 해외직구 원산지 선택 요인은 △제품 품질(36.6%) △제품 디자인(27.8%) △제품 평가(18.9%) △국가 선호도(13.9%) △제품 브랜드(2.5%) △기타(0.3%) 순이었다. 국가 브랜드보다는 품질과 디자인이 앞선다는 것. 이는 운 좋게 밴더를 만나 물량 떼기로 중국에 수출하는 관행에 제동이 걸렸다는 의미다.


중국 해외직구 원산지 선택 요인(2017년 상반기 기준=소후닷컴)



한류 붐에 따른 ‘Made in Korea'가 중국 시장에서 활개를 치던 게 불과 작년 초였는데 설문조사에서는 중국 소비자 10명 중 1명 정도가 원산지를 보고 구매한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올해 말까지 유예됐지만 갈수록 중국 정부의 △위생허가 요구 △세수 강화 △해외 쇼핑보다는 중국 내에서의 구매 유도 등 정책은 강화될 기미다. 따라서 ‘Made in Korea'에 기대 2, 3, 4선 도시를 노리던 중소 화장품 기업에게는 새로운 숙제를 안겨주게 됐다.


기자가 만난 대한화장품협회 관계자는 “중국 로컬브랜드의 추격이 거세다. 작년 중국 관계자와 만나서 대화하다보면 'Made in Korea'가 4~5년은 지속될 거라는 얘기가 많았다. 그런데 박람회에서 본 로컬 화장품을 보면 원료와 성분, 디자인, 패키징 등에서 K-뷰티 성공 요소를 많이 따라해 이젠 대등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그는 “중국 스카웃에 따른 인력 유출 영향으로 로컬이 K-뷰티 수준에 근접해 차이점을 모르겠다는 게 중국 현지를 다녀온 사람들로부터 전해들은 얘기”라고 덧붙였다.


중소 화장품기업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로드숍과의 경쟁에 밀리고, 대기업이 장악한 H&B숍 입점이나 홈쇼핑채널은 감당하기 어려운 비용과 시간 때문에, 중국과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이 유일한 활로였다”며 “‘Made in Korea'를 선호하던 중국 따이공이나 밴더도 중국 위생허가와 한국 실적, 홍보 내용 문의가 부쩍 늘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한국파워셀러협회 관계자는 “온라인 플랫폼이나 오프라인 등 어디에, 어떻게 마케팅 비용을 써야 하는 지 한국 업체들은 중국 시장을 너무 모른다“며 ”한탕식 치고 빠지는 판매는 더 이상 중국에서 통하지 않는다. 꾸준히 제품 개발 여건을 갖춘 회사를 찾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차별화된 셀링 포인트와 가격, 입소문 효과 등을 통해 한국의 중소 브랜드를 발굴하고 있다“며 ”‘Made in Korea'를 앞세우는 기업보다는 브랜드 파워를 키우려는 기업이 중국 시장에서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중국 시장에서 ‘Made in Korea'라면 받아주던 시대는 사드 갈등을 겪으면서 확실히 꺾인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중국 소비자의 선택은 한국산(産)보다는 명품 브랜드로 쏠리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