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화장품 최고 경쟁 국가는 미국, 상대 평가 59.3%

‘2022 보건산업 대국민 인식조사’...일반 국민은 화장품 강국으로 프랑스 꼽고, 규제 관련 ‘안전성’ 제기

화장품산업에서 최고 경쟁력 보유 국가는 미국, 프랑스로 나타났다. 3일 발표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2 보건산업 대국민 인식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다. 이번 조사는 일반국민(1천명), 산업계(329명), 의료계(224명)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산업계는 미국(37.9)을, 일반국민(54.3)과 의료계(61.6)는 프랑스를 꼽았다. 이들 국가와의 상대적 경쟁력 평가 평균은 의료계(67), 일반국민(62.8) 산업계(59.4) 순이었다. 일반국민과 의료계는 전통적 강국인 프랑스에, 산업계는 수출 현장에서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이번 인식조사는 ▲보건산업에 대한 인식 ▲첨단 보건의료기술에 대한 경험과 인식 ▲보건산업 정책에 대한 인식 ▲첨단재생의료에 대한 인식 등 4개 영역으로 구성됐다.

일반 국민은 보건산업의 기여도를 국민 건강 증진(85.9%), 국가 경제 발전(77.3%), 일자리 창출(59.3%) 순으로 평가했으며 산업계와 의료계도 같은 순서로 응답했다.

산업계에 한정하여 수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질문한 결과, 환율(35.6%), 원자재 가격(29.2%), 원자재 수급(10.3%), 보호무역주의 등 무역환경(8.5%), 수출대상국 경기(7.6%), 물류비(3.3%), 관세율(3.0%) 순으로 답했다.

첨단 보건의료기술 경험도에 대해 일반 국민은 건강관리 앱(57.4%), 웨어러블기기(37.5%), 비대면의료(14.5%), 유전자검사(12.1%)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용의사는 건강관리 앱(52.2%), 웨어러블 기기(46.8%), 정밀의료(40.1%), 보건의료 마이데이터(36.8%), 디지털치료기기(35.9%) 순이었다. 

일반국민이 우려하는 점으로는, 웨어러블기기, 유전자검사,  정밀의료, 디지털치료기기, 첨단재생의료에 대해서는 비용에 대한 부담이, 건강관리 앱,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비대면의료에 대해서는 효과에 대한 근거 부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의료계의 경우 일반국민과는 달리, 웨어러블기기와 디지털치료기기의 경우 효과에 대한 근거부족을, 비대면의료의 경우 안전성에 대한 검증부족을 우려하고 있으며, 사회윤리적 문제(보건의료 마이데이터, 유전자검사)에 대한 우려도 높았다.

첨단보건산업 분야의 개인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해, 산업계와 의료계는 모두 건강정보의 표준화(28.9%, 32.6%), 제도 마련 및 규제 완화(25.5%, 26.3%) 순으로 시급하며, 이어서 산업계는 의료기관의 적극적 참여(17.9%)가, 의료계는 사회적 합의(16.5%)가 시급하다고 응답하였다.



보건산업 규제 갈등의 주요 원인으로는 일반국민은 안전성 문제(36.5%), 이해관계자의 저항(23.4%), 첨단기술을 규제가 따라가지 못하는 규제지체 문제(23.2%) 등을 꼽았다. 산업계는 규제지체(27.4%), 안전성 문제(23.4%), 이해관계자의 저항(18.2%), 의료계는 규제지체(25.9%), 안전성 문제(22.8%) 순이었다.

진흥원 보건산업혁신기획단 한동우 단장은 “2022년도 인식조사 결과 첨단재생의료산업 등 보건산업에 관한 국민·산업계 및 의료계의 제반 인식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과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현실적인 정책 아젠다를 발굴하고, 사업에 반영하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