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는 오유경 처장은 20일 일본 화장품시장 수입 점유율 1위를 차지한 K-뷰티의 현지 판매점 ㈜스킨가든을 방문했다. 이번 행사는 도쿄에서 열린 ‘2023 원아시아 화장품·뷰티 포럼’ 참가와 맞물려 이뤄졌다. 포럼에서는 일본 규제당국의 일본 화장품 제도에 대한 소개와 일본 유통전문가의 최근 일본 화장품시장 동향, 시장 진출 성공사례, 전략 등이 발표됐다. 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일본 도쿄 화장품 팝업 부스 운영사업과 연계한 국내 중소기업의 일본 진출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날 오유경 처장은 도쿄 베르사르 간다에서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통해 국산 화장품의 일본 시장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적 지원방안에 대해 의견을 수렴했다. 참석자는 식약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코트라, MBN, 대한화장품협회,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마녀공장, ㈜코스메랩(스킨가든), 대봉엘에스, 한국콜마, 코스맥스 등이다. 이어 오유경 처장은 일본 도쿄 신주쿠의 일본 최대 규모의 한류 편집숍 ㈜스킨가든을 방문했다. 코스메랩 재팬이 2011년 설립한 ㈜스킨가든은 K-뷰티의 소매 및 도매, 액세서리, 캐릭터, Hot Item을 판매하는 일본 1020세대의 핫 플레이스다. 코스메랩
‘K-Beauty Insight Forum’을 주제로 제26회 한국화장품미용학회(회장 지홍근) 추계학술대회가 11월 17일 성신여대 미아운정그린캠퍼스에서 열렸다. 화장품산업의 통찰(인사이트(insight)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 고민에서 비롯된다. 이는 “화장품·뷰티산업 및 다양한 분야의 상호협력과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모색하고 희망찬 비전을 만들어 가는 혁신적인 학회가 되고자 노력할 것”이라는 지홍근 회장의 인사말에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이날 학회는 ▲ ‘IFSCC 2023’의 화장품 기술 동향(H&A파마켐 지홍근 CTO) ▲ 환경과 사회변화 속 코스메틱 6차 산업(위드보타닉 윤서희 대표) ▲ 증강현실(AR)플랫폼 특성이 페르소나 형성 및 현존감과 결과행동에 미치는 영향’(연성대 최주희 외래교수) ▲ ‘MZ세대 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이 물질주의 영향력에 따라 뷰티케어행동과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명지전문대 김슬기 외래교수) ▲ ‘한국 화장 문화와 방송 환경 변화에 따른 여성 아나운서 메이크업의 변화연구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성신여대 이나래) ▲ ‘김 유래 미코스포린 유도체, 천연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
아모레퍼시픽이 개발한 '립큐어빔(LipcureBeam)' 기술이 CES 2024(Consumer Electronics Show 2024) 혁신상을 받았다. 아모레퍼시픽은 이번까지 CES 혁신상을 5년 연속 수상했다. CES 2024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 부문에서 수상한 '립큐어빔(LipcureBeam)'은 하나의 기기로 입술 진단과 케어, 메이크업이 모두 가능한 신개념 뷰티테크 디바이스다. '립큐어빔' 기기의 캡 상단에는 개인의 입술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정밀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입술에 디바이스를 대면, 즉각 입술 수분 상태를 감지해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캡과 용기를 분리하면 메이크업 도구가 나오는데,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솔대 형태의 화장품 도포 장치에서 개인에게 최적화된 가시광선이 방출되어 입술 케어를 돕는다. 아모레퍼시픽 R&I 센터에서 개발한 빛 감응성 물질을 입술에 바르고, '립큐어빔'에서 나오는 빛을 조사하면 천연 비타민의 한 종류인 리보플래빈(riboflavin)의 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다. 관련 반응은 입술 내부의 콜라겐 섬유를 강화해주고, 입술 표면에 보습막을 형성해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피부기반 기술개발 사업단(사업단장 황재성)은 2023년 11월 16일 서울 The-K호텔에서 화장품소재전문연구기업협의회(회장 박진오)와 화장품 산업 발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화장품 소재 연구개발 및 기술 경쟁력 향상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화장품 소재산업의 발전을 위해 시급한 연구개발 분야를 공동 발굴하고, 연구개발 역량의 고도화, 화장품 소재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지속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정보와 인적 교류, 정책과제의 발굴과 연구, 공공기관에 대한 정책제언 등을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황재성 사업단장은 “세계적으로 위상이 높아진 한국 화장품 산업이 앞으로도 경쟁력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마땅히 국내 화장품 기업을 통해 우수한 신규 화장품 소재가 꾸준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협의회의 발전 방안 모색과 정책 제안 노력에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같은 장소에서 피부 기반기술 개발 사업단과 한국인체적용시험기관협의회(회장 이해광) 간 인체적용시험의 신뢰 제고와 관련 산업의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시급한 연구개발 분야를 공동 발굴하고, 연
‘2023 코스모프로프 아시아’가 홍콩에서 11월 14~17일 홍콩 컨벤션 센터와 아시아 월드 엑스포에서 막을 열었다. 금년에도 아시아 월드 엑스포(AWE)에서는 OEM/ODM, 패키징, 원료, 라벨 등이 ‘코스모팩’이라는 행사명 아래 11월 14일~16일 전시되었으며, 홍콩 컨벤션 센터 (HKCEC)에서는 화장품, 에스테틱, 뷰티/헤어 제품 등 코스모프로프는 11월 15일~17일 진행됏다. 올해 전시에는 약 2천여 개사, 참관객 6만여 명으로 전년 대비 참가사 수와 참관객 수가 크게 증가한 것을 전시장 내에서 실감할 수 있었다. 코이코 주관 한국관에는 총 71개사가 참가 △ 스킨케어 브랜드 (파켓, 제이케이 코스, 스킨1004 등) △ 코스메틱 브랜드 (더샘, 미네랄바이오 등) △ 미용기기 및 에스테틱 (에이피알, SR바이오텍 등) △ 헤어 (닥터스칼프, 화이트코스팜) 등 카테고리별로 국내 유망기업이 참가했다. 또 대구한의대 산학협력단, 서울경제진흥원 등 단체는 각 지역 소재 기업들의 전시회 참가를 지원했다. 코이코 참가사인 주식회사 한스파마, ㈜아크메디코리아, ㈜제이피프로페셔널이 ‘코스모프로프 어워즈’에, 주식회사 한스파마, ㈜코윈바이오, 린제이앤코스이
대한화장품학회 3차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가 16일 더케이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렸다. 화장품 과학자들은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초청 강연을 통해 뉴노멀의 K-뷰티를 모색했다. 이는 박영호 회장의 인사말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는 “팬데믹으로 인한 어려움이 오래된 과거처럼 느껴질 정도로 국내외 정치·경제·사회·과학기술 모든 면에서 큰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그 상황에서 K-뷰티가 전세계 화장품 시장의 변화를 주도하는 Key Player로서 자부심을 가질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박 회장은 글로벌 시장이 주목하는 K-뷰티로선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어려운 도전과제가 연구 개발자들에게 놓여 있다고 말했다. 즉 전지구적 환경, 지속가능 이슈, 인구위기, AI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확산과 함께 산업 내부적으로 미국의 MoCRA 제도 시행, 글로벌 확장 위한 국가/권역별 개발전략 수립 등이다. 박 회장은 “이들 과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서 선제적으로 해결하고 우리 K-뷰티만의 경쟁력과 새로움을 창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 학회가 더욱 주도적으로 화장품 연구개발의 경계와 정의를 확장시키면서 Open Innovation을 리딩하는 대표 창구로서
스마트 뷰티 전문 기업 ㈜퀸덤이 혁신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세계 최대 박람회 ‘2024 CES’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이번 혁신상을 수상한 ㈜퀸덤의 ‘ctorigin S1(닥터리진 S1)’ IT 및 ICT 기술과 융합한 스마트 뷰티이다. 피부 진단 AI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최적의 개인 맞춤 피부 개선 솔루션을 사물인터넷 기반(IoT Beauty Device)으로 실시간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피부 개선 효과를 체감케 한다는 콘셉트다. (관련기사 닥터리진 S1, ‘스마트 거울형 화장품 공급장치 및 시스템’으로 특허청장상 수상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8808 ) 실제 경쟁이 심한 부문임에도 CES 사무국 심사위원들은 혁신적 제품과 서비스에 높은 평가를 매겼다는 후문이다. ㈜퀸덤의 김현수 대표(CSO)는 닥터리진 S1은 한국의 IT 및 ICT 기술을 뷰티와 융합한 시스템이다. 핵심 기술을 산·학·연 및 IT 기업과 협업을 통해 고도화시킨 차세대 스마트 뷰티로 K-뷰티의 미래를 구현했다는 의미도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초개인화 시대를 맞아 피부상태에 대한 궁금증이 큰 잘파(z+α) 세대에게 과학적 기반으로
LG생활건강(대표 이정애)이 29년 만의 LG트윈스 한국시리즈 정상 등극을 기념해 ‘LG윈윈페스티벌’을 개최한다. LG생활건강은 뷰티, 생활용품 온라인 직영몰을 중심으로 각 브랜드의 대표 제품들을 소비자가에서 71% 할인된 ‘29%’가격에 판매하는 등 파격 할인 행사를 준비했다. 먼저, 화장품 14개 브랜드 직영몰에서 대표 제품 위주로 준비했다. 빌리프는 ‘더 트루 크림 아쿠아밤 30㎖ 기획 세트’(29,000원→8,410원)를, 오휘는 ‘얼티밋 핏 톤업 진 쿠션’(60,000원→17,400원), CNP는 ‘프로페셔널 솔루션 비타-C에너지 앰플’(49,000원→14,210원)을 71%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숨37°‘ 마이크로액티브 토닝워터 기획 세트’도 소비자가(50,000원)의 29%인 14,500원에 만나볼 수 있다. 이외에도 브랜드별 직영몰에선 △ 비욘드(피토 아쿠아 크림 스페셜 세트) △ 글린트(스틱 하이라이터) △ 코드글로컬러(오일컷 팩트) △ 프레시안(센슈얼 비건 립밤)을, 더페이스샵 직영몰에선 △ fmgt(잉크래스팅 파운데이션 슬림핏) △ 더페이스샵(더테라피 비건 블렌딩 크림 기획 세트) △ 닥터벨머(어드밴스드 시카 리커버리 크림 60㎖)을,
‘2023 홍콩 코스모프로프 아시아(Cosmoprof Asia)’ 전시회가 15일 개막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KOTRA(사장 유정열), 대한화장품협회(서경배 회장) 등 10개 기관이 통합한국관을 운영한다. 99개 사가 참가해 화장품, 미용기기, 바디케어 등 다양한 K-뷰티 제품이 전시됐다. 세계 3대 뷰티 전시회 중 하나인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전시회는 팬데믹으로 4년 만에 다시 홍콩에서 개최됐다. 홍콩은 중국과 함께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4대 시장이자 중화권과 아시아 지역으로의 진출 거점이다. 최근 3년간 팬데믹에 따른 수요 감소로 다소 시장이 위축되었으나 홍콩은 여전히 높은 구매력과 트렌드에 민감한 소비를 기반으로 전 세계 유수의 제품들이 경쟁하는 곳이다. K-뷰티는 통합한국관 참가기업 포함하여 총 480여 개사가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KOTRA는 B2B 플랫폼인 ‘바이코리아’에서 ‘코스모프로프 온라인 한국관’을 개설해 전 세계 바이어 대상으로 온라인 홍보를 병행한다. 또 SNS나 검색엔진을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으로 중국, 유럽, CIS 지역 등 제3국 잠재 바이어를 새로 발굴하여 온라인 한국관을 방문하도록 연계한다. 아울러 현지 유명 뷰티 인플루언서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안전성 평가 규제 현황과 전망 웨미나 제3탄 (미국 편)을 오는 11월 30일 개최한다. 지난 중국과 유럽에 이어 미국의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의 안전성 평가 동향이 발표될 예정이다. 미국은 지난해 12월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 The Modernization of Cosmetics Regulation Act of 2022)을 제정하였다. 원래 오는 12월 29일을 기준으로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24년 8월 1일로 6개월 연기됐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웨비나 주요 내용은 △ 미국 화장품 현대화법(MoCRA)의 오해와 진실 △ 미국 화장품 현대화법(MoCRA) 개요 및 규제 동향 △ 미국 화장품 현대화법(MoCRA) 실무 등의 주제로 MoCRA법에 대해서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웨비나에는 IBA(Independent Beauty Association)의 Meredith Petillo와 미국 컨설팅 법인이 현재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상세히 전달한다. 다만, 현지 상황과 시차 등을 고려하여 Meredith Petillo와 Robert Kiefer의 강의는 사전 녹화되며, QnA에는 Robert Kie
아로마테라피 관련 동영상 강좌를 온라인에서 수강할 수 있는 인강 플랫폼 아로마캠퍼스(Aroma Campus,www.aromacampus.kr)가 이 분야 처음으로 문을 열었다. 제주에 소재한 영국 IFA 인증 센터 (주)웰니스라이프연구소와 미국 NAHA 인증(레벨1~3 강좌 제공) 기관인 한국아로마웰니스학회(KAWA)가 공동 론칭한 아로마캠퍼스는 수강생이 구매한 영상을 24시간 언제든 온라인 상에서 일정 기간 동안 반복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플랫폼에 등재돤 콘텐츠는 유료 강좌와 무료 강좌가 있으며, 과목마다 글로벌 스탠더드 수준의 엄선된 콘텐츠를 전문 강사가 제공하기 때문에 해당 기관이 개설하고 있는 국제자격증 관련 학점 일부를 취득한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번에 론칭한 플랫폼은 아로마화장품 제조업체인 (주)웰니스라이프연구소 대표 겸 KAWA 학회장으로 일하고 있는 이현주 박사(이학박사)가 아로마테라피 25년차 현장 및 교단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한 테마 특강과 에센셜오일 동태학(EO Kinetics) 강좌 시리즈를 1차로 선보이고 있다. 아로마캠퍼스 운영팀은 향후 아로마테라피 분야 다양한 주제의 무·유료 강좌를 분야별 전문가를
치엔바오산포장재유한공사(乾宝三(上海)包裝材有限公司, TS packaging Co.,Ltd) 강민철 대표의 명함에는 ‘중·한 화장품포장전업합작상’으로 적혀 있다.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 금방 알 수 있다. 한·중 패키징 가치사슬의 미들맨이라는 소리다. 중국 화장품 가치사슬은 한국과 유사한 상태로 진화 중이다. 업스트림(원료=BASF, 華熙生物) → 미드스트림(OEM/ODM=코스맥스, 北鐘) → 다운스트림(브랜드, 유통=로레알, 시세이도, 逸仙电商, 上海家化)의 구조다. 강민철 대표는 “중국 브랜드들도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독특하고 창의적인 용기를 많이 찾는다. 패키징은 브랜드 BM과의 소통이 중요하다. 또 납기 속도를 중요시한다”고 말한다. 때문에 한국의 디자인이 신박하고 기능성이 향상된 고급용기라면 수요는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참고로 중국 파운드리는 브랜드가 승인한 원료 공급사로부터 구매 후 가공 및 생산한다. 포장재와 박스는 아웃소싱과 자체 생산으로 구분한다. 아웃소싱은 프로세스를 증가시키지만 비용을 줄인다. 액세서리가 많은 경우 한 제조사에서 모두 생산하는 비용에 비해 각 구성요소의 전문 제조사를 찾는 비용이 낮다. 때문에 제조사는 아웃소싱하고 책임만 지는
올해 3분기 중소기업의 화장품 수출이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우며,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이자 무역수지 흑자 품목으로 국부 창출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상 처음으로 미국 수출액이 중국을 추월하며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13일 중소벤처기업부의 ‘’23년 3분기 중소기업 수출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액은 13.6억달러로 전년 대비 24.7% 증가했다. ‘20년(12.9억달러), ’21년(11.5억달러)를 뛰어넘는 역대 3분기 최고 기록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힘입어 화장품 총수출 내 중소기업 비중은 55.0% (’22.3Q) → 62.5% (23.3Q)로 7.5%p 증가했다. 대신 대기업은 19.6% 감소했다. 수출기업수는 5282개사로 전년 대비 233개사가 증가했다. 지역별로 중국을 제외한 미국·일본을 비롯 유럽(EU)·중동·CIS 등 신흥시장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수출다변화 성과가 확대됐다. 향후 중남미와 아프리카 개척이 과제로 남았다. 특히 화장품 수출 통계를 집계한 2000년 이후 미국 수출액이 중국을 넘어섰다. 미국(2.7억달러, +79.1%)이 큰 폭 증가하면서 중국(2.5억달러, -19.9%)을 제쳤다. 미국은 K-뷰티 인기가
글로벌 규제 대응 컨설팅 그룹인 리이치24시 컨설팅그룹(한국법인 대표 손성민)은 ‘2024 글로벌 화학 규제 컨퍼런스(Chemical Regulatory Annual Conference, 이하 CRAC)’가 오는 11월 16~17일 양일간 중국 상해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15회째를 맞는 CRAC은 2020년, 2021년온라인으로 진행했고 2022년은 중국 관계자만 참석했으나 올해는 국내외 연자들이 대거 초청돼 선도적 글로벌 규제 컨퍼런스로 자리 잡았다. 상해 Xijiao State Guest Hotel Shanghai에서 열리는 2023 CRAC에서는 주요국의 산·학·연(산업, 학계 및 정부)이 한데 모여 관련 정책, 규제와 더불어 무역 전략을 논의한다. 포럼에는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기타 아시아-태평양 지역, 유럽, 미국을 포함한 181개국에서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특히 컨퍼런스에서는 최근 중국에서 강화되고 있는 화학물질 규제 전반과 더불어 위험물 관리에 대한 내용이 소개될 예정이며, EU와 중국의 친환경과 탄소배출 및 지속가능성 관련 규제 동향, 특히 우리나라 배터리 산업과도 밀접한 EU 및 중국 배터리 규제 대응 전략도 소개된다. 주요 발
2019년 이후 4년 만에 중국향료향정화장품공업협회(CAFFCI, 이하 “중국화장품협회”)와 리이치24시차이나(REACH24H CHINA) 공동 주최로 열리는 한·중·일 화장품 협회 교류회가 오는 11월 26일 지난(济南)시 켐핀스키 호텔에서 열린다. 3개국 화장품 협회 교류회는 2006년에 국가를 순회하며 3년마다 개최하기로 합의하였으나, 대내외적 요인으로 인해 지난 2019년 이후 약 4년 만에 개최되는 것이다. 이번 교류회는 중국화장품협회의 정기총회 일정과 함께 열린다. △ 11월 24일 정기총회 △ 25일 산업 전망 컨퍼런스와 향료 안전성 세션과 중국 시장 브랜드 구축 전략 △ 11월 26일 화장품 산업 지속 가능성 포럼, 중국 향료 포럼과 더불어 국제 화장품 포럼과 교류회 일정이 이어진다. 올해 교류회에는 한·중·일 협회뿐만 아니라 EU 화장품 협회인 Cosmetics Europe과 ASEAN 당국자들이 참석 예정으로, 3개국 + 2권역으로 확장했다. 참석자 수는 2019년 교류회 당시 약 380명이었다. 올해에도 각국의 관계 당국, 기업, 대학, 유관 기업, 단체 및 기관, 뉴스 매체 등이 참석한다. 국내에서는 대한화장품협회 방문단과 국내 주요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