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2020년 무역수지 456억달러(수출 5128.5억달러-수입 4672.3억달러)의 13%를 화장품 단독으로 달성했다. 그만큼 화장품산업이 수출효자 품목이자 무역 흑자 경영에 큰 몫을 담당한다는 평가다. 또 수출액의 70% 이상을 중소기업이 담당하면서 화장품산업이 일자리 창출, 수출주도 신성장 품목임을 증명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0년 화장품 수출액은 75.7억달러로 전년 대비 15.7% 성장했다. 1~11월 누적 수출액(69.8억달러) - 수입액(13.5억달러) = 무역수지 56.3억달러 흑자다. 아직 12월 수입 집계가 안됐지만 ’20년 월별 평균 흑자규모가 5.1억달러임에 비춰볼 때 2020년 화장품 무역수지는 최소한 +61.4억달러에 달한다는 계산이다. 사상 최고의 흑자액이다. 작년 12월 화장품 수출액은 6억 8400만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16.8% 증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①K-뷰티에 대한 평가 및 관심이 높아지며 전세계적으로 주목 ②메이크업・기초화장품 등 주력품목 수출 지속 증가 ③중국・아세안・일본 둥 주요 시장 수출이 모두 두 자릿수 대 성장 ⇒ 7개월 연속 증가 등을 이유로 꼽았다. 품목별로는 메이크업·기초화장품
코로나19가 블랙홀이 되어 모든 이슈를 삼켜버린 한 해였다. 온라이프, 온택트, 오프라인의 온라인 전환 가속화, 이커머스 활성화 등 비대면을 전제로 화장품업계의 소비·생산·환경 변화가 요동쳤다. 씨앤씨뉴스에 게재된 이슈 및 독자들이 많이 본 기사를 중심으로 10대 뉴스를 선정 소개한다.[편집자 주] ①코로나19 충격, 내수 실종 및 유통 지각변동 코로나19는 화장품 경기에 직격탄을 날렸다. 오프라인에서 화장품은 3분기 –16.2%를 기록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외출 활동과 관련 의복, 신발 및 가방 등과 함께 매출 부진을 기록했다. H&B숍 올리브영도 매출 부진을 겪었으며, 롭스는 롯데마트에 흡수 합병의 길을 걷게 됐다. 랄라블라도 점포 축소로 규모의 경제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에이블씨앤씨, 네이처리퍼블릭, 토니모리 등 로드숍 브랜드의 실적은 곤두박질치면서 적자행진을 이어갔다. 대형마트 내 점포도 내수 부진에 시달렸는데 문제는 실적 하락이 바닥을 모른다는 것과 향후 전망도 어둡다는 점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소비 전환에도 불구하고 화장품만은 3분기 2.7%에 그침으로써 화장품 경기 실종을 확인했다. 2019년, 2020년 1월까지는 화장
코트라(KOTRA)는 2021년에도 비대면 해외마케팅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20년 긴급 비대면 마케팅을 2월부터 수행하고 5월에는 6대 전략 23개 과제를 제시했었다. 또 8월부터는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등으로 6억 7천만달러의 수출성약을 창출했었다. 특히 중소·중견기업의 비대면 수출 성과 제고를 통해 수출회복세에 기여했다는 판단이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2021년에는 상황 변화에 맞춘 대면·비대면 결합형(O2O) 무역·투자 디지털 전환을 주요 사업 운영방향으로 정했다. 디지털 플랫폼 고도화를 통한 가성비 높은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buyKOREA(수출 거래 전 단계의 One-roof/One stop+빅데이터+대외경제정보 통합 플랫폼 등을 구축한다. 이렇게 해서 ▲무역사절단(빅데이터+화상상담+긴급지사화) ▲수출기업화(샘플박스+화상상담) ▲전시회(온라인 전시회+전담직원 오프라인 마케팅) 등 무역·투자사업의 융복합 및 O2O/O4O형 디지털 전환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한 주요 사업은 ①무역사절단 총 180회 ②온라인 지사화(125개 무역관 4천여 개사 참여) ③화상상담(8800개사, 바이어 1만7천개사 참여, 3만8천건 상담 진행)
8일 코엑스에서 열린 제57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화장품 업계 최초로 LG생활건강이 10억불탑을 수상하는 등 74개사가 각종 수출의 탑을 받았다. 또 LG생활건강 이형석 부사장이 동탑산업훈장을 포상받는 등 27명이 정부포상을 받았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는 “코로나19의 위기상황 속에서도 수출은 3분기부터 회복, 4분기에 플러스로 전환했다”며 “12년 연속 무역수지 흑자(390억불) 달성과 더불어 신수출 성장동력 품목들의 약진과 수출기업 다양화 등 수출구조의 질적 개선 및 고도화 성과를 도출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유망소비재인 화장품은 매년 달성하던 연간 최대실적 경신 흐름을 이어가며 ‘20 1~11월 69억불로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고 강조했다. 수출의 탑 주요 수상 기업을 보면 △10억불탑 LG생활건강 △2억불탑 해브앤비 △1억불탑 콜마비앤에이치 △5천만불탑 (주)다미인 △3천만불탑 ㈜이시스코스메틱 등 6개사 △2천만불탑 씨앤씨인터내셔널, 아시아비엔씨 등 7개사 △1천만불탑 뉴앤뉴, 코스알엑스 등 10개사 △7백만불탑 명인화장품, 아이썸코리아 등 9개사 △5백만불탑 ㈜울트라브이, 팜스킨 등 14개사 △3백만불탑 우신화장품 등 6개사 △1백만불탑 뷰
화장품을 비롯한 생활용품 수출이 ‘갬’으로 나타났다. 무역협회가 분석한 ‘2021년 1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에서 생활용품 EBSI는 122.4로 전분기 대비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됐다. 수출상품 제조원가(63.6)는 크게 악화될 것으로 보이나 수출계약(127.9) 및 수출국 경기(119.9) 등은 개선될 전망이다. 애로사항은 수출 상대국의 경기 부진이 19.1%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무협은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호전됨에 따라 1/4분기 수출경기는 전분기 대비 개선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다만 최근 환율 하락으로 ‘원화 환율 변동성 확대’가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드러났다. 기업들의 응답을 보면 ①환율 변동성 확대 16.8% ②수출대상국의 경기부진 15.8% ③물류비용 상승 14.5% ④원재료 가격 상승 13.1% ⑤바이어의 가격인하 요구 12.3% ⑥자금난 6.1%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무협의 ‘수출기업의 환율인식과 영향 조사’(801개사)에 따르면 수출기업들의 2021년 사업계획 환율은 평균 달러 당 1140원으로 조사됐다. 응답기업의 37.5%가 사업계획 환율이 1150원 이상~1200원 미만으로 답했으며, 35.1%는 1100원 이상~1
2021년 화장품 수출액이 80억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됐다. 무역협회는 ‘2020년 수출입 평가 및 2021년 전망’ 보고서에서 “21년 화장품 수출액은 80억 5900만달러, 전년 대비 +10.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보건산업진흥원 자료 인용) 다만 최근 발표된 산업통상자원부의 1~11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은 68.9억달러(+15.7%)여서, ‘20년 수출액은 75억달러 내외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따라서 보수적으로 10% 증가세를 반영해도 80억달러 초반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20년 화장품 수출 동향에 대해서는 “기존에 오프라인으로 유통되던 화장품이 언택트 시대에 발맞추어 라이브커머스 등 온라인 유통망을 통해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역별로는 중국 및 일본의 한류 영향 및 온라인 유통망 확산에 따른 화장품 수요 증대를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20년 1~10월 중국(50.1%)·일본(8.5%)의 점유율은 60%에 육박한다. 중·일의 화장품 수요 개선이 지속되리라는 예상이다. 무협은 2020년 수출입 7대 특징의 하나로 꼽으면서 “화장품의 경우 코로나19 이후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발빠르게 대응하면서 +14.6% 수출이 증가했다”
사상 처음으로 일본이 3대 화장품 수출국으로 올랐다. 24일 대한화장품협회가 집계한 1~10월 누적 수출액 통계에서 일본은 5억 2622만달러로 전년 대비 60% 급성장했다. 그동안 일본은 3억달러(’18년, 8.6%)→4억달러(’19년, 32.7%)로 4위 수출국이었다. 2위 홍콩(–22.9%)과의 차이가 불과 6천만달러에 불과하고 감소 중이어서, 올해 내 일본이 홍콩을 추월 2위에 오를 가능성도 있다. 1위 중국(31.12억달러)은 +24.3% 증가했으며 전체 점유율은 50%였다. 4위 미국은 5.2억달러(+17.8%)를 기록했다. 1억달러 이상 수출국가는 1~9위가 해당된다. 대한화장품연구원이 발간한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일본 편)에 따르면 일본 내 1020세대를 중심으로 3차 한류 붐이 불고 있어, K-뷰티가 꾸준히 인기몰이 중이다. 특히 한국 여성들처럼 화장하는 ‘얼짱 메이크업’이 크게 유행이다. 2019년 6월 기준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オルチャンメイク(얼짱 메이크업)’ 게시물은 9만여 건에 달한다. “예전에는 한국 드라마를 통해 K-뷰티가 전파되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온라인매체, 한류 전문 유튜버 등을 통해 전달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일
7대 新수출성장동력 품목 가운데서도 화장품이 5개월째 견조한 증가세를 보였다. 국가 예산 투입이나 지원이 전무(全無)한 가운데 코로나19 팬데믹에서도 수출 증가율과 무역흑자에서 발군의 성적을 기록 중이다. 참고로 신수출성장품목의 수출액은 가전 7억달러, 이차전지의 6.75억달러다. 10월 화장품 수출액은 7.25억달러로 전년 대비 16.3% 증가했다. 산업통상부는 “①화장품이 세계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가운데 중국·미국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②두발용 제품 및 기타 화장품 등의 수출 호조로 5개월 연속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품목별로 보면 ▲두발용 제품 0.23억달러(+11.0%) ▲기타 화장품 0.57억달러(+1.2%) ▲메이크업·기초화장품 4.08억달러(△2.8%) 등이었다. 국가별로는 ▲중국 2.9억달러(+8.1%) ▲아세안 0.4억달러(△21.5%) ▲0.4억달러(+13.0%) 순이었다.(10.1~25 수출액/증감률) 수출액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은 화장품 소비가 9월에도 두 자릿수 증가세[19.0%(8월) → 13.7%(9월)]를 지속하고 있어, K-뷰티가 중국 내 2위 수입국으로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은 중소기업들의 ‘Ameri